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한의 경제 상황과 중국 정부의 종교 정책이 향후 북한선교 향방을 가르는 주요 변수가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모퉁이돌 선교회가 17일 서울 상도동 숭실대 한경직 기념관에서 개최한 세미나에서는 ‘김정일 체제 이후’의 북한 선교에 대한 방안이 모색됐다.
류성민 (한신대 종교문화학과) 교수는 “북한의 경제난은 남한을 비롯한 외부 지원 없이 해결되기 힘들다”면서 “종교계가 그 역할을 상당 부분 담당하고 있는 시점에서 북한으로서는 종교 문제를 고려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다시 말해 남한의 기독NGO들을 비롯한 교계의 인도적 대북 지원이 꾸준히 이어지는 상황에서 기독교를 비롯한 종교에 대한 배려와 유연성이 점차 강조될 수밖에 없다는 의미다.
현 김정일 정권 체제에서도 정치적 목적보다는 경제적 실리에 초점을 둔 북측의 조선그리스도교연맹과 남한의 교계 단체들간 교류가 활발하다.
류 교수는 또 “북한의 종교 정책 상당부분이 중국을 답습하는 양상을 보여왔고, 북한이 사회주의 체제를 유지하는 한 이같은 기조는 이어질 것”이라며 중국의 종교정책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최근 지하교회와 함께 기독교인이 급증하고 있는 중국의 경우, 종교의 자유라는 명목적 선언과 함께 국가 차원에서의 법·제도적 종교 관리, 국가 주도의 종교 연구를 강화하는 추세다.
북한 정권의 체제 변화에 따른 남한교회의 선교적 과제도 제시됐다. 김흥수 목원대 교수는 “주체사상이 김정일 체제 이후에도 존속된다면 종교 영역에서도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다”면서 “한국교회가 주체사상을 탈피한 기독교 본연의 정체성을 제대로 전하지 못한다면 북한 교회와 성도들은 파산되는 것이나 마찬가지”라고 경고했다.
모퉁이돌선교회 국제총무인 이반석 목사는 남한 교단 및 교회의 ‘땅 따먹기식 북한선교’를 우려했다. 저마다 선교 대상지역을 평양 등 대도시 지역에 집중하면서 선교 편중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목사는 또 복음보다는 물질 공세로 교세를 확장하려는 선교 전략도 경계 대상이라고 지적했다.
이밖에 “북한선교는 장기적·단계적 접근을 통한 드러나지 않는 ‘조용한 선교’를 지향해야 한다.”, “경제적 지원뿐 아니라 문화·예술 분야와의 교류를 통한 선교의 다각화가 필요하다”는 제안도 있었다.
박재찬 기자 / 2007.03.18 / 국민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