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세기의 문화 (모던이즘과 포스트모던이즘을 중심으로)
I. Modernism 이란 무엇인가? 일반적 개념 *근대의 개념 *Modernism의 발생배경 *모던이즘의 특성 II. 포스트모던이즘이란 무엇인가? 개념 *포스트모던의 이해 /2가지측면 *정의와 특징 *모던이즘과의 공통점 및 차이점 *공통점 *차이점 III. 포스트 구조주의 포스트구조주의? * 미셸 푸코 *포스트모던의 사회경제적 배경 IV. 서구사회와 포스트모던이즘
2. 1차대전의 전개와 변화
목차/1. 배경 -국제적 긴장의 격화 /2. 1차대전의 발발과 경과 /3. 1차대전의 성격 /4. 1차대전후 국제질서 변화 /5. 베르사유 체체 /6. 1차 대전 책임론 ◎독일의 제국주의. ◎ 포위 의 식 (Einkreisung). ◎ 베트만 흘베크의 계획(1514. 9)/(피셔에 대한 반대 견해) /집단책임론/*S. B. Fay의 집단책임론 1) 오스트리아의 입장 2) 세르비아 (Dragutin Dimitrijevic와 사라예보사건)/ (세르비아의 책임) /3) 러 시 아 4) 영국 5) 프랑스 하워드의 집단책임론 7. 미국과 1차 세계대전 1) 대전의 발발과 중립주의 2) 중립의무의 부당성3) 잠수함 문제(U Boat) 4) 미국의 여론 5) 독일과의 국교단절 8. 1차 대전의 종전 / 참고자료
3. 2차대전의 전개와 변화
Ⅰ.서 론 Ⅱ.본 론 1)제 1차 세계대전 이후 세계정세 2)새로운 전쟁의 발발과 진행 ①히틀러의 등장과 전쟁 도화 2)새로운 전쟁의 발발과 진행 ①히틀러의 등장과 전쟁 도화 ②나치당의 성립과 독일의 재무장 ③전쟁 의 시작 ④독일과 영 ·프와의 전쟁 ⑤독일과 소련의 전쟁 ⑥독일의 열세 ⑦독일의 항복과 각국의 정세 3) 제 2차대전의 결과 ①전쟁의 종결 ②전쟁의 피해 ③ 2차 세계 대전의 영향 i ). 경제적 발전과 사회적 변화 ii)세계정치의 구조적 변화 Ⅲ.결 론 /참고문헌
4. 2차 대전의 기원에 대한 '독일 책임론'적 입장에서의 서술
I-2차 대전의 전쟁 책임론 Ⅱ- 독일의 팽창주의 Ⅲ-유화정책 Ⅳ-잃어버린 기회 Ⅴ-정책의 반전 Ⅵ-2차 대전의 책임 <참고문헌>
5. 슈트레제만(G. Stresemann)의 대외정책
1. 머 리 말 2. 스트레제만 등장이전의 위기 a. 루르 점령과 소극적 저항의 중지2. 스트레제만 등장이전의 위기 a. 루르 점령과 소극적 저항의 중지 b) 인플레이션C) 중산계층와 몰락 3. Stresemann의 시대 a) 스트레제만의 등장 b) 슈트레제만의 외교정책 ⓐ 배상교섭의 재개와 Dawes안 ⓑ 로카르노 조약과 독일의 국제연맹 가입 ⓒ Young안 ⓓ 영안에 대한 반대투쟁 C) 슈트레제만의 죽음4. 맺음말 -슈트레제만의 외교적 성과 <참고 문헌> <각주>
6. 아돌프 히틀러의 생애
차례/프롤로그 /서론 /본론(히틀러의 생애) /초기생애와 제 1차 세계대전 /정치활동의 개시 /당권의 장악 /독재와 제 2c아 세계대전 /결론 /참고문헌
7. 제2차 세계대전 이후의 세계
1.서 론 1 2차 세계대전의 성격과 그 영향/11.본 론/1. 전쟁 피해 상황 /2. 전후의 상황/1) 여러 국가의 실태 2) 사회주의의 팽창과 발전 3) 선진국의 고도성장 4) 체제의 변천 5) 소련-동유럽과 제3세계 111. 결 론
8. 2차 세계대전 이전의 폴란드의 정치적 변화 및 그와 관련한 전후 국경분쟁의 원인에 대하여
