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회원가입

  홈     교회안내     예배안내     담임목사목회     신구약66권장절전체설교(가입후열람)     교회학교     전도부     교육부     남전도회     여전도회     청년부     봉사부     선교부     예배자료     신앙자료     생활정보     시,수필,컬럼     기도실     이단자료     운영자자료실     가  

  일반교회시사
  이쁜글.좋은글
  각 기관 부서
  교육자료실
  성경공부 방
  오늘의 Q.T
  은혜의 간증
  절기(추수.맥추)
  여름성경학교
  주일학교설교
  고난(사순절)부활절
  5월가정의 달
  성령 강림절자료
  찬송 및 복음송
  기독교영상플레시
  기독교자료
  기독교동영상
  덕천교회 약도
  시사 예화
  유머 예화
  상식건강자료
  고려수지침강의
  가정상담
  한자 사전
  아름다운이야기
  다양한 이미지
  성경말씀 듣기
  기도는어떻게하나?
  선 교 학
  신간도서기독교
  자주묻는질문 답변
  예화자료
  목회설교돕는 정보
  기도원 소식
  북한 탈북자 등
  명언 격언실
  역사신학실
  실천신학실
  현대신학실
  철학이야기
  히브리 헬라어사전
  비교이단자료
  창조와진화론
  1907년 대부흥사
  강해설교
  컴퓨터 배우기
  평신도신학
  유익한 정보
  특선.다큐멘타리
 



성경공부

생활정보

사전사이트



ⅱ. 위임 통치령의 실시
2007-10-26 19:05:11   read : 4351

ⅱ. 위임 통치령의 실시

ⅲ. 베르사유 조약 : 패전국에 대한 철저한 응징 → 2차 세계 대전의 원인으로 작용

* 국제 연맹의 분쟁 해결 수단의 비강제성

* 군비 축소 문제의 미타결 ⇒ 집단안전보장이 실패함

② 분쟁의 평화적 해결의 모색 - 국제 협조

a. 국제연맹의 창설

* 설립 목적 : 세계 평화의 수립과 인류 문화의 향상

* 활동 : 군비 축소, 국제 분쟁의 평화적 해결 - 문화 발전과 인도적 사업의 전개

* 한계 : 침략적 행위에 대한 강제적인 제재 수단 부재 - 미국, 독일, 소련이 참가하지 않음

b. 독일에 대한 프랑스의 복수심

* 로카르노 조약 (1925)

