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양중세문명사/기독교문명사
A. 중세사 개관 (강의노트)/ a. 서양 각국의 중세사 (독일, 프랑스, 영국, 이탈리아, 오스트리아, 스위스, 네덜란드 등 서양 각국의 역사와 문화를 참조할 것)
1. 고대에서 중세로의 이동 2. 서양중세 개관 (문명사) 3. 기사도 4. 수도원 5. 봉건제 6. 십자군 7. 토마스 아퀴나스에 대하여 8. 중세 철학: 교부철학과 스콜라철학 9. 14세기 흑사병 10. 십자군 원정의 비판적 고찰 11. 마녀사냥 (중세 유럽의 사회상) 12. 십자군 전쟁 (과연 문명의 충돌인가?) 13. 헬레니즘과 헤브라이즘의 비교 14. 십자군 원정 (농촌사회, 상업, 여성, 유대인을 중심으로) 15. 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행 (동유럽과 서유럽의 차이) 16. 중세 기독교문화 개관 17. 중세 대학의 성립과 발전 18. 중세 철학사상 19. 봉건제 개관 1
a. 중세사 개관 (강의노트)
◎서양 중세사 개관 (강의노트) ◎중세유럽의 형성 * 유럽의 어원과 기원/ 유럽문명의 탄생과 카로링왕조/중세 게르만 왕국의 변화/ 중세 게르만 왕국의 특성(11-15세기)/ 중세 기독교사회의 문명사적 의미/ 서유럽의 역사적 전개과정/카톨릭사회의 성장과 발전과정 2. 기독교문명의 형성과 발전/중세문화의 성격/ 중세교회의 역할/중세 종교와 문화 1. 카톨릭교회의 성장 /교회조직과 교리의 정비/ 교부철학 2. 수도원 운동/ 특징/수도원 도서관/수도원의 문화사적 역할/신의 군단(scola) 수도원 3. 중세사상의 구조 / 철학사상/ 스콜라철학의 성장배경/12세기의 인문주의/ 로마법의 재발견/Thomas Aquinas 1224-1274/ 신학과 철학의 분리/스콜라사상의 역사적 의미/ 근대유럽의 성립배경/◎봉건제의 위기 A. 14/15세기의 경제, 사회적 변동의 원인 B. 14/15세기 경제, 사회변동의 결과 C. 장원제의 붕괴와 중앙집권적 국민국가의 형성 D. 기독교세계의 변화/종교개혁의 배경 1. 스콜라인식에 대한 반발 2. 교황권의 쇠퇴와 교회의 대분열/14세기 교회의 대분열
독일의 중세시대 1. 게르만 시대/ 프랑크왕국의 메로빙왕가/베르덩조약 (843)과 메르센조약(870)와 카로링왕조의 단절 (911) /오토의 세기 (919-1024)/ 보름스협약 /호헨 슈타우펜왕가/ 중세후기의 독일(1250-1519) /대공위시대 (1254-1273)/ 황금칙서/도시동맹의 발전/ 한자동맹 /합스부르크가의 발전 /칼 5세의 시대 /스페인 합스부르크가의 발전과 쇠퇴
프랑스의 고대와 중세/ 기원 /갈리아-로마시대 /봉건시대 (La fodalite) /메로빙가(Merovingiens:메로벵지앵)의 프랑크왕국(481-751)카로랭지앙(Carolingiens)의 프랑크왕국(751-987)/유럽문명의 탄생과 카로링왕조/베르덩조약 (843)과 메르센조약(870)와 리메몬조약 (880)) /프랑스 봉건왕국 (서프랑크)의 성립과 발전 /서프랑크왕국의 변화(843-987))/Capet 카페왕조(987-1328)의 발전/발로아왕가 Valoir(1328-1589)의 성립과 발전 /백년전쟁((Le guerre de Cent Ans 1337-1453)1328-1453)/*백년전쟁의 경과: 첫단계( 1338-1380) 2단계 (1380-1453) 프랑스 중세사회와 문화 백년전쟁이후의 프랑스의 발전 /부르군드 전쟁/이탈리아 정복전쟁과 독일제국과의 투쟁(1494-1559)