머리말 - 본 문 1. 독립을 위한 투쟁(1905~1918) 2. 독일과의 관계 3. 피우수츠키의 집권 4. 피우수츠키의 영토 확보 계획 5. 폴란드-소비에트 전쟁(1919~1921) 6. 정국의 불안과 피우수츠키의 쿠데타 7. 피우수츠키 독재 기간 중 대독일 대소련 외교 문제(1926~1939) 맺음말 - 참고문헌 -
9. 2차대전의 결과
서론 Ⅰ. 새로운 세계 질서의 수립 1. 유럽의 전통적 질서의 붕괴 Ⅰ. 새로운 세계 질서의 수립 1. 유럽의 전통적 질서의 붕괴 2. 미국의 등장 3. 소련의 등장 Ⅱ. 새로운 강대국의 알력 III. 미국과 소련의 대립구도 형성 Ⅳ. 냉전의 전개 1. 양진영간의 충돌과 열전 2. 미국과 서유럽의 군비강화
11.프랑스와 유럽통합
서 론//본 론/ 2차대전 후 유럽통합을 위한 움직임/ OEEC?NATO?유럽평의회의 성립/ 유럽석탄철강공동체(ECSC)의 형성/ 유럽방위공동체(EDC)의 실패/ 로마조약의 성립/ 드골과 독불화해/ 드골과 유럽통합/결 론/參考文獻
12. 소련의 독일정책 1943-1955
◎소련의 독일 정책 I (1941-1945)
A. 스탈린과 독일분할 /II. 소련의 3가지 독일정책의 목표 (1945-1949) * 스탈린과 독일 사회주의 *소련의 점령정책의 3가지 방향과 목표: 1945-1949 /Stalinismus in DDR SBZ의 변화
◎소련의 독일정책 II (1943-1955)
목 차 /서 론 /본 론 / Ⅰ. 개전 이후의 소련의 정책 / 「독일에 대한 연합국의 정책」 / 「얄타ㆍ포츠담에서의 소련의 정책」 / Ⅱ. 종전 이후의 점령지에서의 소련의 정책 / 「연합국의 독일관리와 이해의 대립」 / 「전후 소련의 독일 정책 기조」 / 「소련의 독일 점령정책 목표」 /1. SBZ/동독에서 소련의 점령정책과 소비에트화 전개 과정 / ⑴정치적 입장에서의 소비에트화 과정 / 「반파쇼ㆍ민주 운동을 통한 정권장악 기반확립」 / 「SBZ/동독의 총체적 소비에트화(1947-1953)」 / 「탈스탈린화와 소비에트화의 완결(1953-1956)」 / ⑵경제적 측면에서의 소비에트화 과정 /Ⅲ. 소련의 점령정책과 독일분단 / ⑴ 소련의 독일 공산화 시도와 미국의 저지(1945-1949)/ 「연합국 외무 장관 회의와 베를린 봉쇄」 /⑵ 동ㆍ서 블록형성과 분단의 고착화(1949-1955) /결 론
◎소련의 독일정책 III (1920-1959)
(1) 1920년대의 소련의 외교정책 (2) 1930년대의 소련 외교정책 Ⅱ. 소련의 안보 기본 원칙 Ⅲ. 나치의 위협과 소련의 외교(1934-1936) Ⅳ. 독일과의 불가침 협정 체결(1936-1939) Ⅴ. 독소 동맹 체제의 긴장과 붕괴(1939-1941) Ⅵ. 전시(戰時) 소련의 정책 Ⅶ. 전후 소련의 정책 ⑴ 정치적 차원 ⑵ 경제적 차원 Ⅶ. 소련의 독일 공산화 시도 Ⅷ. 1950년대 이후 소련의 독일정책/ 결 론/ <참고문헌>
13. 패전 독일의 주권 회복 과정 ( 분단부터 아데나워 집권기까지를 중심으로)
I. 머리말 Ⅱ. 독일의 분단 1. 강대국의 독일 분단 계획 2. 얄타 회담 3. 독일의 무조건 항복 4. 포츠담 협정 Ⅲ. 독일 연방 공화국의 건국과 발전 1. 전후의 독일 2. 연합국의 분열-냉전 3. 베를린 봉쇄 4. 기본법 제정 5. 수도가 된 본 6. 최초의 총선 8. 기적의 경제 성장 9. 아데나워와 주권 회복 10. 할슈타인 독트린 11. 자르 지역 문제의 해결 Ⅳ. 맺음말 ◉ 참고 문헌
14.유럽 통합의 흐름- 유럽석탄철강공동체(ECSC)의 형성까지
1. 2차 대전 이전 유럽의 흐름 2. 2차대전 후 유럽통합을 위한 움직임 3. OEEC,NATO,유럽평의회의 성립 4. 유럽석탄철강공동체(ECSC)의 형성/ 結論 / 參考文獻
15. 전후 미국의 독일 및 유럽정책 (1943-1949)
