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회원가입

  홈     교회안내     예배안내     담임목사목회     신구약66권장절전체설교(가입후열람)     교회학교     전도부     교육부     남전도회     여전도회     청년부     봉사부     선교부     예배자료     신앙자료     생활정보     시,수필,컬럼     기도실     이단자료     운영자자료실     가  

  일반교회시사
  이쁜글.좋은글
  각 기관 부서
  교육자료실
  성경공부 방
  오늘의 Q.T
  은혜의 간증
  절기(추수.맥추)
  여름성경학교
  주일학교설교
  고난(사순절)부활절
  5월가정의 달
  성령 강림절자료
  찬송 및 복음송
  기독교영상플레시
  기독교자료
  기독교동영상
  덕천교회 약도
  시사 예화
  유머 예화
  상식건강자료
  고려수지침강의
  가정상담
  한자 사전
  아름다운이야기
  다양한 이미지
  성경말씀 듣기
  기도는어떻게하나?
  선 교 학
  신간도서기독교
  자주묻는질문 답변
  예화자료
  목회설교돕는 정보
  기도원 소식
  북한 탈북자 등
  명언 격언실
  역사신학실
  실천신학실
  현대신학실
  철학이야기
  히브리 헬라어사전
  비교이단자료
  창조와진화론
  1907년 대부흥사
  강해설교
  컴퓨터 배우기
  평신도신학
  유익한 정보
  특선.다큐멘타리
 



성경공부

생활정보

사전사이트



칼 바르트 (K. Barth)의 '성령 세례'와 '물
2007-03-02 14:07:32   read : 2557

칼 바르트 (K. Barth)의 '성령 세례'와 '물

세례' (5)


김 재 진(연세대학교)