영국의 고대와 중세 선사시대 ■ 단일 왕국의 성립/ 앵글로 색슨인의 시대/ (7세기-9세기)/ 덴마크 왕가 (1017-1042)/노르만 왕가(1066-1272)/백년전쟁(Hundred Years' War 1338-1453)/장미전쟁 (1455-1485
이탈리아의 고대, 중세/동고트왕국의 시대/프랑크왕국의 시대/이슬람세력과 남부이탈리아 /노르만왕국의 시대 /독일황제의 시대/ 이탈리아 자유도시의 발달/시칠리아의 예술
네덜란드의 고대와 중세선사시대/로마제국의 시대/프랑크왕국의 시대 중세 분열의 시대 (10세기-14세기)/부르고뉴(부루군디: 부르군드) 공국의 시대
오스트리아의 고대와 중세 Hallstatt 문명 /켈트인의 시대(BC 400-BC 1세기)/로마 시대 (BC 1-AD 5세기)/동고트왕국의 시대 (476-553) *훈족 *동고트트족:바이에른의 지배 (6-8세기)/프랑크왕국의 시대 (751-987) /헝거리 마쟈르족의 지배(880-955)/신성로마제국의 시대(962-1806)/*오토의 세기 (919-1024) /Salier 살리어왕가와 Staufer 슈타우퍼왕가 (1024-1250) /카놋사의 굴욕과 황제권의 재승리 /보름스협약 /호헨 슈타우펜왕가 /Babenberg가의 지배(976-1246)/대공위시대 (1254-1273)/중세후기의 독일(1250-1519) /합스부르크가 (Haus Oesterreich)의 성립과 발전 /황금칙서(1356)/도시동맹의 발전 (13-15세기) /한자동맹 (14-15세기)/합스부르크가의 발전 /후스 Huss (?-1415+)
스위스의 고대와 중세 구석기시대부터 철기시대까지/켈트-로마제국의 시대/민족이동 (알레만족과 부르군드족)/ 동고트제국과 프랑크왕국/기독교의 전파/봉건시대의 스위스 /영토지배/영구동맹(Eidgenossenschaft)의 성립(1291년)과 발전 /자유의 확산과 정복정책의 결과/ 쮸리히전쟁/부르군드전쟁/슈바벤전쟁
1. 고대에서 중세로의 이동
○ 들어가며 ·고대 사회의 종결과 중세로의 태동 ○본문 Ⅰ. 게르만적 배경 Ⅱ.게르만의 침입 Ⅲ.종합을 향하여 ○ 마무리 하며 -봉건제 기반의 확립 § 참고 문헌 §
2. 서양중세 개관 (문명사)
Ⅰ . 서유럽 사회의 형성 1. 중세문화의 의미 2. German 민족의 이동 3. 프랑크 왕국의 성립과 몰락 ll. 봉건제도의 성립 1. 봉건제도의 개념과 성립 2. 봉건제도의 요소 3. 봉건제도하의 사회신분 4. 장원의 구조와 농민 Ⅲ. 교회의 성립과 발전 1. 기독교의 성립 2. 중세 카톨릭 제도 Ⅳ. 황제권과 교황권의 대립1. 신성로마제국 2. 제권과 교권의 대립 Ⅶ. 서유럽 중세사회의 변화1. 중세 도시의 성립 V . 이슬람 세계 1. 이슬람교의 성립 .VI. 십자군 원정 1. 십자군 Ⅶ. 서유럽 중세사회의 변화1. 중세 도시의 성립 Ⅷ. 중세의 문화 1. 중세 문화의 특징 2. 중세의 대학 3. 중세 유럽의 철학 4. 중세 유럽의 문예 4. 중세 유럽의 문예 <참고문헌>
3. 기사도
Ⅰ. 서론 Ⅱ. 기사도의 기원 1. 기사도의 기원 2. 기사도란 Ⅲ. 기사단의 종류 1. 구호 기사단 (Hospitalers) 2. 튜튼기사단 (Teutonic Order) 3. 검의형제 기사단 (Sohwertbruderorden) 4. 성전기사단(Templar) Ⅳ. 기사도의 교율 과정 1. 기사도 교육 장소 및 교육단계 2. 기사도 교육 단계별 학습 내용 Ⅴ. 기사의 생활 Ⅵ. 기사도의 변화와 영향 Ⅶ .결 론 ※참고문헌
4. 수도원
(1)수도원의 개념 (2)수도원의 역사 (3)중세 수도원의 필요성 (4)베네딕트 회칙 (5)수도원의 교회 개혁 운동 (6)이후의 수도원의 모습 (7)수도원의 역할 2) 수도원 도서관 * 참고 문헌
