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회원가입

  홈     교회안내     예배안내     담임목사목회     신구약66권장절전체설교(가입후열람)     교회학교     전도부     교육부     남전도회     여전도회     청년부     봉사부     선교부     예배자료     신앙자료     생활정보     시,수필,컬럼     기도실     이단자료     운영자자료실     가  

  일반교회시사
  이쁜글.좋은글
  각 기관 부서
  교육자료실
  성경공부 방
  오늘의 Q.T
  은혜의 간증
  절기(추수.맥추)
  여름성경학교
  주일학교설교
  고난(사순절)부활절
  5월가정의 달
  성령 강림절자료
  찬송 및 복음송
  기독교영상플레시
  기독교자료
  기독교동영상
  덕천교회 약도
  시사 예화
  유머 예화
  상식건강자료
  고려수지침강의
  가정상담
  한자 사전
  아름다운이야기
  다양한 이미지
  성경말씀 듣기
  기도는어떻게하나?
  선 교 학
  신간도서기독교
  자주묻는질문 답변
  예화자료
  목회설교돕는 정보
  기도원 소식
  북한 탈북자 등
  명언 격언실
  역사신학실
  실천신학실
  현대신학실
  철학이야기
  히브리 헬라어사전
  비교이단자료
  창조와진화론
  1907년 대부흥사
  강해설교
  컴퓨터 배우기
  평신도신학
  유익한 정보
  특선.다큐멘타리
 



성경공부

생활정보

사전사이트



르네상스와 서구문명의 역사 (강의노트)
2007-10-26 05:28:42   read : 3926

르네상스와 서구문명의 역사 (강의노트)

르네상스의 배경/ 대학의 역할/유럽도시의 발달/르네상스의 어원, 기원, 정의 및 개념/르네상스의 역사적 의미/ 르네상스 과학/르네상스 탐구정신/ 르네상스 문예/북유럽의 르네상스 / 르네상스 사학

 

 

르네상스의 배경

중세말 대학의 발전, 도시의 발달, 상업의 융성함에 따라 중세적 세계관에 대한 비판정신이 강화됨. 즉 중세문화와 결별하려는 새로운 시대정신이 필요해짐. (초기에는 이탈리아적 현상으로 나타나고 이후 북서유럽으로 전파됨.

 

대학의 역할

12세기 대학의 설립이래 문화적 활동이 활발해짐. 특히 종이의 사용으로 제지술. 인쇄술 등이 발전하고 서적출판 매매가 활발해짐. 인쇄술의 발달은 성서번역 및 서적출간에 큰 영향을 미치는 근대의 인간정신의 모체가 되었다.

 

유럽도시의 발달

상업적 항구도시인 베네치아와 피사, 제노바, 프로렌츠, 밀라노등의 도시의 역할이 증대되면서 직물제조업, 수공업 및 금융업 등이 중심지로 성장함. 12세기 이래 코뮨 형태의 도시국가가 확산되여 무역의 증대를 통한 부의 축척이 가능해  짐. 북부유럽의 상업도시의 탄생과 발전은 한자도시를 중심으로. 이후 13-14세기 90여개의 북독일 동맹을 결성. 주교좌도시, 남독일도시의 상업도시가 성립.

 

독일도시는 주교자 성당(Dom)을 중심으로 14세기 후반이후 성장함. (건설도시: 프라이부르크, 뮌헨, 베른 등) 피렌체의 메디치家와 황금의 도시 아우구스부르크의 Fugger가는 막대한 권력과 부를 누림. 특히 Fugger가는 유럽의 은생산의 절반을 차지할 정도로 상업자본주의를 주도함.(금융업, 광산업, 제조업의 중심) 푸거은행이 1500년 설립되고 주요도시에 지점망을 확보함. 당시 교황, 고위 성직자, 각국의 군주와 제후들은 은행의 주요한 고객이었다.


르네상스의 어원, 기원, 정의 및 개념

a. 어원: Renaissance 재생, 부활을 의미. 르네상스의 시대적구분은 논란의 대상이고 일반적으로 14-16세기를 일컷는다. 동양에서는 14-16세기의 서양 사회의 문예부흥기의 통념으로 번역해왔다. 따라서 르네상스의 개막을 근대의 출발로 해석하며 암흑시대를 극복하는 시기라는 평한다.

