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회원가입

  홈     교회안내     예배안내     담임목사목회     신구약66권장절전체설교(가입후열람)     교회학교     전도부     교육부     남전도회     여전도회     청년부     봉사부     선교부     예배자료     신앙자료     생활정보     시,수필,컬럼     기도실     이단자료     운영자자료실     가  

  일반교회시사
  이쁜글.좋은글
  각 기관 부서
  교육자료실
  성경공부 방
  오늘의 Q.T
  은혜의 간증
  절기(추수.맥추)
  여름성경학교
  주일학교설교
  고난(사순절)부활절
  5월가정의 달
  성령 강림절자료
  찬송 및 복음송
  기독교영상플레시
  기독교자료
  기독교동영상
  덕천교회 약도
  시사 예화
  유머 예화
  상식건강자료
  고려수지침강의
  가정상담
  한자 사전
  아름다운이야기
  다양한 이미지
  성경말씀 듣기
  기도는어떻게하나?
  선 교 학
  신간도서기독교
  자주묻는질문 답변
  예화자료
  목회설교돕는 정보
  기도원 소식
  북한 탈북자 등
  명언 격언실
  역사신학실
  실천신학실
  현대신학실
  철학이야기
  히브리 헬라어사전
  비교이단자료
  창조와진화론
  1907년 대부흥사
  강해설교
  컴퓨터 배우기
  평신도신학
  유익한 정보
  특선.다큐멘타리
 



성경공부

생활정보

사전사이트



유교의 도덕교육 연구
2007-03-29 03:41:14   read : 2558

                            유교의 도덕교육 연구 >장하열(원광보건대학 교수)

목 차

 

Ⅰ. 序 論
Ⅱ. 宗敎와 道德敎育
    1. 宗敎의 槪念
    2. 道德敎育의 意味
    3. 宗敎와 道德敎育의 關係
Ⅲ. 儒敎의 道德敎育
    1. 儒敎道德 思想의 源流
    2. 仁 思想의 道德敎育的 意味
    3. 道德敎育內容과 方法
Ⅳ. 結 論--儒敎道德敎育의 特徵

 

 

Ⅰ. 序 論

 우리는 농경사회와 산업사회를 거치면서 정보화 시대를 맞이하였다. 농경시대에는 토지의 가치가 중심이되고 산업사회는 지식 기반아래 과학과 기술이 결합하여 산업을 발전 시켰다. 이제 우리가 맞이하고 있는 정보화 사회는 다양한 정보에 의해 가치가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사회의 변화는 지식에 의해 과학을 발전시키고 이에 바탕한 기술 개발로 경제적 발전과 부를 촉진 시키게 된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발전의 주역인 인간은 어떠한 모습인가? 지식의 폭증으로 과학기술을 최대로 발전 시켜 과학문명은 성황을 이루고 있으나 오히려 그 주체인 인간의 智慧는 상실되고 인간소외의 갖은 고난을 당하고 있는 것이다.
 즉 오늘날 인간은 유전자 조작의 윤리문제와 환경호르몬에 의한 생명 파괴적인 문제와 生命,環境에 대한 道德的인 문제 그리고 人間의 基本道德, 共同體道德과 社會正義의 道德意識의 결여등 심각한 道德不在의 문제를 제기하지 않을 수 없게 된 것이다. 이러한 문제는 또한 이기적 욕망과 불신 풍조를 불러오게 되었다. 그리고 마약, 뽄드와 약물 중독증, 폭력등 많은 범죄가 만연 하여 가정이 파괴되고 不道德의 사회로 나아가고 있는 것이다. 
 논자는 이러한 문제 해결의 본질적 대안의 하나로 도덕교육을 제기 하고자 한다. 인간이 존재하는 곳이면 어느 형태 이던간에 도덕교육이 존재해 온 것이 사실이다. 청소년에게 가르치는 도덕교육이 종래에는 지식중심의 교육에 치중 한 점이 많았다. 도덕교육 마저도 도덕적 규범을 암기 하도록 하고, 도덕적 德目을 수동적 他律에 의하여 실천 하도록 강조했던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도덕교육은 도덕교육의 본질적인 효과를 기대하기란 어렵게 된 것이다. 이러한 처지를 그대로 방치한 채 도덕교육 까지도 계속 지식중심으로 나아가게 된다면, 과학기술 문명이 발달된 정보화 사회로 나아가면 갈수록 인간의 지혜는 완전히 상실되고 더욱 심각한 도덕 문제가 제기 될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도덕적 요구에 부응하기 위한 목적에서 출발 하였다. 즉 새로운 도덕교육의 방법을 유교정신에서 찾아 보고자 한다. 이를위한 연구의 항목을 제시하면 1)종교와 도덕교육의 관계를 고찰하고 2)유교가 지향하는 도덕교육을 공자의 교시에 의하여살핀후 3)유교에서 나타난 도덕교육의 특징을 중심으로 유교도덕교육을 현대적으로 조명하고자 한다.
   