III,2 예수 그리스도안에 있는 "화해의 행위"로서의 세례의 목적

바르트는 세례의 목적을 세례 양식문 속에 나타난 "ՂՁՐՔՉՎՅՓՈՁՉ ՅՉՒ" 에서 쁹고자 한다. 즉 세례는 그 자체에 목적이 있는 것이 아니다, 언제든지 타자와의 관계를 위한 세례이다. 그것은 세례의 형식문에서 전치사 ՅՉՒ 의 목적어로 나타나 있다. 즉 세례는 분명 그것이 지향하는 분명한 목적이 있다는 것이다. 그 목적은 바로 예수 그리스도 자신이다. 따라서 세례는 단순한 예식이 아니라, 목표를 향하여 앞으로 나아가는 행위이다. 역으로 말하면, 세례는 도래하고 있는 하느님 나라와 더불어 오고 있는 하느님의 심판 그리고 죄의 용서로 닥아오고 있는 하느님의 은총을 받아드리는 것이다. 그러기에 세례 받은자들에게는 하느님의 미래가 현실화 되고 있는 것이다. 그것은 한 마디로 말해서 "에수 그리스도 안에서 일어난 화해의 행위"이다.
이러한 세례의 목적은 기독교의 세례가 요한의 세례와 구별되는 특징이기도 한다. 또한 동시에 이러한 세례의 목적은 오순절 이전의 유대교적 세례와 기독교 세례의 차이점이기도 하다. 즉 기독교 셰례의 목적은 단순히 "죄 용서" 내지는 "씻음"의 유대교적 차원에서 보편성을 갖은 "화해의 행위"로 고양 되었다고 할 수 있다. 바로 이러한 기독교 세례의 목적 내지는 독특성 (요한의 세례와 구별된다는 의미에서)을 바르트는 6 가지로 분류하여 진술한다. 그 6 가지의 특징을 쉬리터 (Richard Schlüter) 다음과 같이 요약 될 수 있다:
"1. 기독교 세례는 긴박하게 그리고 약속으로 가득찬 하느님 나라의 도래 속에서 그리고 인간들 속에서 일어났다."
2. 기독교 세례는 오순절 이후에 형성된 예수 그리스도의 공동체의 세례로서 성령의 부어주심 (Ausgießung)과 전달로 부터 생긴 것이다. 따라서 기독교 세례는 하느님께서 성령을 부어주시길 고대하는 일종의 기도이다.
3. 기독교 세례는 회개를 촉구하는 의미를 갖고 있다. 왜냐하면 이미 예수 그리스도가 심판주로 이 세상에 왔기 때문이다. 바르트는 이를 마 3,11: "나는 너희로 회개케 하기 위하여 물로 세례를 주거니와 내 뒤에 오시는 이는 ... 성령과 불로 너희에게 세례를 주실 것이다"라는 세례요한의 증언으로 뒷바침한다. 그러므로 바르트에 의하면 기독교 세례는 하느님의 심판에 대한 예리한 경고 속에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러나 믿고 순종하는 자에게는 하느님의 義의 성취에 참여 하게 되는 것이다.
4. 기독교 세례는 요한의 세례 비하여 더 근본적으로 "죄 용서 속"에서 수행되어지는 것이다. 즉 하느님의 구원의 계시 사건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세례받은 자는 "Credo ... r e m i s s i o n e m peccatorum"을 고백하는 것이다. 그러나 죄 용서는 장래에 일어날 사건이 아니라 이미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성취된 것을 단지 믿음으로 수용하는 것이다. 성령을 선물로 받는 것이다 (행 5,31; 11,18). 왜냐하면 "죄 용서"의 약속은 이미 예수 그리스도를 통하여 성취되었기 때문이다.
5. 기독교 세례는 바르트에 의하면 교회 공동체를 불러모으는 형식적인 역활을 한다. 즉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 아래 사람을 불러 모아 하나의 공동체를 이루는 소명의 의미를 갖고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세례 받은 자는 모두가 형제와 자매로서 교제 (Gemeinschaft)를 나눈다. 한 마디로 말해서: "예수 그리스도의 증언자들의 교제 (Gemeinschaft der Zeugen Jesu Christi)"를 나누는 것이다.
6. 더 나아가 기독교 세례는, 바르트에 의하면, 세례 요한의 세례와 연속성을 갖고 있으면서, 그 의미, 즉 회개 촉구, 계승하는 것이다. 왜냐하면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일어난 사건은 모든 사람에게 - 유대인에게나 헬라인에게 - 회개 촉구의 사건으로서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신앙과 그의 이름으로의 세례를 요구하는 것이다. (엡 3,6; 2,19)
요한의 세례와 비교하여 이상의 기독교적 세례의 특징이 있다고 하더라도, 양자는 그 목적에 있어서 일치한다. 즉 양자는 모두 하느님의 구원사역을 회상하고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양자의 세례가 궁극적으로 목적하는 바는 바로 예수 그리스도이다. 예수 그리스도 안에 있는 하느님의 구원사역이 성령의 역상를 통하여 실현되어 질 것을 고대한다는 것이다. 여기서 우리는, 바르트는 성령의 계속적 사역을 전제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제 끝으로 종합하면, 바르트에게 있어서 예수 그리스도는 의심할 여지 없이 세례의 근거이며, 동시에 목적이다. 세례의 목적 (Telos)는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일어난 하느님의 구원 사역이 성령의 역사를 통하여 각 개인에게서 현실화 되는 것이다. 이러한 하느님의 사역에 인간은 성실하게 응답하고 그 사역에 순종함으로 동참하는 것이다. 그리고 그 순종의 표현이 바로 기독교의 세례이다. 그러한 의미에서 세례는 동시에 인간의 신안적 결단이다. 그렇다면 세례의 의미는 무엇인가?




독자 한마디

의견쓰기
이 름 E-mail
제 목



프린트하기 기사메일보내기 독자한마디


이전으로
목회클릭
정보를 가공하라
목회력은 정보력이다(?)
새벽에 목적이 이루어지다
정말 열심히 했습니다.
목화자 건강
시사따라잡기
목화자 건강
시사따라잡기
가족, 부활이냐 몰락이냐
당뇨병은 ‘꾸준한 관리’와의 싸움
장기려, 그 사람 /2배 빨리 2배 많이 야무지게 책읽기
나는 설교를 이렇게
사순절 다섯째주일
보테슈머 (Beautesumer) 등
 | Home | 사이트구조 | 내용검색 | 전체내용보기 | 내용올리기 |
경남 하동군 금남면 덕천리 1431-5 (전화055-883-4843)   Contact Webmas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