 

계몽주의자  Voltaire는 15세기 토스카나지방을 중심으로 르네상스의 기원을 연구하였다. Michelet는 <16세기 프랑스사> 저술을 통해 르네상스라는 부제를 사용하고 르네상스의 기본방향으로 “세계의 발견, 인간의 발견”의 개념을 사용하여 프랑스인의 정신적 재생을 고취하고 고전문화의 부활을 역설함. 이후 스위스 바젤출신의 역사학자 부크하르트가 르네상스 개념을 집대성함. 그는 르네상스시대를 중세와 근세의 과도기라고 평가함. 그러나 13세기 성프란체스코의 인문주의 사상 등을 평가한다면 르네상스의 근원은 중세라는 견해도 설득력이 있다. (비판적요인: 중세와 르네상스를 지나치게 대조하고 구분하여 역사의 흐름을 단절시키는 경향)

 

b. 정의: J. Buckhardt <이탈리아의 르네상스> 1860년 작: “중세 신의 권위를 부정하고 인간중심주의(인문주의:humanism)를 정신적 내용으로 하고  그 방법에 있어서 그리스-로마의 고전을 수집, 교정, 번역하는 봉건세력의 몰락과 자유도시의 발달속에서 새로운 문화를 만들어 낸 것으로 중세와 근대의 과도기적 현상“으로 정의함. 부크하르트는 이탈리아 도시국가인의 중세의 정신적 억압에서 탈피하여 자유로운 인간과 자연을 존중하고 개인의 재능을 중시하는 문예부흥에 노력하였다고 평가함.

 

르네상스의 역사적 의미

1. 초기 시민계급의 형성과 관련 자유로운 세속화에서 나타난 문화현상. 원인: 중세 봉건세력의 몰락, 베네치아, 피렌체 등 자유도시의 발달. 장원중심의 농업에서 자유로운 수공업으로의 이행 

2. 신의 권위을 부정하는 자유로운 인간중심주의( Humanism).

특징: 미술, 조각, 건축, 공예, 음악, 문학, 과학(연금술, 인쇄술, 화포, 나침반 , 항해법, 역법)등  거의 모든 분야에서 새로운 양상이 전개되고 꽃이 만개함. (15-16세기 전유럽으로 확산: 발견과 발명의 시대, 지리상의 발견시대가 열림.)

 

르네상스 과학

르네상스의 이단자인가? 르네상스는 미에 중심을 두고, 미와 선의 균형과 조화속에 뿌리를 둔 정신문화 현상. 인문주의적 입장에서 과학이란 당시 인간성을 거부하는 몰가치적이 면이 있다는 견해. 르네상스는 인간 및 자연의 미의 조화와 균형및 종교에서의 탈피 뿐 만 아니라,  인간 지성의 성장이라는 보다 큰 입장에서 해석하는 것이 르네상스의 진정한 의미일 것이다. 카톨릭교회는 당시 반르네상스적인 과학을 탄압하고 있었다. 결논적으로 르네상스의 성과는 이후 17세기 과학혁명으로 보다 합리적인 사고체계를 형성케하고 또한 18세기 계몽사상의 밑거름이 되었다.

 

르네상스시대의 과학: 연금술 13-14세기이래 발전. 소수, 대수의 개념의 발견. 인쇄술은 지식혁명을 가능케함 (Gutenberg 1450년경 성서 인쇄). 화포 및 나침판의 출연 (르네상스의 3대 발명: 화포, 인쇄술, 나침반). 이는 모두 아라비아, 중국에서 발명한 것을 방법적으로 혁신시킨 것임. 항해술, 항법의 발견.

 

르네상스 탐구정신

의학, 과학의 혁명을 진전시킴. 근대의학의 탄생:  영국의 하아비(혈액순환의 이치), 네덜란드의 베살리우스 (1514-64) 인체 구조론. 해부학(스위스의 파라켈수스). 자기의 본질(메르카도르), 동물학(게스너).