Ⅱ. 宗敎와 道德敎育

1. 宗敎의 槪念
종교는 인간 삶의 가장 근원적인 내용을 다루고 있다. 종교는 숭고하고 위대한 대상인 초자연의 신을 숭배하고 신앙하여 安心立命을 얻으려는 교의라고 정의하고 있다. 여기에서 그 숭앙의 대상은 곧 신을 의미하는 것이다. 종교의 세가지 성질에 대하여 알란 하리스는 첫째, 신, 특정인물 또는 어떤 추상적 개념등 영감을 불러 이르키는 대상이 존재한다. 둘째, 이 감정은 경외심을 포함해야 한다. 즉 지극한 경배심, 압도되는 느낌, 자신의 무력함을 느끼게하는 감정, 거대한 경탄의 감정등이다. 셋째, 경외심으로 나타나는 것이 예배이다. 대부분의 종교에서는 의식의 요소가 대단히 중요하며 신자들의 신앙대상에 대한 신심을 북돋우며 유지 시키며 강화 하도록 꾸며졌다.고 보았다. 이러한 견해는 종교적 감정의 본성에 대한 입장인 것이다.    
 중국 문화 속에서 나타나는 종교개념은 윤리의 상벌, 인간성의 완성, 우주의 원리 등 세 가지 측면으로 보고 있다. 상벌은 종교의 진로를 사회적 도덕적인 관계로 이끌어 인간세계 위에 도덕적 기틀을 뿌리 내리게 하였다. 인간본성의 회복을 통한 인간의 완성은道를 획득하는 것이며 佛性을 깨닫는 것이며, 하늘을 섬기는 것이다. 종교를 우주의 원리라는 측면에서 본다면 이 영혼이 의미하는 것은 만물의 신비이고 우주전체에 그 영혼이 충만해 있다고 하는 것이다. 종교는 완전성, 절대성, 영원성 등으로 표현 되고있는 궁극적인 세계를 사모하며 희구하며 실현하려고 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보면 종교란 궁극적인 관심에서 출발하며 그러한 관심은 종교들이 가지고있는 공통적인 특징이며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인간능력의 이상에 대한 믿음이다. 둘째, 유사한 의식이다. 셋째, 종교적 교훈이다. 넷째, 구원관이다.
 이러한 특징이 시사하는 바에 의하면 종교는 사람이 초월적인 힘에 의지하기 위한 수단이며 의식은 초월적 힘에 의한 구원을 기원하는 방법이며 궁극적 존재와의 부단한 교섭이라고 볼 수 있다. 여기에서 종교적 교훈과 관련하여 종교의 의미와 기능을 살펴보면 종교는 자비, 사랑, 은혜, 예절, 봉사, 겸양 등 인간이 함께 사는 데 필요한 덕을 가르치고 있는 것이다.
 결국 종교의 의미는 우주의 궁극적 진리를 깨달아 도덕적인 인간 세계를 정립하는 맥락으로 이해된다. 인생의 '궁극적 관심'을 포함하고 인생에 대한 해답을 제공해주며 인간에 대한 윤리적, 도덕적 규범을 제공해 주는 역할을 한다. 그러므로 종교의 가치가 지향하는 점은 궁극적으로 도덕이 지향하는 바와 상통하고 있는 것이다.

