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회원가입

  홈     교회안내     예배안내     담임목사목회     신구약66권장절전체설교(가입후열람)     교회학교     전도부     교육부     남전도회     여전도회     청년부     봉사부     선교부     예배자료     신앙자료     생활정보     시,수필,컬럼     기도실     이단자료     운영자자료실     가  

  일반교회시사
  이쁜글.좋은글
  각 기관 부서
  교육자료실
  성경공부 방
  오늘의 Q.T
  은혜의 간증
  절기(추수.맥추)
  여름성경학교
  주일학교설교
  고난(사순절)부활절
  5월가정의 달
  성령 강림절자료
  찬송 및 복음송
  기독교영상플레시
  기독교자료
  기독교동영상
  덕천교회 약도
  시사 예화
  유머 예화
  상식건강자료
  고려수지침강의
  가정상담
  한자 사전
  아름다운이야기
  다양한 이미지
  성경말씀 듣기
  기도는어떻게하나?
  선 교 학
  신간도서기독교
  자주묻는질문 답변
  예화자료
  목회설교돕는 정보
  기도원 소식
  북한 탈북자 등
  명언 격언실
  역사신학실
  실천신학실
  현대신학실
  철학이야기
  히브리 헬라어사전
  비교이단자료
  창조와진화론
  1907년 대부흥사
  강해설교
  컴퓨터 배우기
  평신도신학
  유익한 정보
  특선.다큐멘타리
 



성경공부

생활정보

사전사이트


> 비교이단자료(전체리스트) > 헤드라인

도교 道敎 Taoism
2007-03-29 03:50:28   read : 2761

도교 道敎 Taoism
요약
중국의 3대종교의 하나. 도학이라고도 한다. 도교중국민족의 고유한 생활문화 속에서 생활신조, 종교신앙기초로 하여 형성된 중국대표적인 민족종교이다.

설명
중국의 3대종교(유교·불교·도교)의 하나. 도학이라고도 한다. 도교중국민족의 고유한 생활문화 속에서 생활신조, 종교신앙기초로 하여 형성된 중국대표적인 민족종교이다. 이는 한(漢)시대 이전무속신앙과 신선사상, 민중의식을 기반으로 하여, 한대황로신앙(黃老信仰)이 가미되어 대체적으로 후한 말부터 육조시대(六朝時代)에 걸쳐서 형성되었고, 현재까지도 타이완이나 홍콩 등지에서 신앙되고 있다. 초기의 도교신앙불로불사신선(神仙)을 희구(希求)한다든지 무술이나 도술에 의한 치병(治病)·재해 퇴치 등 현세행복추구에 그 중점을 두었으나, 유교불교와 경합(競合)하고 서로 영향을 받으면서 내적 수양과 민중도덕의식견지(堅持)를 중심으로 하는 신앙도 중요시하게끔 발전했다.

0도교란 사상·교리·기술(技術)·사회·교단(敎團)·신앙대상 및 신앙의례 등 모든 요소를 함유하는 문화복합체이다. 그것은 중국역사풍토, 지역조건 안에서 정치사회·문화 등과 관련되면서 전개된 생활문화를 기초로 하여 발생한 것이다. 말하자면, 중국민족 고유종교문화라고 할 수 있다. 그와 비슷한 유형으로 발전한 것에 유교가 있다. 그러나 양자의 차이는, 유교중국사회·국가질서, 그리고 학문·기술통치자의 입장에서 구명(究明)하고자 한 것과는 달리, 도교종교요소중심으로 하여 사회질서 및 학문·기술민중의 입장에서 밝히고자 하는 데에 있다. 따라서 도교에서는, 유교에서 배격한 미신이나 온갖 도깨비·변괴귀물(變怪鬼物) 등 무축적 귀신신앙(巫祝的鬼神信仰)도 포함한다. 이 도교개념은 <민중도교>와 <교회도교>의 두 가지로 대별된다. 민중도교는 농민이나 민중 일반의 신앙과 생활신조, 그리고 그것에 의해 조직집단이나 결사를 말한다. 이는 후한 말에 태동하고 있었는데, 특히 송대 이후서민사회의 발전대응하여 유교불교 등과의 합일(合一)하에서 전개된 것이다. 한편, 교회도교는 국가나 왕조에 의하여 공인도교교단·교파이며, 5세기의 구겸지(寇謙之)의 <신천사도(新天師道)>가 그 최초이다. 천사도는 원래 <삼장>인 장릉(張陵)·장형(張衡)·장노(張魯)의 <오두미도(五斗米道)>라 불리었으며, 후한 말에 일어난 농민을 주체로 하는 초기의 민중도교였지만, 위(魏)·진(晉)의 정권밑에서 발전한 신오두미도(新五斗米道) 즉 신천사도는 북위(北魏)왕조의 공인(公認)에 의해서 교회도교가 되었다.