ⅰ. 배경 : 전후 독일의 배상금 지불이 지체되자, 프랑스는 독일의 루르 지방을 점령함 → 양국의 관계 악화

ⅱ. 조약 내용 : 유럽 국가간의 베르사유 조약의 준수와 평화적 분쟁 해결을 약속

ⅲ. 결과 : 당해 조약은 전후 교전국간의 적대의식 해소에 기여함

* 不戰조약 (1928): 켈로그-브리앙 조약 : 국가정책수단에서 전쟁을 적극적으로 배제하자는 것

→ 그러나 국가 안보 또는 국가 중대 이익의 경우를 유보 조건을 내세우고 협정 위반에 대한 대책이 전무했음

c. 독일의 전쟁 배상금 문제

* 배경 : 독일 경제 여력으로 배상금 상환이 현실적으로 불가능 → 독일 경제의 파산은 유럽 및 미국 경제에 악영향을 끼칠 가능성 농후

* 도스 안 : 미국은 2억 달러의 차관을 제공하여 독일의 마르크화를 안정시킴

* 영 안 : 독일의 배상금을 1/4로 감액하고 지불 시한도 연장시킴

* 로잔 회의 : 배상금을 1/44로 감액하고 경제 회복때까지 지불을 유예

* 히틀러의 집권으로 배상금 문제는 실질적으로 소멸됨

d. 군비 축소

* 워싱턴 회의

태평양 지역에서의 일본 세력 확대를 경계 → 미, 영, 프, 일, 이탈리아의 주력함 비율 결정

* 런던 회의 : 미, 영, 일의 보조함 비율을 결정

③ 민주주의의 발전

a. 발전 원인

* 정치적 : 1차 대전의 연합국 승리를 계기로 패전국들의 제정 몰락과 공화국 수립, 신생 국가들로의 민주주의의 확대

* 경제적 : 산업화의 진전에 따른 노동자, 시민계급의 영향력 증대

* 사상적 : 사회주의의 영향 - 근대 민주주의의 확립에 이은 현대 민주주의로의 이행

b. 내용

* 독일, 오스트리아, 투르크 : 제정의 붕괴 → 공화정의 수립

* 대부분의 신생 독립 국가들이 민주주의를 채택

* 남녀 평등의 보통 선거가 일반화 → 유산 계급 중심의 제한 민주주의에서 대중 민주주의로 발전

* 복지 국가 개념의 등장

* 수정 자본주의의 등장

→ 정치, 사회, 경제적 민주화가 진행

c. 영국

* 1차 대전의 피해에 따른 불황과 실업으로 세계에 대한 정치, 경제적 영향력이 쇠퇴

* 성년 남녀의 보통선거 실시

* 노동 계급의 영향력 확대에 따른 노동당과 보수당 양당 체제의 성립

* 웨스트 민스터 조례로 영국 연방 성립

* 아일랜드의 자치령 지휘 획득

d. 프랑스

* 1차 대전의 피해와 대 독일 관계로 인해 정치 경제적 불안 : 독일의 루르 점령

* 로카르노 조약을 통한 대외 관계의 안정, 통화와 국제 무역의 호전으로 경제가 안정됨

e. 미국

* 1차 대전을 계기로 세계 강대국으로 급부상 - 경제적 영향력이 확대됨

* 부분적 고립주의의 채택

* 공화당의 대기업 지원으로 경제적 호황을 구가

f. 독일

* 1차 대전 종결 직후

킬 군항의 반란과 노동자의 파업 → 황제 퇴위와 다수파인 사민당 중심의 임시정부 구성 → 연합국과의 휴전 조약 체결

사민당의 점진적 개혁에 반발한 독립 사민당과 스파르타쿠스단이 결집한 독일 공산당(KPD)의 공산주의 혁명 추진 → 진압됨

* 바이마르 공화국의 성립 (1919)

ⅰ. 사민당 중심

→ 민주적인 바이마르 헌법을 제정 → 의회민주주의 노선에 입각한 점진적 사회주의 정책의 실시를 추구

ⅱ. 정치적, 경제적 혼란

프로이센과 이해가 깊은 극우파와 극좌파의 공격으로 인한 정치적 불안

인플레이션과 배상금, 프랑스의 루르 점령으로 인한 경제 혼란 → 봉급 생활자와 중산층은 몰락한 반면 산업재벌은 부채를 탕감하며 성장

→ 사회불안 및 극우, 극좌 세력의 확대

ⅲ. 스트레제만의 정치

가) 국내

화폐 개혁을 통한 물가 안정 - 미국 차관의 도입으로 통화 안정

대량생산방법 및 산업기구의 도입으로 생산량 증대

나) 국외

대외 온건 노선을 유지하여 로카르노 조약을 성립시키고 국제 연맹과 부전 조약에 가입

그러나 미국 자본에의 의존이 심했으므로 미국의 대공황 결과 독일 경제도 위기에 처함

③ 민족주의의 발전 - 반식민지 독립 운동의 전개

a. 민족주의의 발전 이유

* 1차 대전 중 유럽 열강은 전후 독립을 대가로 식민지에게 원조를 강요했으나

* 베르사유 체제의 한계 : 윌슨의 민족자결의 원칙이 승전국의 식민지에만 적용됨

* 러시아 혁명의 성공으로 아시아의 공산주의 운동이 크게 자극되고 코민테른의 통일 전선 강조로 민족주의자와의 연대가 강화됨

b. 한국의 독립 운동

* 3.1 운동 (1919) ⇒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수립, 무력 항일 투쟁의 활성화