달력의 개선: 그레고리우스달력의 개선 (그레고리우스13세). 율리우스 케사르역을 정정-1년의 수분의 오차가 누척되면서 16세기 10일의 편차가 생김. 1582년 10월 5일을 10월 15일로 정정하여 10일은 역사에서 사라짐. 프로테스탄트의 반발: 영국은 1752년에 수용

지동설: 갈릴레이,  천동설: 코페르니쿠스 (1473-1543:폴란드) “천체괴도의 회전에 관하여”출판. 지구는 우주의 중심이 아님을 입증: 지구는 자전하며 태양의 주의를 회전하는 행성임을 주장.

 

르네상스 문예

문학: 이탈리아의 단테<신곡>, 페트라르카(계관시인), 보카치오<데카메론>;  프랑스의 라뷸레<가르강튀아>, <테름무의 수도원>, 몽테뉴의 <수상록>; 네덜란드의 에라스무스<우신예찬>; 영국의 쵸서(영국 국민문학의 아버지.1340-1400) <켄터베리이야기>(영국판 데카메론), 섹스피어 (1564-1616): 헬릿등 4대 비극: 로미오와 줄리엣, 오델로, 리어왕. 베니스의 상인: 철저한 자유주의자; 세르반테스(에스파니아출신 1457-1616) <동키호테>를 통한 작가의 정열과 위대한 환상를 보여준 르네상스 정신의 진수로 평가됨.

종합: 르네상스문학은 고전주의로의 복귀가 아닌 탈피하는 장르로 발전해 나가면서 국민문학이 자리잡음.

 

음악: 14세기 세속가곡이 출연하여 기존 종교의 엄격한 격식을 탈피하고 기교음악의 형식을 취함. 미사곡이 발전함. 16세기 팔레스트리나의 고전대위법에 따른 합창곡, 미사곡이 유행하면서 각국어로 번역됨. 

궁정음악: 귀족의  교양취미로 음악은 필수조건. 이후 일반민중의 새 노래가 등장함: 이탈리아의 발라드, 프랑스의 샹숑, 독일의 리드(Lied), 프로테스탄트의 세속가곡이 유행하였다. 16세기에는 찬송 및 합창등이 더욱 발전한다. 예). 케롤송(기쁘다 구주 오셨네 등). 1501년 악보가 최초로 인쇄됨(베네치아). 악기의 발달에 따른 기악이 탄생함 (아라비아의 악기가 개조됨).오르간(페달이용), 쳄발로 등 개발함. 오페라의 등장. 고전음악의 모델은 없었지만 16세기 말 그리스 고전 비극을 부흥한 음악극의 탄생한다.


르네상스의 공예

목공, 금속공예, 유리, 직물공예가 발전. 근동의 영향을 받음.(특히 베네치아 등의 무역을 통한 수입품) 도자기의 발전: 고대 신화와 영웅이야기 및 기독교적 문양과 장식을 삽입함. 당시 직물은 화려한 색체를 유행시킴.(피렌체, 베네치아, 밀라노등의 지역을 중심으로 직물업이 발달함)

 

북유럽의 르네상스


네덜란드(플랑드르지방)을 중심으로 16세기 이후 전성기를 맞음. 종교화, 초상화가 유명함. Van Eyck 판다이크: <신비한 어린양> (강드 대성당); 프랑스의 폰텐불로파 (16세기) 서정정이 풍부함. 성곽 건축등으로 고딕양식이 성숙해짐. 이탈리아 양식의 모방(루부르궁); 독일은 고딕양식의 중심지로 이를 르네상스의 새로운 요소와 접목시킴. 뒤러는 금세공사의 아들 (뉴른베르그 출신)로 독일 르네상스의 상징함. 그는 자연관찰을 통한 색보다는 선을 중시함. 초상화는 홀바인(아우구스부르크 출신의 영국의 궁정화가); 스페인의 엘 그레코(크레타출신 궁정화가)는 르네상스의 전성후기 바로크 예술의 선구적 역할을 함.