2. 道德의 槪念
道德은 인간생활의 질서를 유지하기 위한 根本原理이다. 도덕은 강제성은 없지만 인간이 인간과 인간, 그리고 자연과 균형을 이루며 더불어 살 수 있도록 하는 자연스러운 실천행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도덕의 원리는 어디에서 부터 나타나게 되는 것인가. 도덕이란 무엇인가를 논의할 때 道와 德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한자어의 '道'는 길을 의미하고 '德'은 큰, 品行, 恩惠 등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도덕은 큰길, 품행의 길, 은혜의 길이라고 풀이 할 수 있다. 도에는 하늘의 해와 달이 가는 길인 천도가 있고 사람의 실행 행적으로 나타나는 인도가 있다. 天道는 시공을 초월한 자연의 기본원리인 형이상자적인 보편원리이다. 그리고 덕은 시공에 대처하는 인간행위에 나타나는 도의 具現 또는 證市된 형이하자적 실제행동이다.
 소태산 대종사는 천지에는 道와 德이있으니, 우주의 大機가 자동적으로 운행하는 것은 천지의 도요, 그 도가 행함에 따라 나타나는 결과는 천지의 덕이라고 말하고 있다.
이러한 도덕을 설명한 내용에서는 "도라는 것은 쉽게 말하자면 곧 길을 이름이요, 길이라함은 무엇든지 떳떳이 행하는 것을 이름이니, 그러므로 하늘이 행하는 것은 天道라하고, 땅이 행하는 것을 地道라하고, 사람이 행하는 것을 人道라고 설명하고 있다. 한편덕은 어느곳 어느일을 막론하고 오직 恩惠가 나타나는 것을 이름이니, 하늘이 도를 행하면 하늘의 도가 나타나고, 땅이 도를 행하면 땅의 은혜가 나타나고, 사람이 도를 행하면 사람의 은혜가 나타나서, 천만가지 도를 따라 천만가지 덕이 나타나니라"고 하였다.   
 이처럼 도로써 파악된 원리가 인륜적 체계에 轉化되었을 때는 당연히 인륜의 이법과 실천적 행위가 문제인 것이다. 따라서 '인간은 어떻게 행위 하느냐'라는 당위가 요청될 것이다. 이러한 당위의 행위는 도덕적 행위이며 이것은 선한 행동 또는 의로운 행동을 지향하려는 인간심리의 반영이며, 선을 옹호 하려는 사회심리의 반영을 의미하게 된다.

3. 宗敎와 道德敎育의 關係 
종교와 도덕의 관계는 어떠한가. 종교는 언제든지 혹종의 기성도덕을 보유하는 것이다. 종교는 무엇보다 먼저 인류의 윤리적 경향을 가장 성실하게 증언하며, 도덕의식을 표현하며 종교는 역사적 발전의 장구한 과정에 있어서 도덕적 이념의 유일한 보유자인 것이다. 기성도덕은 거의 전부가 종교적 세계관의 형식으로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도덕은 종교의 본질적인 부분이라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종교는 正義와 慈悲와 사랑 등의 도덕적 속성으로 신을 특징 지으면서 기존의 도덕적 관념과 이상을 수용하였던 것이다. 즉 그들이 경배하는 신은 도덕적으로 완성된 존재로 제시되었다.
 종교교육은 종교의 본질에 대한 신앙 수행의 연속적인 숙달과 신앙 행위의 지속적인 활동에 의하여 신과 궁극적 존재와의 합일을 이루는 것이다. 도덕교육의 근본적인 의미는 도덕의 본본질과 내용에 관한 문제들을 정면적으로 다루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종교교육과 도덕교육은 결국 인간의 본성을 추구한다는 의미에서 상통점이 있다. 추구하는 방법상에는 각 종교의 신앙행위 마다 차이가 있듯이 도덕교육에 있어서도 그 목적은 善行과 正義實現, 인간다운 생활로 행복한 삶을 위한 人格의 陶冶라는 목적은 상통하지만 그 방법론에 있어서는 차이가 나타나게 된다. 여기에서 중시해야 할 것은 도덕교육의 방법론을 어떻게 정립 할 것인가에 대한 과제가 있게된다. 
 따라서 오늘날 도덕교육의 문제는 무엇이며 도덕교육을 통해 얻어야 할 것은 무엇인가?를 생각해야한다. 그것은 성장 세대인 청소년이 도덕교육을 통해서 좀 더 자유스러워지는 것이고 그들의 교우관계에서 문제되고 있는 '집단 따돌림'과 '학원폭력' 그리고 '환경문제, 생명의 경시풍조', '인간의 기본적인 경노, 효친의 문제', '사회정의' 등을 통해서 청소년들의 삶의 질이 개선되는 것이다. 이러한 問題는 他律的 訓示에 의해서 이루어 가기가 힘든 부분이다. 청소년들이 천지의 도와 덕을 깨달아서 스스로의 몸과 마음에 배어 행동을 통해서 은혜가 나타나도록 하는 것이 커다란 과제로 제기 되고 있다. 즉 모든 사물과의 恩的 관계를 이해하고 도덕의식을 깨침으로써 진정 무엇이 그들을 자유롭게 하는가를 알고 대처능력을 길러줌으로써 가능해 질 것이다.
 도덕교육의 내용은 청소년들이 인간과 자연과 나와의 관계 속에서 상생적 관계를 이루려는 도덕적 원리를 각득 하고, 있는 그대로 진리를 믿게 하며, 도덕교육의 방법은 도덕교육의 내용들이 사물을 판단하는 준거가 되어 자신의 마음작용과 행위를 있는 그대로 바라보고 원래의 도덕성에 대조하여 도덕적 판단을 하게 될때 힘이 길러지는 것이다. 새 시대에 맞는 청소년의 도덕교육은 도덕이 왜 우리 삶에 유익을 주며 어떻게 하는 것이 도덕공부인가를 알게 하여야 한다. 그들 자신이 도덕의 훈련을 하게 되면 자신의 인생이 어떻게 달라지는가 를 알게 하여 실생활에서 응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야 한다고 본다.

