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세기 서양의 역사와 문화 (목록과 목차)
1.20세기 서양의 역사와 문화 (강의노트) 2. 1차대전의 전개와 변화 3. 2차대전의 전개와 변화 4.2차 대전의 기원에 대한 '독일 책임론'적 입장에서의 서술 5. G.Stresemann(슈트레제만)의 대외정책 (1923-1929) 6. 아돌프 히틀러의 생애 7. 제2차 세계대전 이후의 세계 8.2차 세계대전 이전의 폴란드의 정치적 변화 및 그와 관련한 전후 국경분쟁의 원인에 대하여 9. 2차대전의 결과 10. 삭제 11.프랑스와 유럽통합 12. 소련의 독일정책 1943-1955 13. 패전 독일의 주권 회복 과정 ( 분단부터 아데나워 집권기까지를 중심으로) 14.유럽 통합의 흐름- 유럽석탄철강공동체(ECSC)의 형성까지 15. 전후 미국의 독일 및 유럽정책 16. 오데르 나이세(Oder-Neiβe) 문제 17. 콘라드 아데나워 18.아데나워의 독일정책과 서유럽통합정책 - 유럽통합을 중심으로 - 19. 아데나워와 부란트의 독일정책 20. 미국의 외교정책과 그 배경, 1945~1950 - 이미지와 봉쇄정책을 중심으로 - 21.<서독에서의 연합국 군정과 서독의 주권회복 과정> 22.동서독의 교류와 협력 23. 독일 통일 후의 문제점 24. 독일통일과정 25.동서독의 국가형성과정 26.독일의 정당정치 27. 러시아혁명사 개관 I 28.러시아 혁명의 해석 29. 러시아 내전 (1918-1922) 30. 모던이즘과 포스트모던이즘 31.제3세계와 제국주의론 32. 미국의 외교안보정책과 독일 및 한국의 분단 1943-1949 33. 미국의 독일정책 1947-1949 34. 미국의 대한정책 1942-1953 35.1930년대 대공황과 서구자본주의 국가들의 대응 36.미국의 제국주의 (제국주의론) 37. 전체주의 (파시즘의발생원인과 형성과정을 중심으로)
1. 20세기 서양의 역사와 문화 (강의노트)
◎20세기는 과연 어떠한 세기인가?
극단의 세기였던가? 미국의 세기였던가? 문명사적 갈림길인가? 홉스봄은 누구인가? <20세기의 역사> 20세기는 과연 극단의 세기인가? 문명충돌론, 문명공존론 <21세기 문명의 공존> ,20세기는 미국의 세기였던가? 미국의 힘은 과연 무엇인가? 세계 석학들이 본 20세기와 21세기 예측 참고문헌
◎ 1차대전과 유럽
1차대전의 기원/ 1차대전과 전쟁책임론, 1차대전의 결과/베르사이유의 강화/베르사이유조약과 독일의 변화/생제르망조약과 오스트리아 변화/체코와 폴란드의 독립/ 세브르조약과 오스만 터어키의 해체/ 파리강화회의(1919.1.18-1920)/3인 최고위원회 (윌슨, 클레망소, 로이드 죠지)/ 윌슨의 14원칙 /영구평화 4원칙/ 국제연맹의 성립과 한계/베르사이유체제의 문제점/ 1차대전의 결과와 민족, 영토, 국경분쟁지역
◎ 러시아혁명 A. 1905년 10월혁명 B. 1917년 러시아혁명 1. 1917년 2월혁명/레닌/트로츠키/ 러시아혁명의 원인과 배경/러시아혁명과 프랑스혁명의 비교/러시아 혁명의 해석
◎1차대전이후의 유럽 1920-1930(베르사이유체제) 1차대전과 영국
◎ 바이마르공화국의 시대 (1919-1933) 독일혁명/바이마르 공화국의 성립/Stresemann 스트레제만의 등장과 로카르노체제/ 도즈플랜 Dawesplan 1924
◎ 1차대전과 프랑스 (1919-1929) ◎ 미국의 변화 (1919-1939) 세계대공황/미국의 뉴딜정책
◎1930년대 유럽 자유주의 국가의 위기와 전체주의 국가의 체제 확립
제 2차대전의 전야 1. 세계경제와 그 위기 2.사회의 위기 3. 국가와 정치체계의 위기 4. 정신적 세계관적, 종교적인 위기(모던이즘)