르네상스 사학

1. 15/16세기는 르네상스에 따른 휴머니즘운동 및 종교개혁기로 역사사유의 환속에 계기를 마련함. 주요한 과제: 개별적인 것에 관한 인식과 보편적 원리문제(인문주의적 입장)이 강화됨. 그러나 기독교적인 역사관념 또한 양립하는 현상을 보여줌. 15세기 이탈리아에서의 휴머니즘운동으로 인문주의자는 중세의 도그마를 부정히면서 역사연구에도 반영됨. 종교개혁은 특히 만인사제주의의 원리를 통해 개체성의 개념을 정립함으로서 역사인식 발전에 크게 기여함. 이는 역사인식이 증대하는 원인으로 작용하고 카톨릭의 도그마를 비판함


2. 도시의 연대기와 개인의 전기저술활동은 르네상스 역사서술에 큰 영향을 미침. (Buckhardt의 평가 처럼 15세기 이태리인은 도시와 지방의 정신적 차이에 관심을 두었다); 페트라르카 복카치오,부르노 등은 범신론적이며, 자연철학에 의한 자연주의적 세계관을 정립에 기여함. 15/16세기 르네상스 후기에 자연법적 역사사상이 발전됨. 발전배경: 교통과 과학의 발달, 지리상의 발견 등; 종교개혁의 역사적 의미는 새로운 양심과 이성 및 지성에 눈을 뜨게 한 것이며 특히 사회정의, 자유 평등와 같은 개념이 정립되는 여명기 역할을 함.

 

3. 르네상스사학자들의 한계: 역사는 진보가 아닌 순환이며, 역사적 세계는 역사법칙이 아닌 순환의 자연법칙에 의해 지배 된다는 일반적 판단을 함. 그들은 로마-그리스의 사가처럼 역사의 목적을 역사적세계의 외부에서 찾고, 역사적 현실을 단순히 소재화 시키고 있었다. 한편 16세기 인문주의자, 백과사전파의 대두는 문헌학의 발전에 따른 사료비판의식이 강화되는 계기가 마련되고 역사서술의 정확성을 가능케 함. 

 

이탈리아의 르네상스 미술

 

새로운 이탈리아 회화의 탄생/건축과 조각/ 르네상스 회화/레오나드로 다빈치 1452-1519/ 미켈란젤로: 1475-1564/라파엘로: Raffaello 1483-1520/ 베네치아파의 미술

*프랑스의 르네상스(La Renaissance)/ 영국의 르네상스/프랑스의 르네상스

 

르네상스의 초기 새로운 미술은 이탈리아적 국민미술을 의미. 성장배경: 교양을 지닌 시민계급의 지적성장으로 학문과 예술을 독점하였던 수도원세력에 도전하고 인간과 자연에 관심을 두면서 자신의 것을 창조하고자 함. 14세기 말 이탈리아의 미술은 고대 미술의 헬레니즘적 요소를 모방하는 고대 부흥의 경향을 보이면서 동로마의 비잔틴 미술의 지배에서 벗어나 순수한 이탈리아적 국민미술을 원함.


새로운 이탈리아 회화의 탄생: 

피렌체파 (메디치가의 후원): Cimabue / Giotto (1276-1337) 등은 특히 성당과 사원의 벽화장식(성 프란치스코 사원의 벽화)을 통해 자신들의 주제를 인간성과 종교성의 융합(심리적 감동을 표현)에 두었다.

또한 르네상스의 회화의 선구역할은 시에나파가 담당하면서 서정성을 추구하고 현실적인면을 묘사함으로써 비잔틴풍을 탈피함. 두치오 Duccio 마르티니 Martini 1319/1344 등은 고딕의 미세한 선을 중시함.

 

건축과 조각

피렌체는 이탈리아의 “꽃동산”으로 14세기 문화의 중심도시로 조각 콩쿠르를 개최함. ( 상공업 조합주최: 6명의 조각가를 선발 시상)

부르넬레스키는 성모사원의 둥근지붕을 제작하여 (1421-36) 고딕과의 융합을 통한 새로운 양식을 창조한 위대한 건축가. 그는 르네상스 건축의 시조로 고전적 기하학적 원근법을 연구한 최초의 사람.