Ⅲ. 儒敎의 道德敎育

1. 儒敎 道德思想의 源流
유교에서 바라보고 있는 인간의 최고 목표는 무엇인가? 그것은 聖人이 되는 일이고 성인의 최고 목표는 天人合一의 경지에 이르는 일이다. 최고목표인 하늘과 사람의 일치에 대해 논의 할 때 하늘의 의미는 무엇인가를 규명해야 한다. 하늘의 의미는 유교의 우주관에서 추출해야 알 수 있다. 종래의 유교사상의 天, 天命, 天帝는 우주의 주재천으로 보기도 하고 자연천, 의리천등으로 보았다. 보편적 법칙의 근거로써 천은 더 이상 만물의 주재자로서의 성격을 상실하고, 만물의 속성으로서 또 자연 법칙으로서 인식되기 까지한다.
周易에서 말하는 易의 卦爻는 천지를 본떠 만든 것이다. 그러므로 天地의 道를 두루 포함 시킬 수 있다. 우주만유는 한번 생하면 불변하는 것이 아니라 시시각각으로 변화한다. 이 변화는 動에서 일어난다. 천지지간에는 본래부터 本有原力이 있다. 天道는 음양이고, 地道는 강유이고 人道는 인의이다. 음양 강유의 도는 천지의 덕성이요, 인의의 도는 인간의 덕성이다. 따라서 인간도 우주의 一物 이므로 자연법칙에 따르게 되고 또 만물 중에서 우수한 존재인 까닭에 인간으로써의 당위 법칙을 따른다. 공자에 있어서 天은 자신의 존재 원리로서 나타난다. "桓 가 해치려 하였을 때 하늘이 나에게 德을 주었으니 桓 가 나를 어떻게 하겠는가"라고 한 말에서 나타나 있드시 천은 공자 자신에게 德을 부여해 준 存在의 原理로 이해되고 있다.
이러한 견해는 天이 대자연의 덕성을 가지고 있다는 점을 추론케 한다. 따라서 만물도 각각 개체마다 덕성을 구유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을 바탕으로 하여 중용 사상에서는 天命에 의해 인간에 부여된 것을 性이라 하며, 그 성을 따르는것을 道라고 하며, 도를 닦는 것이 敎라고 했다. 즉 천명을 인간과 만물의 존재의 본질로 파악 하였다. 인간의 本性이란 天에의해 부여 된것이며, 천 에의해 부여된 본성을 따르는 것이 인간의 道理 즉 당위 라는 것이다. 따라서  천은 나의 밖에서 나의 행동을 관찰하고 명령하는 外在的 존재가 아니고 自我를 의식하여 人性속에 內在한 도덕률을 통하여 나의 속에서 느껴지고 이해되고 자각된 天인 것이다.
 이것은 천을 이해함에 있어서 인간의 본질인 仁을 통하여서만 이해되는 천이니 인간의 주체성으로서의 仁을 떠나서는 천이 천이 되는 까닭을 알수 없는 것이다. 그러므로 天이란 유교가 지향하고 있는 인간의 道德性의 원류이며, 인간됨의 완전한 구현은 도덕성의 완성에서 찾게 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유교가 지향하고 있는 天人合一의 목표점에 도달할 수 있는 도덕교육의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다.