* 일제의 문화 통치 ⇒ 사회경제적 운동 및 민족 유일당 운동의 일환으로 신간회와 근우회의 결성

c. 중국

* 베르사유 조약의 한계 ⇒ 反군벌, 反제국주의의 5.4 운동

* 매판적, 半봉건적 군벌 타도를 위한 북벌을 통한 국민 혁명의 달성

* 난징 정부의 수립과 공산당

d. 인도

* 도전

영국은 인도 통치법을 통해 형식적 자치만을 허용하고 언론 결사의 자유를 더욱 제약함

* 대응

간디를 중심으로 인도의 '완전 자치'를 요구하는 비폭력, 무저항, 불복종주의 운동이 전개됨 → 전 인도 무슬림 연맹의 가세로 전 인도로 확산

네루를 중심으로 한 인도 독립 동맹은 간디의 소극적 투쟁을 비판하면서 '완전 독립'을 요구함

e. 동남 아시아

* 베트남

1차 대전 협조에도 불구하고 프랑스는 독립 약속을 불이행

1930년 프랑스에 대한 베트남 국민당의 무력 봉기 실패

이후 호치민 중도의 베트남 공산당이 독립 운동을 주도함

* 인도네시아

이슬람 동맹을 통한 공산주의자들의 독자적 혁명 기도가 실패함

이후 수카르노 중심의 인도네시아 국민당이 대중주의를 제창하여 민중을 결집시키면서 민족 운동을 주도함

* 필리핀

독립 항쟁으로 점진적 자치를 거쳐 1934년 독립을 보장받음

* 타이

입헌 군주국이 성립되었으나 이후 대 타이주의 운동으로 민주화보다는 국수주의와 대외 위기 의식을 강조하는 군사 독재형 국가로 전락

f. 투르크

* 도전

패전으로 비투르크인의 거주 지역을 모두 상실

국가 재정도 영,프,이탈리아가 관리

* 대응

케말파샤의 투르크 국민당 : 민족주의 세력을 규합하여 임시정부를 수립

→ 소아시아에 침입한 그리스군 격퇴, 술탄 제도 폐지, 치외 법권 철폐와 관세 자주권 회복에 성공

→ 터키 공화국 수립

* 근대 개혁

정치와 종교의 분리 - 여성에게 참정권 부여 - 로마 문자 사용

h. 아시아, 아프리카에서 전개된 반제국주의 운동의 특징은 무엇인가

3. 전체주의의 대두와 제 2차 세계 대전

(1) 미국의 경제공황(1929)

① 발생 원인

* 과학 기술의 발달과 산업의 합리화 - 러시아의 사회주의 국가화에 따른 시장 축소 → 과잉생산

* 실질 임금 동결로 인한 구매력 감소

→ 주식 대폭락 사태 발생

* 실업과 재고에 의한 기업의 도산

* 미국은 공황타개를 위해 해외 투자 자본을 회수

② 영향

* 미국에 수출 등 경제적 의존도가 컸던 유럽 경제는 큰 타격을 받음

→ 선진 자본주의 국가들은 자유 방임주의에서 탈피, 블록 경제 및 보호 무역체제로의 전환 등 수정자본주의로의 전환을 통해 위기를 극복하려 했으나

→ 독일, 이탈리아, 일본 등 민주적이고 자본주의적 사회경제적 기반이 미약한 후발 자본주의 국가들은 독재 체제 확립과 침략적 대외 팽창 등 전체주의를 통해 극복하려고 함으로서