기베르티( 1403-24)는 성모사원의 북쪽 청동문짝에 그리스도의 이야기를 부조했음. (1426-1452) 동쪽에 구약성서의 이야기를 주제로 부조함(원근법이용). 그는 레오나드로 다빈치, 라파엘로 등에 큰영향을 미침.

도나텔로 Donatello (1386-1466)는 15세기 초 최초의 르네상스 조각을 확립한 대가로 고대로마의 조각을 연구하여 인간 육체미에 숨겨진 사실성을 조각함. (대리석, 청동, 목재이용). 특히 <다비드의 청동상>은 그의 걸작품.

건축과 조각의 성과: 고딕양식에서 탈피하여 내부에는 고대식 열주를 아아치로 연결하는 회랑을 만듦

알베르티 (1404-72)는 <건축론>, <회화론>, <조각론>의 저자이며, 특히 콜로세움, 개선문을 본떠 독창적인 기법으로 설계한 산타마리아의 노벨라사원은 유명한 그의 작품이다. 


르네상스 회화

 

1425년 르네상스 회화가 확립됨.( 르네상스 건축, 조각보다 조금 늦다). 이유: 아비뇽의 국제고딕양식이 유행함(14말-15초).

마사치오 Masaccio (1401-28)는 피렌체파의 거장으로 지오토의 전통+ 부르넬레스키의 원근법+ 도나텔로의 인체조각의 방법을 집대성함. 그는 산타마리아 노벨라사원의 벽화에서 새로운 시대의 양식을 확립시킴. 이후 피렌체파의 후예들은 직관적으로 달성된 리얼리즘의 성과를 과학적으로 연구함. 예) 원급법: 고대 양식에 이용, 이를 르네상스는 보다 과학적인 양식으로 개발함. 또한 인체해부을 통해 근육의 기능을 연구하여 과학적인 정밀성을 바탕으로 한 사실주의의 화풍을 이어감.

보디첼리 (Botticelli 1444-1510)는 독자적인 세계를 묘사, 특히 고대의 자연과 인간미에 관심을 두고 날카로운 사실주의와 장식주의적 묘사에 관심을 둠. (애수어린 서정과 곡선미를 추구함.) 그의 이교적인 회화풍은 관능과 금욕의 모순요인을 결합한 걸작 <비너스의 탄생>, <프리마 벨라의 3미신>을 통해 비너스와 마돈나를 통한 여성미의 매력을 묘사함.



레오나드로 다빈치 1452-1519

수학, 기하학, 문학, 음악, 예술등 모든 분야에서 “만능의 사람”으로 시대를 앞선 예술가였다. “작가의 마음은 신의 마음이다”이라 표현함. 즉 작가의 의도와 상상력에 따라 작품의 성격이 달라진다는 것을 전재함.  그는 자연관찰과 과학과의 접목을 예술에 반영시킴. <최후의 만찬>은 수도원 벽화을 통해 예술가의 상상력이 작품으로 구체화하는 과정을 보여줌.   미완성작이지만 그는 먹지도 자지도 않고 작품에만 몰입할 정도로 새로운 벽화기술을 개발함. 그는 14세에 피렌체에 입문한 이래 피렌체의 귀족 부인의 초상화 <모나리자>를 24세 때 시작하여 4년만에 완성함 (1503). 30세이후 밀라노 17년간 체류하여 미완성의 <최후의 만찬>의 대벽화를 그림. 로마, 프랑스등지에서 교황과 왕실을 위해 일한 조각가로서 10년간 완성한 기마상을 주조함.( 황제 막시밀리안의 결혼 기념때 공개)  기마사은 7미터 높이와 2만 파운드의 무게의 엄청난 것으로 유명하다. 그가 남긴 건축도면은 르네상스 건축의 이상향을 묘사함. 그의 시대는 르네상스의 최전성기로 화가는 천재를 의미하여 교황, 군주와 제후의 절대적인 후원과 신분보장을 받기도 하였다.