2. 仁思想의 道德敎育的 意味
孔子와 孟子의 사상으로 대표되는 儒敎는 각자의 정신을 고양하고 내면적 도덕성을 함양하여 이를 사회에서 온전히 실현하고자 한다. 이러한 유교의 목표를 천인합일 이라는 말로 표현하고 있다. 이 경지에 이를 수 있는 유교의 근본 사상은 그 도덕적 원리로써 仁, 義, 禮, 智등 四德으로 말할 수 있다.
 맹자는 인간의 善한 마음을 인간의 심리현상에 연결하여 설명하고 있다. 인간의 마음에는 원래 다른 사람의 곤경에 대하여 측은하게 여기고, 예의에 어긋난 행동을 하면 부끄러워 하며 어떤 상황에서 든지 타인에게 사양하는 마음이 있고 시비를 가려서 행동하게 된다는 四端之心은 四德을 실현하는 중요한 덕목으로 나타나 있다. 즉 측은의 마음은 仁의 端 이고, 수오의 마음은 義의 端 이고 사양의 마음은 禮의 端이고 시비의 마음은 智의 端이다.
 仁이란 공자의 견해에 의하면 인간의 道理 라고 단정하고 있다. 즉 인이란 인간됨의 본질이라고 설파한 것이다. 맹자는 仁 을 사람의 마음으로 설명하고 있다. 또한 공자에게 안연이 인에대한 견해를 묻자 대답하기를 남을 사랑한 것 이라고 하였다. 이러한 인의 견해는 맹자도 같은점이 있다. 맹자도 인은 사람을 사랑하는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 이처럼 孔,孟은 같이 완전한 인간다운 마음은 남을 사랑하는 것이라고 규정하고 있다.
 공자는 仁을 위해서는 자신의 생명을 바쳐야한다는 견해를 피력 하였다. 이러한 인에대한 설명은 인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생명 까지라도 바쳐야 하므로 인의 실현은 이타행의 적극적인 표현이라고 볼 수 있다.     
 義는 仁이라는 덕목을 기반으로 이를 구체적인 인간관계 에서 개개인이 마땅히 준수 해야할 행동의 원칙 또는 기준이 된다. 의란 어떤 상황의 당위성을 뜻하는 개념이다. 공자는 "군자는 의에 밝고 소인은 이에 밝다고 말 하였다. 이와같은 견해는 유교의 도덕 교육 가운대 중요한 원리가 되고있다.
 禮는 안연이 공자에게 仁에 대한 물음에서 극명하게 나타난다. 공자는 仁에대한 대답으로 克己復禮 하는것이 禮라고 대답 하였다. 안연은 예의 조목을 공자에게 물었다. 공자는 말하기를 예가 아니면 보지도말고, 예가인면 듣지도말고, 예가 아니면 말도말고, 예가 아니면 동작도 말라고 한 것이다. 부모에 대한 예의 실천 으로써는 살아계실 때는 예로써 섬기고, 죽은뒤에는 예로써 장사 지낸다.  이처럼 유교의 예는 부모와 대인 관계에서 구체적인 仁의 실천을 강조하고 있다.
 智는 유교에서 추구하는 지식, 지혜를 의미하며 그것은 주로 세계의 근원적 실재이며 도덕적근거인 天命에 관한 것이며 인간에 대한 앎이다. 공자는 "50세에 천명을 알았다하고 천명을 알지 못하면 군자가 될 수 없다고 하였다. 맹자는 是非之心을 智의 단서라고 하여 인간의 모든 선악, 시비의 마음이 내재해 있는 선험적인 양지를 구현하는데 있다고 보았다. 이러한 측면에서 보면 유교의 智는 예를 비롯해서 인간의 구체적인 행동을 조종 하도록하는 표준이 된다.  
 