0도교의 원뜻은 <도를 설명하는 가르침>이다. <도(道)>란, 유가(儒家)나 도가(道家)를 비롯하여 중국의 모든 사상철학을 설명하는 학설의 중심으로, 중국인의 의식기초존재하는 것이다. <도교>라는 말은 선진(先秦)시대부터 사용되어 왔으며, 처음에는 <성인(聖人)의 도의 가르침>이란 의미가지유교를 지칭(指稱)하고 있었다. 또, 불교 전래 뒤로는 불교의미했던 시대도 있었다. 즉, 이것들은 <선왕(先王)이나 성인의 도를 설명하는 가르침>이라는 의미인 것으로, 오늘날 일컬어지는 중국민족종교로서의 도교가리킨 것은 아니다. 이 <성인도의 가르침>을 구체적으로 실현시키기 위한 방법과 술(術)을 <도술(道術)>이라고 하였다. <도술>이란, 원래 <성인도의 술>, 치세치민(治世治民)을 위한 정치의 술이었다. 한편, 선인(仙人)이 되기 위한 방법, 또는 선인교감(交感)하기 위한 방법으로 <신선방술(神仙方術)>, 의료기술로서의 <의방술(醫方術)>, 그 밖에 과학기술주술 등 여러 가지방술존재해 있었다. 이 도술을 행하는 자가 도사(道士)이고, 방술을 행하는 자가 방사(方士)이다. 도술과 방술의 차이를 굳이 말한다면, 전자국가·정치에 관한 경세(經世)·치민(治民)의 술이라고 한다면 후자는 개인적·종교성격가지는 일이다. 그렇지만 후한대로 들어서자 이 양자혼동되었다. 따라서 후한대에는 도술의 범위가 매우 넓어져, 정치술이나 과학기술에서 주술예언·복점(卜占) 등의 종교영력(靈力)을 포함하는 것이 되었다. 그리고, 이것들을 행하는 자는 도술의 사(士), 즉 <도사>라고 불리었다. 이 경우도사는, 원래의 <성인도의 도술>의 사로서의 <도사>라기보다는 종교요소지닌도사>였다. 무의(巫醫)의 주술부적을 사용하는 종교집단은 <귀도>라고 불렸다. <태평도>나 삼장의 <오두미도> 등도 귀도를 중요한 요소삼은 초기의 도교집단이다. 또 귀도대하여 <신도>라는 성어(成語)가 다루어졌다. <귀신(鬼神)>의 <귀(鬼)>에 연관되어서 <귀도>가 생겨났고, <신(神)>에 연관되어서 <신도>가 생겨났다. <신도>는 우선 신을 제사지내는 <단(壇)>과 통하는 도를 의미했으나, 점차로 신앙의 객체인 신 그 자체, 또는 신신앙(神信仰)에 기초하는 종교집단과 가르침도 뜻하게 되었다. <도가>는 제자백가(諸子百家)의 하나이지만, 전국시대에는 유가·법가(法家)·묵가(墨家) 및 방기(方技)·신선(神仙) 등과의 교류가 있었고, 진(秦)·전한대를 거쳐서, 후한대에는 <도가>의 개념 안에는 종교요소도 섞여 들어가기에 이르렀다. 즉, 도가라는 개념은, 오늘날 말하는 노자(老子)·장자(莊子)의 사상·철학중심으로 한 철학도가뿐만 아니라, <도술> <방술>까지를 포함한 보다 광범위한 의미지니는 것으로 되었다.