 

미켈란젤로: 1475-1564

도나텔로의 화풍을 계승하고 메디치가에서 수집한 고대 조각품을 연구하고 조각과 인체해부에 몰두함. 피렌체시의 자유의 상징인 < 다비드상>(대리석 소재)을 1504년 완성함.자신의 초상과도 같은 작픔으로 골리앗을 쓰러뜨린 힘과 권력에의 승리와 정의를 위미한 최초의 대리석 조각작품이다. 독특한 방법(부조를 하듯 조각법)으로 “물위에 떠있는 밀납인형”처럼 그림 그리듯 조각하였다는 평가를 받음. <카시나의 수중전쟁도>는 피렌체 시청의 대회의실 벽화로 1508년 교황 율리우스 2세의 부탁을 받고 고대 로마의 전통과 기독교의 권위를 접목시키는 예술작품을 완성함. <시스티나 교회의 천장화>는 구약성서 창세기를 바탕으로 “천지창조, 인간의 타락, 노아의 방주: 3장 9화면”을 묘사함. 이 작품은 역사상 가장 대담한 그림으로 평가된다.  <최후의 심판> (1534)는 로마교황의 명으로 그린 시스티나 교회의 정면 벽화이다. 또한 1550년 바티칸성당의 벽화 등이 유명하다. 그의 건축술: 캄프리오광장을 설계함. 그는 72세 때 성베드로사원의 둥근지붕을 부라만테, 라파엘로에 이어 완성시킴. 

         

라파엘로: Raffaello 1483-1520

레오나드로 다빈치가 창조성을, 미켈란젤로가 기백을 상징한다면, 라파엘로는 “르네상스의 조화정신”를 표방한 휴먼이스트이자, 쾌락주의자이며 완벽주의자였다. 그는 37세로 요절하였지만 로마 팡테온에 묻힌 최초의 인간이다. 1504년 피렌체에서 르네상스 양대산맥의 풍을 익힘. 로마 바티간 궁의 장식과 모자이크풍의 천장화는 그이 작품이다. <율리우스 2세 상>, < 작은 의자의 성모> 등은 만년에 바로크풍의 양식경향을 나타냄. <그리스도의 변용: 변모하는 예수님>,  <아테네 학당>을 통해 고대 인문주의 철학, 과학자등 인간을 주제로 함 (플라톤, 피파고라스, 유클리드 및 자신 포함) 그는 15세기 원근법에서 벗어나 밝고 다양한 색체를 사용하여 유동적이며, 개성이 뚜렸한 작품을 통해 르네상스회화의 백미를 이뤄냈다.

 

베네치아파의 미술

르네상스 미술은 16세기말 전성기 이후 쇠퇴하여 지중해-대서양(북유럽)으로 이동한다. 16세기 베네치아는 공화적 자유시로 외교술과 상업적 부를 누린 고대도시로 복고되여 영원한 이상적 자유도시상이 됨. 예술, 건축 등 고대 로마풍으로 거의 모든 도시를 장식함. 조각: 상수비노는 수많은 도시 건축물에 고대 그리스-로마신상을 조각함.

 

피렌체의 르네상스는 전성기를 누리지만 그 열매는 베네치아에서 맺음. 베네치아파는 회화의 형태가 아닌 색체의 완성을 통해 유체화의 선구역할을 함.(플랑드르 화풍과 비교할 때). 그들른 현실적 신앙, 개성적인 관능미, 향연도를 주제로 함. 티치아노: 수많은 비너스를 주제로 작품활동. <성모마리아의 승천>, 서민적 결혼관, 여성의 관능미, 사랑등 인간개성에 주목함. 그는 새를 성적충동, 유리속의 장미는 처녀성(마리아), 강아지는 속세의 울부짖음등으로 상징화하였다. 팔라디오는 그림을 통한 성서이야기를 상징적으로 표현한 작가. 베네치아 저택의 건축물에는 온통 그림으로 장식하는 것이 유행이었다. 이후 유럽 귀족들이 이를 모방하기도 하였다. 베네로제는 고대로마식 대저책의 밝고 화려한 그림장식으로 유명한 화가. 틴토레토는 영적인 것, 상징적인 것을 사실적으로 표현한 작가. 