3. 道德敎育의 內容과 方法
1) 道德敎育의 內容
위에서 논의한 四德은 信과 합하여 五常이 되며 이는 다시 五倫으로 나타나고 이 오륜사상은 유교도덕 교육의 내용을 이루고 있다. 유교의 도덕교육의 완성은 사람으로써의 사람이 되도록 까지 구체적인 교육내용을 제공 해주고 있다고 본다.
薛敬軒 戒子書에 사람이 禽獸와 다른 소이는 倫理일 따름이니라 무엇을 倫이라 하는가? 父子·君臣·夫婦·長幼·朋友의 다섯 倫序가 이것이니라. 무엇을 理라 하는가? 父子有親·君臣有義·夫婦有別·長幼有序·朋友有信, 이 다섯가지의 天理가 이것이니 인륜에 밝고, 또 그것을 다하여야 비로서 사람의 이름을 얻어 부르게 된다고 가르쳤다. 孟子는「사람이 도 있음에 배불리 먹고, 따뜻하게 옷입고, 안일하게 지내면서 가르침이 없은 즉, 금수에 가까울 것이니.......라고 하였다. '敎' 즉 인륜의 가르침이 없으면 금수와 인간이 하등 다를 바 없다고 하여 인륜의 고귀성은 역설하였다.
 그러면 인륜이 어떠한 의미로 규정되며 또 과연 어떤 점에서 금수와 인간이 구별 되어지는가? 그러한 금수와 인간을 판별하는 가치와 기준 그리고 인간이 행해야 할 도덕 교육의 내용은 오륜이라고 볼 수 있다.
 父子有親은  유교사상 에서 효를 어떻게 실해 하여야 하는가를 찾아보는 내용이 되고 있다. 孔子는 親에 대하여 복종 하여야 할 것을 규정하고 있다.『논어』에서 공자가 말하시기를 아들된 자 그 아버지가 살아 있을 때에는 자기 마음대로 일을 처리하지 못하는 것이므로 그 아들의 행실을 보고 착하다 사납다고 판단할 수 없기에 그 뜻하는 것을 보고 판단할 것이며, 아버지가 죽은 후에는 아들이 자기 마음대로 처리함으로 그 처리하는 바를 보고 선악을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아버지의 삼년상을 치르기 전에는 설사 그 아버지의 행위에 다소 잘못이 있었다 하드라도 될 수 있는데까지 그 아버지의 한 일을 그냥 둘 것이니 너무 슬퍼서 사모하는 정이 깊으므로 참아 고칠 수 없을 것이다. 그래야만 참말 孝子라고 말할 수 있다」라고 하여 부모의 도는 위선 그대로 이행 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물론 부모의 행위가 정당하지 못할 때에는 논어 이인편에서 기련하다고 하였다. 그러나 父之道에 거역 하라고는 하지아니 하였다. {논어} [위정편]에서 맹을자는 효를 물은 즉「無違라고 답하였다」그리고 설명하기를 生.死.祭를 예로 일관하라고 하였으니, 그것도 역명하지 말고 오로지 복종하라는 것을 나타낸다고 하겠다.
 君臣有義는 군과신의 관계가 의로 합한자와 같다하여 맹자는 군신유의라 하였다. 여기에서 군신 관계는 임금은 신하에게 分을 發하고 신하는 임금을 공경하여 충심으로 모시는 것을 말한다. 공자는 신하 관계의 원활성을 위하여 임금이 신하를 부리되 禮로써하고, 신하는 임금을 섬기되 忠으로 하라고 하였다. 그러므로 다만 자기의 맡은바 임무를 충실히 이행 하도록 노력 하면 된다는 것이다. 군신이 함께 해야할 일은 궁극적으로 국가 사회를 위하는 것이된다. 군의 使臣도 臣의 事君도 그 범주를 초탈할 수 는 없는 것이다.
 夫婦有別에 대한 설명에서 別은 내외 또는 인도하고, 따라가는 別이라하여 부부는 그 할 바의 일이 다르다는 것이다. 주역에는 女는 貞함이 利 한다고 설명하고 있다. 부부인 남녀의 도는 내외로 剛柔로 乾坤으로 陰陽으로 표현 되고 있다. 이러한 對와 서로 합하여 하나의 조화를 이루게 된 것이다. 이와같이 조화 되면서도 다른점을 갖고 있는 것이 별이다.
 長幼有序에서 長은 오래되고 신체상 체성이 구비된이는 어른이고 幼는 새롭고 체성이 미비한 것은 어린이가 된다. 즉 시간상의 장단과 공간상의 대소와 윤리상에 있어서 장유가 된다 그러므로 時,空,在에서 이루어지는 자연적 질서이다.  맹자는 長幼관계에서 형은 우애하고 동생은 공경하는 것이라고 하였고 공자는 형우제공 하므로써 형제는 이이 하다고 하였다.
 朋友有信은 朋은 덕을 중심으로하여 아는 지기요, 友는 사업을 중심으로 안 지기이다. 그러므로 사회 교제에 신의라고 한 것이다. 人言爲信 즉 사람은 말한 것을 지켜야 信이 성립된다. 이 군신과 붕우의 윤리는 가정의 윤리에서 사회로 확장한 것이다.     