0이상과 같은 도가도교개념의 변천은 그대로 도교 성립의 전사(前史)와 관계된다. BC 3세기 무렵의 전국시대에 연(燕)·제(齊;河北省·山東省) 지방에는 <방선도(方僊道)>라 불리는 신선방술(神仙方術)을 위주로 하는 종교집단이 존재했다. 일찍이 제나라에는 민간의 무축(주술사)에 의거하는 농작(農作)을 위한 산천제(山川祭)와, 그것을 토대로 하여 왕후(王侯)들이 풍작을 기원하는 팔신(天主·地主·陰主·陽主·月主·日主 등)에게 지내는 팔신제가 있었다. 이 팔신제에 그 당시 이미 발달되어 있었던 경락의경(鍼灸醫療學)이나 본초경방(漢方醫藥學)의 학문과 보인(步引)·안마·복이(服餌)·황야(黃冶;體操·食物·鍊金養生) 등의 신선술(神僊術)이 결합되어 이루어진 것이 방선도이다. 방선도는 신선방사에 의한 종교집단으로, 그들 방사의 말을 믿고서 제나라나 연(燕)나라왕후귀족, 또는 진나라의 시황제(始皇帝) 등이 불로불사신선약을 얻기 위하여 신선이 산다는 발해만 위의 삼신산(三神山), 즉 봉래(蓬萊)·방장(方丈)·영주(瀛州)에 사람을 보내기도 하고 방사에게 신선의 약, 특히 황금을 만들게 하여 그것을 먹음으로써 불사의 몸이 되려고 하였다. 연금술에 의해 만들어진 황금은 불사의 약 중에서 가장 효과가 있는 것이라고 믿었다. 진시황제는 이들 방사가 설명하는 봉선설(封禪說)에 의해서 팔신 가운데의 지주(地主)라 여겨지는 태산(泰山)과 그 지봉(支峰)인 양부(梁父)에서 천지의 신을 제사지내고, 천신교감하여 죽지 않는 몸이 되고자 했다. 전국시대의 제나라는 위왕(威王)·선왕(宣王) 때가 최성기였으며, 그 도읍인 임치(臨淄)에는 중국 각지에서 여러 학자들이 모여들었기 때문에 중국문화와 학술의 일대 중심지가 되었다. 그 중에서도 제나라의 학자인 추연(鄒衍)은 음양오행설제창하여 당시 최고의 학자로 칭송되었다. 방사들은 이 음양오행설을 도입하여 신선설이나 봉선설에 교묘히 이용하였다. 방선도의 발흥은 연·제나라의 해류(海流)에 의한 해상교역과, 명산에서 약초황금을 구하는 방기(方技)의 무리들의 활약과도 관련이 있는 듯하며 한반도에서의 신선설의 형성이나 기타전설도 이러한 현상과 무관하지 않다. 신화 속에서 중국조물주라 여겨지는 황제(黃帝)는 전국시대부터 방선도나 의방술과 연결되어 신선의 조상으로 여겨졌다. 신선이 된
기사메일보내기 독자한마디


이전으로
헤드라인
2017,7,16 주 창세기 13:10 무엇을 바라보십니까?
2017,7,30주 딤전6:7-10 돈
2017, 7, 30 주 예수 안에 있는 생명으로 (요일5:5-12)
2017,7,16주 시편19편12-14 듣고
2017,7,23 주 디모데전서1장12-17절 긍휼함을 입어 능하게 하신 예수
2017,7,30 주 히브리서 2:10-18 이사치사(以死治死
2017,7,23,주 갈 5:22-23 성령의 열매-오래참음
2017,7,16,주 창세기 25장 27-34절 장자의 명분
2017,7,30 주 열왕기상 3장16-28 '솔로몬의 재판에 담긴 세가지
2017-07-30 조용기 목사 하나님, 나의 하나님 사 40:28~31
2017,7,30주 -갈라디아서 6:15-17 그 흔적이 있습니까?
2017,7,30주 이재훈목사 - 이스라엘아 ! 너는 행복하다 ( 신 33 : 26 ~ 29 )
2017,7,2 주 봄부터 준비해야 할 것 - 오정현 목사
20170730 포도원의 굼벵이(이사야 27장 2절~6절) 포도원교회 김문훈목사
2017-07-30 / 구원 받은 두 사람이 베푸는 잔치 / 김삼환목사 / 마 18:21
 | Home | 사이트구조 | 내용검색 | 전체내용보기 | 내용올리기 |
경남 하동군 금남면 덕천리 1431-5 (전화055-883-4843)   Contact Webmas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