◎ 전체주의란 무엇인가? (이태리, 독일을 중심으로)
A. 개념과 정의, 해석/ 어원과 기원/ 발생원인/파시즘과 공산주의의 비교/파시즘이해의 3가지 입장/파시즘과 공산주의의 비교/ 파시즘이해의 3가지 입장/제 3의 대안으로서의 파시즘/특성과 문제점/파시즘의 해석 /파시즘 비판/파시즘의 배경 /파시즘의 성격과 양상
◎ 파시즘시대의 이탈리아(1920-1945)
1. 1차대전의 결과 2. 무솔리니(1883-1945)의 등장과 파시즘의 성장 3. 무솔리니의 정권획득 4. 파시즘체제의 확립 5. 무솔리니의 대외정책
◎ 히틀러의 등장과 제 3 제국 (1933-1945)
Adolf Hitler 히틀러 (1889-1945)/ 나찌의 국가사회주의와 세계관 /나찌의 정책목표/ 히틀러의 정권장악 /나찌조직의 획일화/ 나찌의 권력집중/나찌조직의 활성화/
◎나찌 독일의 제국주의적 팽창
히틀러의 강경외교와 베르사이유체제의 한계 (1933-1936)/ 무쏘리니의 이디오피아 침략/베를린-로마 추축의 성립/ 독일의 오스트리아 합병/독일의 체코병합과 뮌헨협정/ 폴란드문제/독소불가침조약의 성립
◎프랑스와 2차대전의 전야 1.대공황에 따른 국내적 불안과 동요 2. 블륌내각의 불안과 인민전선의 붕괴(1936-1938)
◎스페인 인민전선의 성립과 스페인 내란 1) 인민전선의 성립과정 2) 스페인내란 1936-1939 ◎ 소련의 변화 (1924-1939)
◎2차대전사 2차대전의 전쟁책임론/ 영국의 유화정책 ◎2차 대전의 경과 폴란드 점령 (작전명: Westwall)/ 스칸디나비아 공격 (작전명: Weseruebung)/베네룩스와 프랑스 점령 /프랑스의 항복/*프랑스 3공화정의 몰락/ 이탈리아의 참전/독일군의 영국침공/2차대전과 영국의 대외정책/독소개전 (작전명: Babarossa)/ 스탈린그라드 공방전 /아프리카전투/ 이탈리아의 항복/노르만디 상륙작전/동유럽의 해방과 히틀러의 최후
◎Anti-Hitler-Coalition(반-히틀러-연합)과 전시회담(1941-1945)
Atlantic Charter( 대서양 헌장:1941.8.14)/ Casablanca 카사블랑카 회담 43년 1월 14-26 /모스크바회담 43년 10월 19-30일/ 유럽자문위훤회(European Advisory Commission:EAC) /Teheran (테헤란 회담: 1943.11.28-12.1)/ 테헤란회담과 얄타회담사이의 변화 /브레튼-우즈협정/ 덤버튼 오크스 회담/케벡회담 ( Quebec 1944.9.11-19)/ 스탈린과 처칠의 모스크바 회담 (1944년 10월)/폴란드문제/ 얄타회담: 1945년 2월 4일-11일/얄타에서의 독일문제/ 독일의 군사적 항복 (1945년 5월 7,8일)/독일의 정치적 항복(Berlin선언 1945.6.5)/ Potsdam 포츠담회담 (1945.7.17-8.4)/ 포츠담에서의 미국의 독일정책/ 포츠담에서의 국경문제/오데르 나이세선의 성립과 변화
◎2차 대전의 결과와 유럽문제 2차대전과 미국의 세계전략/ 루즈벨트의 국제적 이상주의/포츠담 합의와 미소공조체제/케난의 봉쇄정책
◎독일문제(die deutsche Frage) 독일문제 개요/ 독일문제의 지역적 요인 /독일의 분단문제/ 독일정책(Deutschlandpolitik)/2차대전이후의 독일문제(Deutsche Frage)
◎냉전의 기원 ◎미국의 독일 및 점령정책 1946-1947 소련에 대한 배상동결 (Clays Reparationssstop 1946.5.3)/ Byrnes-Plan, Molotov-Plan 1946 / 번스국무의 슈트투가르트연설 (Byrnes' Stuttgarter Rede 1946.9. 6)/Bizone(영.미 점령지의 통합지역)의 성립