 이상의 오륜사상은 유교의 실천윤리로써 인류의 장구한 역사의 흐름과 함께 오늘에 이르고 있다. 여기에서 유교의 오륜사상을 다시 현대적 의미를 부여하여 설명하면, 국가의 윤리이면서 상하 관계의 윤리로써는 군신유의를 말할 수 있고 가정윤리 이면서 상하의 윤리는 부자유친 그리고 가정과 사회의 윤리로써는 장유유서 등을 들수 있겠다. 또한 가정의 윤리 이면서 평등의 윤리로써는 부부유별을 생각 할 수있으며 붕우유신은 친구간 뿐만 아니라 사회에서 믿음을 바탕으로 한 폭넓은 신의의 도덕을 실천하도록 하는 도덕 으로써 그 가치가 발현되어 나가야 한다고 본다.
 2) 道德敎育 方法
 儒敎의 道德敎育은 자기 자신이 도덕의 내용을 생활로 삼을 것을 요구한다. 유교는 자신이 자기의 철학을 표현하는 길이며, 자기생활의 신념에 따라 사는 것이 자기 삶의 일부였다. 그러한 생활의 과제는 我慾을 초월한 순수체험인 천인합일의 경지까지 이르도록 끊임없이 자신을 수련 시켰고, 이런 수련과정을 停止 할 수 없었다. 왜냐하면 정지는 곧 이기심의 출현과 천인이 합일된 경지의 상실을 의미 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지적으로는 항상 모색을 계속했고 행실로는 언제나 옳게 하거나 하려고 애를 썼다. 知行이 미분되므로 자신속에 유교도덕 본래의 의미에 있어서의 종합이 구현 되었다.
 공자는 시간선상 에서의 교육으로 생애의 단계를 나누어 人格向上 을 위한 교육의 단계를 설정하여 제시하고 있다. 그것은 15세에 학문의 뜻을두고 30에 자신의 뚜렷한 입장을 세웠으며, 40에는 의혹이 없었으며, 50에는 천명을 알았고, 60에는 이미 명을 따랐고, 70에는 마음이 하고 싶은대로 해도 법도를 넘지 않았다. 공자가 여기에서 말하고 있는 학문은 도에 뜻을 두는 것이고 도를 깨달는 것이다. 즉 도에 뜻을 세우고 도덕적, 정신적으로 인격을 갗추어 나아가 종국에 가서는 天理를 깨달아 자유로운 경지에 이르는 것을 최종 목표로 삼는 솔선수범의 교육을 엿볼 수 있다.
 또한 도덕교육의 실천 단계로써는 修身, 齊家, 治國, 平天下의 과정을 거쳐 점진적으로 확충 하도록 가르치고 있다. 예컨대 몸을 닦은후에 집을 구제하고 집을 구제한 후에 나라를 다스리고 나라를 다스린후에 천하를 평정하게 된다는 말에서 나타난다. 그런데 수신의 이전단계가 있어서 그 심도있는 교육방법이 있다는 점에서 유교 도덕교육의 깊은면이 있다. 즉 사물을 구명한 뒤에 앎에 이르고, 앎에 이른 뒤에야 뜻이 정성되고, 뜻이 정성 되어야 마음이 바르게 되고, 마음이 바르게 된 뒤에야 몸이 바르게 닦아 지게된다는 가르침이 그것이다. 대학은 仁 思想을 실현하기 위하여 三領領인 明明德, 親民, 至於至善을 제시하고 있다. 그리고  八條目인 格物致知와 誠意正心의 방법을 적용하여 가르치고 있다.
 格物 致知는 주자와 왕양명의 견해가 병존하고 있다. 주자는 格은 이른다는 意味이고 物은 일과 같다. 사물의 이치의 궁극에 이른다는 것은 지극한 곳에 다다르지 않음이 없다는 것이다. 라고 하였다. 한편 王陽明은 치지라 말하는 것에 대하여 지식을 넖히고 보충하는 것을 말하는 것이 아니며 내 마음의 선천적 良知에 이를뿐 이라고 하여 왕양명은 선천적 양지라고 생각하였다. 그러므로 선천적 양지를 밝힐수 있는 것은 그 근본사상이 知行合一說의 필연적인 결론으로 볼 수 있다. 하였다. 그러므로 격물 치지를 통하여 惡行을 버리고 善行으로 나아가 이치의 궁극에 이르는 것이 유교의 도덕교육 방법론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誠意 正心에서 성이란 스스로를 속이지 않으며 겸손한 것이다. 대학에는 소인은 한가하게 있을 때 착하지 않아 이르지 않은바가 없으며, 군자를 본후에 복종하게 된다. 착하지 못한점을 가리고 착하지 못한점을 드러내어 사람들이 자기 보기를 간과 폐를 보듯이 하는데 무엇을 더 할수 있는가?라고 하였다. 이러한 방법은 善行者나 德行者를 보고 따르게 하는 방법이다. 그리고 그 원리는 바로 바른 마음을 갖게하는 것이다. 이러한 개인의 참된 가치는 바른 마음을 찾아 正心을 유지한 것을 추구하는 방법이라고 본다.
 이상의 유교가 추구하는 도덕교육의 방법을 요약하면, 첫째, 마음으로부터 明德을 밝히고 仁을 구비하여 본성을 쉼없는 작용으로 부각시켜 眞實無妄한 誠 으로 나아가게하며 둘째, 몸으로는 親民의 禮를 실천 함으로써 군자의 도을 이루게 하였고 셋째, 생애의 주기에 알맞도록 점진적으로 교육하며, 자발적인 교육이 되도록 하였으며 넷째, 모범을 보이는 교육이며, 말 보다는 실천행을 중시하는 知行合一의 교육방법 이라고 본다.    