 

프랑스의 르네상스(La Renaissance)

 

15세기 이탈리아에서 발전한 르네상스는 16세기 프랑스 국민문화의 성장에 결정적이며 지속적인 영향를 주었다. 프랑스의 르네상스 건축은 1530년대 (아재-르-리도(Azay-le-Rideau), 슈농쏘(Chenonceaux)와 같은 루아르(Loire) 강변의 성을 통해 그 특징을 살필 수 있다. 건축물은 특히 망루, 총안, 경사가 급한 지붕을 특징을 띄고 있다. 이후 퐁땐느블로(Fontainebleau)파가 등장하여 보다 세련되고 우아한 장식미술을 발전시켰다. 특히 나무, 화장벽토, 프레스코등을 조화와 균형의 바탕하에 기교적인 수법으로 화단을 지배하였다. 16세기 중엽경에는 그리스-로마의 전통에 따른 고전주의 양식이 발달하여 프랑스의 국민문화의 전통과 결합되었다. (루브르(Louvre) 궁과 뛰일르리(Tuileries)궁)

 

프랑스의 르네상스 문학은 이탈리아에 갔던 인문학자들이 이탈리아 문학을 들여오면서부터 시작된다. 그들은 라틴어로 글을 썼지만 F.라블레(1494?∼1553?)가 나타나 프랑스어로 [가르강튀아와 팡타그뤼엘] 을 써서, 교회와 소르본(파리대학 신학부)의 교조주의 및 위선을 민망할 정도로 조소하였다. 이어 1549년경부터 p.롱사르(1524∼1585)를 맹주로 하는 플레이아드 시파가 페트라르카풍의 서정시를 창작하는 운동을 일으켰다. 종교전쟁으로 말미암아 이러한 문학은 기울기 시작하였으나, 이 어려운 시대를 어떻게 살아 갈 것인가에 대해서 M.E.몽테뉴(1533∼1592)는 고대의 영지를 밑거름으로 하여 3권의 [수상록]을 집필, 인간성의 본질을 추구하였다.

 

르네상스음악의 숨결은 14세기 프랑스의 아소, 이탈리아의 란디니 등의 작품의 감미로움 속에서도 느낄 수 있으나, 15세기의 부르고뉴 악파의 음악에서 더욱 뚜렷해진다. 뒤파이 등의 궁정 샹송은 중세의 전통을 답습하면서도 그 인간적인 정감은 새로운 시대를 예고하고 있다. 15세기 말 16세기에 전개되는 플랑드르 악파의 음악으로 르네상스음악은 본격적인 궤도에 오르기 시작한다. 오케겜, 오브레히트 등에 의한 폴리포니기법의 개척에 이어 조스캥 데 프레의 음악, 특히 그의 미사곡에 이르러 르네상스음악의 전형이라고 할 수 있을 만한 것이 성립된다. 그 일관된 모방양식과 명확한 악절구분, 가사와 음악과의 밀접한 연결, 균형잡힌 악곡구성, 완성된 순환 미사곡의 형태, 미사 각 부에서의 정선율의 유기적인 통일과 변용, 절도 있는 정적인 표출력 등은 음악에서의 르네상스적 요소로서 주목되어야 할 것이다.

 

그 후에도 플랑드르악파에서 많은 대 작곡가들이 배출되었으며, 특히 16세기 후반 의 데 몽테와 라수스의 작품은 그 강렬한 표출의욕면에서도 중요한 작품이라 하겠다. 이들 16세기 후반의 후기 플랑드르 악파의 음악작품은 뒤에 나오는 제수알도나 몬테베르 디의 마드리갈 작품 등과 더불어, 미술사상에 있어서의 마니에리스모와 비교될 만한 것이다. 플랑드르 악파의 작곡가들은 유럽 전 지역에서 활약하였으며, 그들의 성악 폴리포니기법을 르네상스음악의 국제적 양식으로 삼고 있다.

 

프랑스에서는 파리 등 도시 시민계급의 지위향상과 더불어 샹송이 궁정에서 시민들의 가정에가지 파고들어 잔캥 등의 다성(촌토)샹송과 류트반추를 곁들인 독창샹송이 등장하였다. 또, 구디멜 등의 위그노 시편가도 독일 프로테스탄트들의 코랄과 함게 주목할 만한 것들이다.