5. 봉건제
6. 십자군
I. 서론 Ⅱ 본론 1. 십자군 전쟁의 배경 2.십자군 전쟁의 경과 3.십자군 원정의 결과 Ⅲ 결론 - 십자군 전쟁의 의의 ◇참고문헌◇ .
7. 토마스 아퀴나스에 대하여
들어 가는 말 / 토마스 아퀴나스가 펼친 사상적 배경 : 스콜라(Scholar) 철학 2. 전성기 스콜라 철학 : 토마스 아퀴나스의 등장 , 토마스 아퀴나스 사상의 긍정적 측면 : 예술 저술 , 아퀴나스의 (신학대전)의 의미 : 건축을 통해 바라봄 ,필자가 보는 토마스 아퀴나스‥‥‥ (그를 비판함) 참고문헌
8.중세 철학의 흐름: 교부철학과 스콜라철학
철학과 신학의 조화 들어가며 1. 중세의 시기 결정 2. 중세철학과 기독교 3. 교부철학 4. 아우구스티누스 (Aurelius Augustinus) 5. 스콜라철학 6. 토마스 아퀴나스 (Thomas Aquinas) 7. 중세철학의 두 가지 흐름 / 참고문헌
9. 14세기 흑사병
14세기 유럽을 강타한 흑사병의 영향 - 1. 흑사병은 어떤 병인가 2. 역사 속의 흑사병 3. 흑사병의 발병과 전파 4. 흑사병이 미친 영향 5. 흑사병과 중세의 붕괴 6. 역사를 바꾼 흑사병 < 참고문헌 >
10. 십자군 원정의 비판적 고찰
1. 십자군 원정의 배경 2. 십자군 원정의 원인 3. 십자군의 경과 1) 제 1차 십자군 2) 제 2차에서 제 4차까지의 십자군 3) 제 5차 이후의 십자군 4. 원정실패의 원인 5. 십자군 원정의 영향 6. 십자군 원정의 의의 / 참고문헌
11. 마녀사냥 (중세 유럽의 사회상)
I. 서론 II. 본론 1. 마녀개념의 형성 2. 마녀사냥의 양상 3. 마녀사냥의 소멸 III. 결론 참고문헌
12. 십자군 전쟁 (과연 문명의 충돌인가?)
서 론/ 유럽과 중동의 대립은 십자군 전쟁에서 시작되었다. 본론 1-십자군 전쟁의 배경 우르비아누스 2세의 네 가지 목적 2-십자군 전쟁의 전개 1)전쟁의 시작 2)십자군의 만행 3)이슬람 세계의 반격 3. 십자군 전쟁의 긍정적 부정적 배경 -긍정적 배 경 -부정적 배 경 4.십자군 전쟁의 의의 /결론 -십자군 전쟁은 우연인가? 역사적 흐름의 산물인가? <참고문헌>
13. 헬레니즘과 헤브라이즘의 비교
<차 례> 들어가면서 -우리 삶에서 두 저서의 의미 (문화적 유산) -창조 신화, 기본 세계관 -신의 성격 분석 -사과 -극의 전개 -공통된 소재 -문학적 영향 /나가면서 /참고 문헌
14. 십자군 원정 (농촌사회, 상업, 여성, 유대인을 중심으로)
1. 머리말 2. 농촌사회와 십자군 3. 십자군원정과 상업 -상인과 십자군 전쟁 -상업과 화폐 4. 중세 여성 5. 유대인과 십자군 -유대인의 유입 -봉건제도내의 유대인 -로마교회와 유대인 -유대인과 세속당국 6. 맺음말 /참고문헌
15. 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행 (동유럽과 서유럽의 차이)
1. 들어가며 2. 본론 2.1. 15세기이전 서유럽의 사회경제적 변화 2.2. 15-17세기 유럽경제의 변화 2.3. 동유럽의 변화 3. 결론
16. 중세 기독교 문화 개관
들어가며 -학문과 사상 -중세 대학 -중세 건축과 미술 -중세 문학 -참고문헌
17. 중세 대학의 성립과 발전
I. 들어가는 말 II. 대학의 유래 1. 대학의 어원과 기원 2. 중세이전의 고등교육기관 III. 중세대학의 성립과 발전 1. 최초의 대학들 2. 대학의 성립과정 (1) 교회권력과의 대결 (2) 세속권력과의 대결 3. 이후의 발전 (1) 교과과정과 시험제도 (2) 대학의 분위기 (3) 도구로서의 책 IV. 현재까지의 추이
18. 중세 찰학사상
차 례 I. 서 론 II. 본 론 1. 중세 사상 즉 중세 철학에서의 학자들 2. 보에시우스와 성 아우구스티누스 3. 카롤링거 르네상스와 라바누스 마우루스 4. 요한네스 스코투스 에리우제나 5. 성 안셀무스와 아벨라르두스 6. 스콜라 철학 7. 13세기의 철학자들 8. 중세 후기의 철학자 9. 소수에 의한 철학 III.결 론 Reference
19. 봉건제 개관
차 례 1. 들어가기 2. 봉건제도의 개념과 봉토 (1) 봉건제란? (2) 봉토 3. 봉건제도의 성립과 발전과정 (1) 봉건제도의 성립 (2) 봉건제도의 발전과정 4. 봉건사회의 구조 (1) 봉건사회의 경제구조 (2) 본건사회의 불평등구조 5. 봉건사회의 성격과 생산력 (1) 봉건사회의 성격 (2) 봉건사회의 생산력 6. 맺 음 말 <참고문헌>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