* 2차 대전이 발생

(2) 경제공황에 대한 선진 자본주의 국가들의 대응

① 미국 : 루스벨트의 뉴딜정책 - 케인스

a. 성격

자유방임주의를 포기하고 → 국가가 사회주의적인 경제 통제를 가하는 수정 자본주의의 등장

b. 방향

* 유효 수요의 창출

* 경제 일반에 대한 국가의 적극적 개입

b. 내용

* 농업 조정법 : 계획 생산과 과잉 생산물의 정부매입을 통한 수급조정 → 농민의 소득 증대

* 산업 부흥법 : 생산조절, 최저가격제, 고용증대 → 공산품 가격 안정과 노동자의 구매력 증대

* 테네시 강 개발 공사과 같은 대규모 사회 간접 자본 확충 → 장기적인 경제 발전 모색과 실업자 구제

* 금융에 대한 통제 강화

* 사회보장법 : 노인에 대한 연금과 실업수당의 지급

* 와그너법 : 노동자의 단결권과 단체교섭권 인정 - 최저 임금제 시행

c. 결과

* 대내적 : 자유방임주의 대신 국가가 사회주의적인 경제통제를 가하는 정책이 이뤄지면서 연방정부의 권한이 확대됨

* 대외적 : 고립주의를 포기하고, 서반구의 단결과 공동의 복지를 추구하는 선린정책을 채택함

② 영국

a. 수출입의 감소와 재정 적자의 증가

b. 내용 - 보호무역주의로의 전환

* 실업 수당과 사회사업비의 삭감

* 금 본위제의 폐지, 보호관세의 실시

* 오타와 연방무역회의

본국과 연방 자치령의 상호간 특혜관세

여타 국가에 대한 관세율 상향

→ 본국과 자치령의 경제적 유대를 강화 → 파운드 블록경제 지향

③ 프랑스

a. 재정 악화, 실업자 증가, 정치불안

b. 대응

* (극우세력의 폭동에 대해) 사회당 등 좌파세력이 결집하여 인민전선내각을 조직

* 아시아, 아프리카의 식민지와 경제블록을 형성 → 특혜 관세로 프랑스 상품의 판매 시장과 원료 공급지를 확보

④ 공통적 성격

자국 경제의 보호를 위해 종래 자유방임주의 정책을 포기하고 블록 경제, 보호무역 체제를 도입하는 등

경제에 사회주의적 통제를 가하는 수정 자본주의 정책을 실시

(3) 전체주의의 대두

① 대두 배경

a. 경제적

대공황으로 인해 경제적 기반이 미약한 후발 자본주의의 국가들이 동요 → 이에 대내적으로는 독재체제의 유지와 대외적으로 침략적 대외팽창을 통해 극복 모색

