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회원가입

  홈     교회안내     예배안내     담임목사목회     신구약66권장절전체설교(가입후열람)     교회학교     전도부     교육부     남전도회     여전도회     청년부     봉사부     선교부     예배자료     신앙자료     생활정보     시,수필,컬럼     기도실     이단자료     운영자자료실     가  

  일반교회시사
  이쁜글.좋은글
  각 기관 부서
  교육자료실
  성경공부 방
  오늘의 Q.T
  은혜의 간증
  절기(추수.맥추)
  여름성경학교
  주일학교설교
  고난(사순절)부활절
  5월가정의 달
  성령 강림절자료
  찬송 및 복음송
  기독교영상플레시
  기독교자료
  기독교동영상
  덕천교회 약도
  시사 예화
  유머 예화
  상식건강자료
  고려수지침강의
  가정상담
  한자 사전
  아름다운이야기
  다양한 이미지
  성경말씀 듣기
  기도는어떻게하나?
  선 교 학
  신간도서기독교
  자주묻는질문 답변
  예화자료
  목회설교돕는 정보
  기도원 소식
  북한 탈북자 등
  명언 격언실
  역사신학실
  실천신학실
  현대신학실
  철학이야기
  히브리 헬라어사전
  비교이단자료
  창조와진화론
  1907년 대부흥사
  강해설교
  컴퓨터 배우기
  평신도신학
  유익한 정보
  특선.다큐멘타리
 



성경공부

생활정보

사전사이트


> 비교이단자료(전체리스트)

천도교의 교리와 사상
2007-03-29 03:53:25   read : 2271

천도교의 교리와 사상

 

 

 

  교조 최제우가 20여년 간의 구도 끝에 얻은 교리, 즉 한울님의 말씀은 人乃天으로 귀결된다. 따라서 천도교의 교리는 인내천을 宗旨로 정립하고 이 바탕 위에서 설명된다. 곧 인내천의 교리는 모든 자연계와 생명을 지배하는 최고 존재인 한울신으로부터 계시받은 것으로서 신앙의 주제요, 요체이기도 하다. 인간은 내유신령(內有神靈)으로 자신의 몸속에 한울님을 모시고 있다 하여 侍天主信仰을 유도한다. 이와 함께 자신의 성품을 닦는 養天, 자각하는 覺天으로 인내천의 경지에 이르게 되는데 인간은 誠과 敬 즉 敬天, 敬人, 敬物과 信 즉 信念, 信義를 도덕관으로 삼아 실천수행해 나가기를 가르친다.
  이로 인해 완성된 인격은 개인의 인격이 아니라 우주의 格中에서 가장 완전한 격을 대표한 최고의 격을 이루어 事人如天의 도덕으로 성립시킨다. 따라서 인내천에서 도출된 神觀은 유일신적이며 인격적이고 客觀存在로서 上帝說을 부정하고 인간사회의 모든 범주와 진리를 인간의 정신에서 구하는 범신론적 一神觀에 근거를 두고 있다. 천도교는 편향적 유물론이나 유신론에 반대하고 오직 物心만이 근본일체라는 至氣一元論에 입각하여 개인과 사회의 한편만이 가치를 지양하고 있는 것이다. 이로써 사람을 본위로 한 원천으로 돌아가 개인이 곧 사회요, 사회가 곧 개인인 個全一體를 깨달아서 同歸一體할 것을 주장한다. 다시 말해 당면한 의식주 해결뿐만이 아닌 지향해야 할 진정한 목표는 바로 우리민족을 먼저 구하고 세계인류를 구하자는 포부를 가지고 출발하였다.
  먼저 나라를 구하는 보국안민이 우선되어지고 나아가 세계인류에게 새 생활을 가르치는 포덕천하(布德天下)이며 이들을 구제하는 광제창생(廣濟蒼生)으로 인간의 궁극목표인 자유, 평등, 평화의 이상을 실현하여 지상의 천국을 건설하자는 것이다. 인간은 누구나 마음속에 한울님을 모셨기 때문에 응용상으로 性身雙全이 되는 것이며 또한 性靈을 바로 잡는 교양 즉 종교와 육신을 살리는 정치가 겸행해야만이 참인간이 된다는 점에서 敎政一致를 주장하고 있어 이 두 교의를 교리의 강령으로 삼고 있다.
  바로 인내천의 원리에 입각한 천도교의 이상은 내세적인 천당이나 극락에 두지 않고 현세적 현실신비주의를 취하여 인간의 귀천과 계급적 차별을 철폐하여 자주평등과 자유를 존중하고 있다. 어디까지나 인간이 한울님의 위치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신앙을 수행하는 방법으로 다음 다섯 가지 수행법을 지켜 정성을 기울이도록 가르치고 있다.
  첫째는 인내천의 원리에 따라 인간과 한울님이 일체를 이루게 하는 주문을 외우게 한다(至氣今至 順爲大降 侍天主這造化定 永世不忘萬事如). 둘째로 교조의 죽음에 깃든 발원으로 청수를 奉尊하며 主義心을 가다듬게 한다. 셋째는 집단교화의 방법인 시일(待日)을 지킨다. 넷째로 교단의 유지운영과 결부시켜 경제적 수행을 겸한 節米를 행한다. 다섯째는 모든 행동을 기도하는 자세로 하며 출입, 식사, 기거 등에서 미음으로 기도한다.
  이와 같이 주문(呪文), 청수(淸水), 시일(侍日), 절미, 기도의 다섯 가지 수행법을 五敎라 일컫고 의식은 다른 종교와 비슷한 것이 많지만 교리상에 천과 인을 해석함에 있어 동양철학적 발법이 많이 작용하고 있다.
  한 마디로 천도교 교리를 요약하면 종교적으로 神人一體, 철학적으로는 個全-體, 윤리적으로는 自他一體로서 이 모두가 인내천에 의한 同歸一體에 비롯되고 있다.




독자 한마디

의견쓰기
이 름 E-mail
제 목



프린트하기 기사메일보내기 독자한마디


이전으로
인도교(Hinduism) 개관
힌두교 - 그것은 무엇인가?
주요 힌두교 종족
초기 힌두교 : 다양한 종교의 합일
힌두교와 인도
러시아 종교 교파별 통계(1996년 1월 현재)
동방 정교회 개론
러시아 동방정교회의 역사적 기원과 발전
러시아 정교회
이슬람에서의 하나님의 개념
마호메트 (Mahomet ; 570?~632.6.8)
수니파(Sunni)
시아파
모스크 (mosque)
이슬람교/알리 (600 ?~661.1)
 | Home | 사이트구조 | 내용검색 | 전체내용보기 | 내용올리기 |
경남 하동군 금남면 덕천리 1431-5 (전화055-883-4843)   Contact Webmas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