로그인      회원가입

  홈     교회안내     예배안내     담임목사목회     신구약66권장절전체설교(가입후열람)     교회학교     전도부     교육부     남전도회     여전도회     청년부     봉사부     선교부     예배자료     신앙자료     생활정보     시,수필,컬럼     기도실     이단자료     운영자자료실     가  

  일반교회시사
  이쁜글.좋은글
  각 기관 부서
  교육자료실
  성경공부 방
  오늘의 Q.T
  은혜의 간증
  절기(추수.맥추)
  여름성경학교
  주일학교설교
  고난(사순절)부활절
  5월가정의 달
  성령 강림절자료
  찬송 및 복음송
  기독교영상플레시
  기독교자료
  기독교동영상
  덕천교회 약도
  시사 예화
  유머 예화
  상식건강자료
  고려수지침강의
  가정상담
  한자 사전
  아름다운이야기
  다양한 이미지
  성경말씀 듣기
  기도는어떻게하나?
  선 교 학
  신간도서기독교
  자주묻는질문 답변
  예화자료
  목회설교돕는 정보
  기도원 소식
  북한 탈북자 등
  명언 격언실
  역사신학실
  실천신학실
  현대신학실
  철학이야기
  히브리 헬라어사전
  비교이단자료
  창조와진화론
  1907년 대부흥사
  강해설교
  컴퓨터 배우기
  평신도신학
  유익한 정보
  특선.다큐멘타리
 



성경공부

생활정보

사전사이트



예수님의 칭호⑶
2007-04-24 07:13:10   read : 2352

예수님의 칭호⑶

[신성종 목사의 평신도신학(60)] 예수님의 칭호⑶


예수님의 칭호 가운데 ‘하나님의 어린 양’이 있다. 이것은 세례 요한이 베다니에서 세례를 베풀 때 예수님께서 그에게서 나오심을 보고 한 말에서 처음 나온다. “보라 세상 죄를 지고 가는 하나님의 어린 양이로다”(요 1:29)

우리가 이 개념을 바로 이해하려면 구약에 나오는 희생 제물인 양의 개념을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먼저 창세기 22장 7∼8절에 보면 번제할 어린 양이란 말이 나온다. 이것은 족장 시대에 이미 어린 양으로 희생 제물을 삼았다는 것을 보여준다. 물론 그보다 훨씬 이전인 창세기 3장 21절에 보면 하나님께서 아담에게 가죽 옷을 지어 입혔다는 구절에서 제물로서의 양의 사용이 있었다는 것을 추론할 수 있다. 그러나 희생제물로서의 양의 사용이 가장 분명하게 나타난 것은 레위기에 나오는 속죄 제물로서의 양의 사용이다.

물론 이 희생 제물로서의 양은 신약시대에 있게 될 십자가를 지신 예수 그리스도의 모형이다. 구약에서의 어린 양은 십자가의 상징일 뿐이다. 장차 오실 흠 없고,점 없는 어린 양 되신 예수님을 믿지 않는 한 단순히 양을 제물로 바치는 것만으로는 의미가 없다.

한국 사람들은 제물로 돼지를 많이 바친다. 왜 이 돼지는 희생제물이 될 수 없는가? 첫째로 돼지는 레위기 11장에서 볼 수 있듯이 불결한 동물이기 때문에 우리의 영원한 제물이 되신 주님을 상징할 수 없기 때문이다.

둘째는 하나님께서 돼지를 희생 제물로 드리라고 말씀하지 않고 양을 바치라고 구체적으로 말씀했기 때문이다. 양의 흰 색깔도 중요한 의미가 있지만 그것만은 아니다. 돼지도 흰색이 있지만 성경적으로는 물론 상식적으로도 희생 제물의 의미가 없기 때문에 안 된다. 양은 다른 동물과는 다른 특징이 있다. 양은 다른 동물처럼 자신을 보호하는 무기가 없다. 소는 뿔의 힘이 있고 말은 빨리 달리며 호랑이와 사자는 무서운 이빨과 발톱이 있고 뱀은 독이 있고 스컹크는 냄새로 적을 물리치고 어떤 동물은 보호색으로 자신을 숨긴다. 그러나 양은 목을 따서 희생 제물로 바칠 때에도 항거하지 않고 조용히 죽는다. 그런 점에서 양을 하나님께서 택하셨는지도 모른다.

이 밖에도 랍비,목자,구세주,왕 등의 칭호도 있다. ‘랍비’란 칭호는 율법의 교사들을 지칭하는 말로 당시 뿐 아니라 오늘날에도 존칭어의 하나이다. ‘목자’란 말은 양과 뗄 수 없는 관계에서 나온 말이고 ‘왕’이란 칭호는 우리의 영원한 통치자란 뜻에서 나온 말이다.



독자 한마디

의견쓰기
이 름 E-mail
제 목



프린트하기 기사메일보내기 독자한마디


이전으로
평신도신학
왜 평신도 신학인가?
주기도문 서론
첫번째 간구(마 6·9)-
첫 번째 간구(마 6·9)-
두번째 간구 (마 6·10)
세 번째 간구(마 6·10)
네 번째 간구(마 6:11)
다섯번째 간구(마 6·12)
여섯번째 간구(마 6·13)
주기도문의 송영(마 6·13)
사도신경 서론
제1장 신론(1)
신론―(2)
제2장 기독론―⑴
기독론―⑵
 | Home | 사이트구조 | 내용검색 | 전체내용보기 | 내용올리기 |
경남 하동군 금남면 덕천리 1431-5 (전화055-883-4843)   Contact Webmas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