b. 정치적

베르사유 체제의 한계

c. 사상적

사회적 진화론이 등장 → 인종 차별을 합리화

② 전체주의의 성격 - 파시즘의 일반적 성격

* 지지 세력 : 사회 경제적 불안에 대해 중산 계급 또는 자본가, 군부가 결탁

* 정치 : 일당 독재 체제의 확립 → 민주주의를 부정, 군부의 지지, 여타 정당의 불법화, 언론 출판 집회의 자유 탄압

* 경제 : 국가 통제적 경제 체제 수립

* 사회 : 사회 경제적 불안에 의해 강력한 국가주의 주장이 대다수 국민에게 옹호됨 → 군국주의 경향

* 대외 : 국가 지상주의와 변질된 민족주의를 토대로 대외 침략을 전개

③ 독일

a. 전체주의의 등장 배경

* 경제적

대공황으로 (미국경제에 대한 의존도가 심화된) 독일 경제의 타격 ⇒ 중소 농민층과 중산계급의 동요, 기존 정치에 대한 불만이 증폭

* 정치적

경제위기 극복을 위한 대통령의 비상대권 남용으로 인한 의회제도의 붕괴 조짐

b. 나치스의 등장

* 영향력 확대 배경

베르사유 조약의 폐기, 공산주의 배격, 사유재산제 옹호 → 중소시민의지지 획득

산업 자본가와의 타협

우익 정당과의 제휴

→ 의회에서 다수파 형성

* 수권법의 통과: 행정부의 독재권(위헌법률제정권)과 바이마르 헌법의 기능 정지를 규정함

* 중앙에서 지방관을 임명하는 강력한 중앙집권체제를 구축. 공산당과 사민당 등 타 정당의 활동을 불법화시킨 후, 나치 1당체제 확립

c. 나치의 성격

* 정치

나치스 1당 독재 체제의 확립 - 이에 대중교육을 통한 대국민 세뇌정책, 언론 탄압, 타 정당의 활동 금지

* 경제

국가 자본주의의 지향 - 이에 국가의 기업과 노동의 장악, 자급자족 체제 확립

* 대외적

범 게르만주의 아래 베르사유 조약의 폐기, 식민지 재분배를 주장

* 인종주의에 입각한 유대인 박멸 정책

※ 파시즘과 비교시: 극단적 민족주의와 반지성주의에 입각한 전체주의적 독재체제라는 점은 유사하나, 독재적, 인종주의적 성격이 보다 더 강했음

④ 이탈리아

a. 전체주의의 등장 배경

* 1차 대전의 영향

승전국으로서 빈약한 대우 → 극단적 민족주의가 등장

참전으로 인한 외채 부담 → 인플레와 실업 증가

* 경제 대공황 → 경제 기반이 취약한 상황에서 경제적 혼란 초래 : 실업의 증가, 리라화 가치의 폭락

* 파시스트의 주장이 무력감에 빠진 중산층, 지주, 자본가의 지지 획득 : 反공산주의 - 의회정치와 정당정치 반대 - 강력한 국가주의

b. 경과

무솔리니는 ‘로마 진군’을 통한 정권 장악 → 선거법 조작을 통해 의회에서 다수파 장악 후 파시스트 일당 독재체제 수립

c. 내용

* 정치적

의회주의 부정과 강력한 국가주의

→ 지주, 자본가, 군부의 지지를 받음 → 파시스트의 일당 독재 체제 확립

파시스트 민병대를 통한 군사적 기반 장악, 타 정당의 활동 금지, 언론 출판의 자유 박탈

* 경제적

소렐식 직업조합체제 - 각 경제부문을 직업조합으로 편성하고 그 협동조합의 회의제에서 국정을 운영함

* 사상적

국가지상주의(국가위에는 어떤 것도 존재하지 않고, 파시스트에 의해 국가가 대표됨), 전쟁불가피론(팽창하지 않는 국가는 쇠퇴한다)

⑤ 일본 - 전체주의의 등장 배경

* 정치적

부국강병의 성취를 위해 정치체제가 국왕권 중심의 전제주의적 형태로 변질되고 대외침략과정에서 군부의 영향력이 증대되어 정당정치의 기반이 약화됨

* 사회경제적

다이쇼 시대에는 중산층의 성장, 민주주의 사상의 보급, 정당정치의 발전, 보통선거의 시행, 각종 사회운동의 진전으로 다이쇼 민주주의가 이뤄짐

그러나 1929 세계대공황의 여파로 경제위기를 겪게 됨 → 사회불안 발생

→ 군국주의 경향이 팽배해지고 대륙침략 정책이 대두

→ 일본 본토와 식민지를 하나로 묶는 경제블록 정책을 추구

(4) 전체주의 국가들의 침략 전쟁

① 일본

* 만주사변, 국제연맹에서 탈퇴

* 독일과 방공 협정 체결

* 중일 전쟁

② 독일

* 국제연맹에서 탈퇴

* 베르사유 조약의 파기를 선언 → 징병제를 실시하며 군비를 강화

* (프랑스와 소련의 상호원조 조약체결에 대해) 로카르노 조약을 파기하고 라인란트에 군대를 진주시킴

* 공업 지대인 자르 지방 병합

* 오스트리아, 수테덴, 체코슬로바키아를 차례로 병합

* 독-소 불가침 조약

③ 이탈리아

* 교황과 라테란 조약 체결

* 국제연맹에서 탈퇴, 베르사유 조약 파기, 에티오피아 침공

* 에스파냐 내전에 대해 파시스트를 지원하여 프랑코 독재정권을 수립시키고 독일과 ‘베를린-로마 주축’을 형성함

(5) 2차 대전 후의 국제 정세

① 연합국의 승리

a. 미국과 영국 간의 대서양 헌장 발표 (1941)