 

 

영국의 르네상스

 

영국 국민문학의 아버지 쵸서 (1340-1400)는 ' 캔터베리 이야기'에서 영국판 데까멜론을 구상하여 르네상스적인 면을 묘사하였다. 그의  전통은 15세기 계승되었고 특히 의학자 Linacre 리나커(1460-1524)는 이탈리아 여행이후 런던 의과대학을 창립하였다. 영국의 르네상스 문학은 1516년 Thomad More 토마스 모어( 1478-1535)의 저서 'Utopia'에서 급진적인 개혁(노동, 교육, 후생, 경제등)과 이상국가론을 묘사하였다. 그는 헨리 8세의 이혼에 반대하여 처형당한 독실한 카톨릭교도로 유명하다.  한또 한명의  옥스퍼드 개혁파  네덜란드 출신 Erasmus 에라스무스 (1466-1536)는 '우신예찬'을 통해  휴머니즘에 입각한 카톨릭교회의 개혁을 주장하여 루터와 캘빈에 영향을 주었다.

 

한편 엘리자베스 여왕시대에는 연극이 개화하여 W.세익스피어, 벤 존은 등이 출현하였다. 영국에서도 서민적인 관객의 세력이 컸기 때문에 막의 구분 없이 흐르듯이 상연되는 중세 성사극의 전통이 남아 있었다. 따라서 극장도 여러 개 생겨나( 여인숙의 안뜰을 이용한 가건물 형식을 그대로 답습하는 형편이었다) 국민적 정서를 고양하는 역할을 하였다. 연극의 종류에는 민중역사를 소재로한 사극, 배신과 잔학상을 경고하는 선정적인 비극, 이탈리아의 콩트 등에서 소재를 따온 희극, 동화의 세계라고까지 할 수 있는 공상희극 등 여러 가지가 있었고, 때로는 그것들이 한 편 속에 뒤섞여 있는 경우도 있었다. 영국 르네상스 연극에서 가장 빛나는작가는 역시 W.섹스피어지만, 그 외에도 C.말로, 웹스터, p.매신저, 벤 존은 등 많은 작가가 있었고, 이들을 총칭하여 엘리자베스 왕조의 극작가라고 한다. (프랑스에서는 플레야드 시파가 이탈리아의 근대극 을 모방하여 격조있는 비극과 희극을 쓰려고 하였으나 시작의 영역을 벗어나지 못하고 상업주의적인 극장을 정복하지는 못하였다. 독일에서는 한스 작스의 사육제극이 나왔으나 비극은 결실이 없었다.)

 

국의 르네상스 음악은 15세기 말 16세기에 페어픽스, 태버너, 탤리스 등이 나타나 폴리포니 교회음악을 작곡 하였으며, 영국국교회의 성립으로 교회를 위한 새로운 음악이 나오게 되었다. 버드를 비롯한 이 시대의 영국 작곡가들은 가톨릭과 국교회의 양쪽 교회음악을 다 같이 작곡하였다.




독자 한마디

의견쓰기
이 름 E-mail
제 목



프린트하기 기사메일보내기 독자한마디


이전으로
서양근대사
1. 종교개혁에 가담한 인문주의자
루터와 켈빈의 종교개혁
마녀광란 대 전투적 메시아즘운동
30년 전쟁과 네덜란드의 변화
르네상스와 종교개혁시대의 유럽 (강의노트 I)
◎ 르네상스와 종교개혁시대의 유럽
종교개혁사 강의노트(각국사 포함)
종교개혁시대의 역사와 문화 (목록과 목차
르네상스와 휴머니즘
르네상스 음악
르네상스 미술 II
르네상스 미술 1
이탈리아의 르네상스
르네상스와 서구문명의 역사 (강의노트)
르네상스시대의 역사와 문화
 | Home | 사이트구조 | 내용검색 | 전체내용보기 | 내용올리기 |
경남 하동군 금남면 덕천리 1431-5 (전화055-883-4843)   Contact Webmas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