◎Marshallplan의 기원
Marshall국무의 등장 (1947년 1월)/ Dulles 덜레스의 연설과 Hoover 후버보고서 /Truman-Doctrin ( 1947.3. 12)/ 모스크바 외상회담 (1947년 3월)/프랑스의 정책변화 /마샬플랜 Marshallplan (1947.6.5) /런던 외상회담 47년 11-12월과 Bizone의 재조직
◎독일연방공화국(BRD)의 정부수립과정 (1948/49)
런던 6개국 회담 (1948년 2/3월; 4-6월)/통화개혁 (1948년 6월)/베를린 봉쇄 (1948년 3월-1949년 5월)/ 프랑크프르트 문서 (Frankfurter Dokumente 1948년 7월 1일)/코브렌츠 회담/Ruedesheim: Niederwald 회담/Parlamentarischer Rat (제헌의회) 1948년 9월 1일
◎독일민주공화국(DDR: Deutsche Demokratische Republik)의 탄생 (1945-1949)
소련의 유럽 및 독일정책/ 동독정당의 성립 /인민의회운동(Volkskongressbewegung)과 동독의탄생
◎ 아데나워(K. Adenauer)의 독일정책(1949-1963)
A. 1단계 (1949-1955년)/ 아데나워의 독일정책 2단계 (1958-1963년) /아데나워의 서통합 정책(Westintegration) /Stalin Note (1952년) /EDC의 실패와 서독의 NATO 가입/ SPD의 독일정책(1959-1961)
◎에르하르트(Ludwig Erhard 1963-66)의 시대/키싱어(Kiesinger 1966-1969)의 시대
◎ 부란트(Willy Brandt)의 동방정책(Ostpolitik:1969-74)
동서독 기본조약 (1972)
◎내독관계의 변화와 발전(1970-1989)
Frank-Falin-Formel(1971.9,3) 슈미트(H.Schmidt)시대의 독일정책(1974-1982) /동독의 변화 (1974-1982)/ 콜(H.Kohl)정부의 독일정책 (1982-1989) /고르바쵸프의 등장
◎독일통일(1989/90)
통일의 역사적 의미/독일통일의 과정 /베를린 장벽의 붕괴 (1989년 11월)/2+4회담 (독일통일을 위한 외형적 조건)/독일통일의 문제점/ 독일통일의 교훈 ◎ 나토의 동진 나토의 구성
◎프랑스 현대사 1945-1958 프랑스 제 4공화국/프랑스 제 4 공화정(1946-1958년)의 성립과 독일문제
◎프랑스의 독일정책 1943-1949 1. 미. 영. 소 중심의 반-히틀러-연합 (3거두 회동) *프랑스의 대독정책 1945-1949의 문제점 *모스크바 외상회담 1947 /*1946년 프랑스의 독일정책 3가지 목표/ *미국의 프랑스 정책 1945-1949
◎현대 프랑스사 개관 (1958-2000) 드골과 제 5 공화국 (La Ⅴe Republique) /뽕피두와 지스카르시대/미테랑시대 /*유럽통합의 역사적 기원 /*유럽방위공동체의 실패와 나토의 결성 /프랑스와 유럽
◎2차대전이후의 영국 유럽통합과 영국 ◎2차대전이후의 이탈리아 1. 이탈리아의 공화정과 데 가시페리의 시대(1945-53)/2. 시장경제의 발전 3.기민-사회 연립정부시대 (1963-1972)/ 4. 기민-공산 연립정부 /5. 이탈리아의 발전 ◎ 유럽의회(le Parlement Europeenn)
◎20세기의 문화 (모던이즘과 포스트모던이즘을 중심으로)
I. Modernism 이란 무엇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