b. 카이로 회담 (1943) - 미국, 영국, 중국

→ 영국과 소련이 독일군 격파, 이탈리아는 연합군과 휴전하는 등 연합군에 전세가 유리해지는 상황

* 만주와 대만의 중국 귀속

* 한국의 독립

* 일본의 무조건 항복

c. 테헤란 회담 - 미, 영, 소

* 연합군의 제 2 전선 형성 문제 → 노르망디 상륙 작전

* 전후의 국제 안전 보장에 관한 문제

d. 얄타 회담 - 미국, 영국, 소련

* 독일의 무조건 항복 후 → 러시아 제정기의 권익과 영토를 회복한다는 조건으로 소련의 대일 전쟁 참전이 결정됨

* 전후 일본 처리에 관한 문제

e. 포츠담 회담 - 미, 영, 소

* 얄타 회담의 재확인

* 일본에 무조건 항복을 권고

② 국제 평화의 유지를 위한 노력 - 국제 연합의 성립

a.

덤버튼 오크스 회의에서 초안 마련

샌프란시스코 회의에서 정식으로 결정됨

b. 국제 연맹의 실패를 고려

거부권을 가진 상임 이사국으로 구성된 안전 보장 이사회의 권한을 강화

유엔군의 침략 체제를 포함한 강력한 평화 유지책을 강구

③ 냉전 체제

a. 냉전? 자본주의 진영과 공산주의 진영간의 국제적 긴장 상태

b. 내용

* 자본주의 체제 진영

트루먼 독트린 : 소련 세력에 대한 봉쇄와 공산주의와의 투쟁을 선포

유럽 경제 부흥 계획 (마셜 플랜) : 공산주의의 확산 방지를 목적으로 유럽 경제의 부흥을 위해 미국의 서유럽 국가들에 대한 원조 계획

북대서양 조약 기구의 결성 (NATO)

* 사회주의 체제 진영

동유럽 국가들에 대한 위성화

중국 공산화에 대한 지원

코민포름 (국제 공산당 정보국)과 바르샤바 조약기구의 결성

④ 제 3세계의 등장 (1954)

a. 배경

냉전체제에 따라 강대국에 의해 아시아, 아프리카의 신생국의 운명이 결정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단결하기 시작

b. 경과

* 인도의 네루와 중국의 주은래 : 식민주의 청산과 세계 평화를 주장하는 5원칙 발표 : 영토와 주권의 상호 존중 - 상호 불가침 - 내정 불간섭 - 호혜 평등 - 공존

* 반둥 회의 (1차 아시아, 아프리카 회의) → 제 3세계의 주체성을 확인

* 비동맹 회의 (1961) : 제 3세계의 범위 확대 → 미국, 소련과 군사 동맹을 맺지 않는 모든 국가와의 결속을 강화




독자 한마디

의견쓰기
이 름 E-mail
제 목



프린트하기 기사메일보내기 독자한마디


이전으로
서양현대사
ⅱ. 위임 통치령의 실시
서양 현대사 연대표
서양 현대사 연구의 새 흐름
해체주의 건축
西洋의 私生活
일러스트레이션의 역사
영문학에 대하여
미학이란 무엇인가
화장의 어원과 기원
서양 음악의 역사
세계 7 대 불가사의
히틀러와 인종차별
청바지의 역사
서양문명의 음악사
 | Home | 사이트구조 | 내용검색 | 전체내용보기 | 내용올리기 |
경남 하동군 금남면 덕천리 1431-5 (전화055-883-4843)   Contact Webmas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