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회원가입

  홈     교회안내     예배안내     담임목사목회     신구약66권장절전체설교(가입후열람)     교회학교     전도부     교육부     남전도회     여전도회     청년부     봉사부     선교부     예배자료     신앙자료     생활정보     시,수필,컬럼     기도실     이단자료     운영자자료실     가  

  일반교회시사
  이쁜글.좋은글
  각 기관 부서
  교육자료실
  성경공부 방
  오늘의 Q.T
  은혜의 간증
  절기(추수.맥추)
  여름성경학교
  주일학교설교
  고난(사순절)부활절
  5월가정의 달
  성령 강림절자료
  찬송 및 복음송
  기독교영상플레시
  기독교자료
  기독교동영상
  덕천교회 약도
  시사 예화
  유머 예화
  상식건강자료
  고려수지침강의
  가정상담
  한자 사전
  아름다운이야기
  다양한 이미지
  성경말씀 듣기
  기도는어떻게하나?
  선 교 학
  신간도서기독교
  자주묻는질문 답변
  예화자료
  목회설교돕는 정보
  기도원 소식
  북한 탈북자 등
  명언 격언실
  역사신학실
  실천신학실
  현대신학실
  철학이야기
  히브리 헬라어사전
  비교이단자료
  창조와진화론
  1907년 대부흥사
  강해설교
  컴퓨터 배우기
  평신도신학
  유익한 정보
  특선.다큐멘타리
 



성경공부

생활정보

사전사이트



성경의 영감론
2007-04-24 07:25:06   read : 2479

성경의 영감론

[신성종 목사의 평신도신학 (41)] 성경의 영감론


성경은 성령의 영감을 받아 기록되었다고 우리는 믿고 고백한다.그러면 성령의 영감이란 무엇인가?딤후 3:16에 보면 “모든 성경은 하나님의 감동으로 된 것으로”라고 했고,벧후 1:21에는 “예언은 언제든지 사람의 뜻으로 낸 것이 아니요 오직 하나님의 감동하심을 입은 사람들이 하나님께 받아 말한 것임이니라”고 하였다.


따라서 셰익스피어나 바흐가 영감을 받았다는 말과는 전혀 그 뜻이 다른 것이다.구태여 구별한다면 셰익스피어나 바흐는 자연적 영감을 받은 것이다.이처럼 위대한 작품 뒤에는 언제나 이런 자연적 영감이 있는 것이다.그러나 성경이 말하는 영감은 성령의 역사로 일어난 영감을 의미하는데,하나님께서 아담을 창조하실 때처럼 입김을 불어넣었다는 뜻이다.

영감론에는 크게 네 가지 이론이 있다.완전 영감론(Plenary Inspiration),부분 영감론(Partial Inspiration),축자 영감론(Verbal Inspiration),유기적 영감론(Organic Inspiration)이 그것이다.

완전 영감론은 전체적인 것을 강조하기 때문에 부분적인 오류가 있을 수 있어 문제가 있고,부분 영감론은 성경의 오류를 인정하는 것이기 때문에 받아들일 수 없다.축자 영감론은 성경의 무오류성을 강조하는 것은 좋으나 성경 저자들의 문체의 차이나 강조점의 차이 같은 것을 부정하기 때문에 문제점이 있다.

그래서 네번째 견해인 유기적 영감론을 받아들이는 것이 보수 교단의 추세이다.그것은 성경의 무오류성을 강조하면서도 성경 저자들의 특성을 인정하는 것이기 때문이다.영감론에서 중요한 것은 무오류성을 주장하는 것이 원본을 말하는 것이란 점이다.

그렇다면 문제는 사본을 믿을 수 있는가 문제가 제기된다.원본과 사본 사이에는 어느 정도의 차이점이 있는가?물론 지금 우리들에게는 원본이 없고 사본들 뿐이다.그런데 사본학을 연구해보면 그 차이점이란 예수를 그리스도 예수라고 표현하는 식의 차이점이 대부분이고,지금 우리가 성경에서 볼 수 있는 괄호 안에 몇 구절이 들어가 있는 정도로 아주 미미하다.

따라서 지금 우리가 가지고 있는 고대 사본들을 그대로 믿어도 좋다.물론 사본학자들에게는 단 한 구절이라도 원본에 가까이 가려고 하기 때문에 점 하나가 문제될 수 있으나 교리적인 면에서 볼 때에는 별 차이가 없다.그러므로 원본과 사본의 차이는 학자들에게는 계속적인 연구가 필요하지만 일반 성도들은 지금 있는 성경을 원본이라고 믿어도 좋다.



독자 한마디

의견쓰기
이 름 E-mail
제 목



프린트하기 기사메일보내기 독자한마디


이전으로
평신도신학
왜 평신도 신학인가?
주기도문 서론
첫번째 간구(마 6·9)-
첫 번째 간구(마 6·9)-
두번째 간구 (마 6·10)
세 번째 간구(마 6·10)
네 번째 간구(마 6:11)
다섯번째 간구(마 6·12)
여섯번째 간구(마 6·13)
주기도문의 송영(마 6·13)
사도신경 서론
제1장 신론(1)
신론―(2)
제2장 기독론―⑴
기독론―⑵
 | Home | 사이트구조 | 내용검색 | 전체내용보기 | 내용올리기 |
경남 하동군 금남면 덕천리 1431-5 (전화055-883-4843)   Contact Webmas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