목 차 Ⅰ. 서론 Ⅱ. 본론 ① - 미국을 중심으로 본 연합국의 독일 정책 1. 연합국의 독일 분할 점령과 포츠담의 공동 점령정책 (미국을 중심으로) 1) 독일 분할공동점령 2) 포츠담 회담의 공동 점령정책의 기조 2. 연합국의 독일관리와 이해의 대립 1) 연합국의 공동 관리 정책 2) 독일의 경제적 현실과 서방 지역의 점령정책전환 3. 서독 3점령지역 통합과 서유럽의 안전보장 1) 번즈 슈투르가르트 연설과 미, 소 정책 대립 2) 마셜 플랜과 서독 부흥의 공식적 승인 4. 서측 점령의 3지역 통합과 4국 공동관리 파탄 Ⅲ. 본론 ② - 소련의 독일 정책 Ⅳ. 결론 전후 미국의 독일 및 유럽정책
16. 오데르 나이세(Oder-Neiβe) 문제
1. 서 론 2. 본 론 (1) 독일 국경문제의 역사적 변천과 서독 정부의 대응 1) 대서양 헌장(美․ 英 , 1941년 8월 14일) 2) 테헤란 회담(1943년 11월) 3) 얄타 회담 (1945년 2월 4일 - 11일) 4) 포츠담 협정(1945년 7월 17 - 8월 2일) 5) 아데나워 시대(1949.9-1963.10) 6) 에르하르트 시대(1963.10-1966.10) 7) 대연정 시대(1966.10-1969.10) 8) 브란트 시대(1969.10-1974.5) 9) 슈미트 시대(1974.5.17-1982.10) 10) 콜 시대 (1982-통일 (1990) 전) <2> 독일 국경문제와 냉전 1) 냉전(Cold War)이란 2) 독일 국경문제와 폴란드 3)냉전의 중심 동유럽 3. 결 론/ 참고문헌
17. 콘라드 아데나워와 독일문제
서론 /분단국가 독일/ 콘라트 아데나워의 친서방정책 /본론 /콘라트 아데나워(Konrad Adenauer)의 생애/ 아데나워가 집권했을 때의 독일 및 유럽의 정세 /아데나워의 서독이 천명한 정책/ 아데나워가 친서방적인 강경책을 펼 수 있었던 배경 /아데나워의 정책이 독일에 미친 영향 결론 ≪참고문헌≫
18.아데나워의 독일정책과 서유럽통합정책 - 유럽통합을 중심으로 -
Ⅰ.서론 ll.본론 1. 연방정부 출범까지의 서독의 상황 2. 독일연방공화국좌 독일민주공화국 수립(1949)에서 양독일 '주권' 선언(1955) 까지의 아테나워의 독일정책 (1) 개관 (2) 배경 (3) 에르하르트의 기적의 경제성장 (나인강의 기적) 3. 유럽 통합정책(1) 유럽통합의 배경 (2) 마셜플랜과 유럽경제협력기구 (3) 슈망플랜 - ECSC(유럽석탄철강공동체) (4) 유럽방위공동체 (5) 로마조약 (6) 드골과 1965년 위기 4. 서독의 주권회복 5.친서방정책에 대한 내독관계와 소련 ·동독의 대응 (1) 내독간의 독일정책 (2) 스탈린 노트 (3) 미국의 세계전략 변화와 내독관계 (4) 베를린 4개국 외상회담 (5) 제네바 4개국 정상회담 (6) 할슈타인 독트린 (7) 동독의 주권회복 6. 양독일 '주권'선언1955에서 베를린 장벽 건설1961까지 (1) 개관 (2) 사민당의 탈바꿈 (3) 베를린 위기의 배경과 과정 (4) 베를린 장벽 7. 전후시대의 종결(1961-63) 8.과도기 : 1963-1969까지 (1) 에르하르트 수상 시대(1963-1966) (2) 대연정 시례(1966-69) Ⅲ- 결론 ※ 참고문헌
19. 아데나워와 부란트의 독일정책
들어가며 /본 문
◎I.아데나워에 관하여
가. 아데나워의 정책 1) 유럽의 현상승인거부(現狀承認拒否) 2) 동독승인거부(東獨承認拒否) 3) 무력강화정책(武力强化政策) 4) 중립화 반대(中立化 反對) 나. 아데나워가 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