Ⅳ. 結論 - 儒敎道德敎育의 特徵

 본 연구는 유교에 나타나 있는 도덕교육의 목적, 내용, 방법 등을 조명한 것이다. 이상의 연구에서 나타나는 유교의 도덕교육에서 도출된 특징을 나열하고 이어서 현대의 도덕교육을 위한 몇가지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1)도덕교육의 목적에 대해서보면 유교의 도덕교육목적은 天人合一의 정신을 추구하는 것이며, 孝悌, 善行, 愛人, 禮節, 등 道德의 본질인 仁 을 실천하는 知行合一이 군자가 갗춰야 할 도덕으로 보았다.
 2)도덕교육의 내용면에서 보면 유교의 도덕교육 내용은 仁 思想의 구체적인 실천덕목인 오륜을 중심으로 조명하였는 바, 인의 실천이 유교의 도덕성을 구비하는 仁, 義, 禮, 智, 信등으로 종합되고 있다. 유교의 도덕교육 내용으로 제시하고 있는 君臣, 父子, 夫婦, 長幼, 朋友 등은 다분이 인간대 인간 중심의 도덕으로 나아가고 있는점이 특징이다.
3)도덕교육의 방법은 유교에서는 修身, 齊家, 治國, 平天下등 점진적인 교육방법과 생애별 단계적 교육의 방법이 적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明明德, 親民, 至於至善의 원리에 바탕에서 格物致知와 誠意正心 등으로 나아가고 있는 점이 특징이다.
 이러한 면에서 보면 유교의 가르침은 인간의 윤리와 도덕적 가치를 실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는점을 알수 있다. 이에 더하여 이러한 도덕실천의 내용은 인간관계의 윤리, 도덕적 측면 뿐 아니라 생명, 자연, 환경, 그리고 사회정의를 실현하는 데까지 확대적용 해야 할 것이다.
이상의 연구를 중심으로 하여 다음과 같이 현대 도덕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 해낼수 있다고 본다. 
첫째, 유교가 제시하고 있는 우주의 궁극적 원리로써의 天과 그 실천원리 로서의 仁 의 本質을 覺醒 시키어 마침내는 자신의 道德性으로 內面化 하고 이를 自律的으로 실천(德化)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유용하다고 본다.
둘째, 유교의 도덕교육의 내용들은 우리의 대인관계의 삶속에서 어떠한 도덕적 사태에서도 근원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덕목이 될 수 있다고 생각 한다.
셋째, 유교에서 나아가고 있는 도덕교육의 방법은 오늘날 교육환경이 다변화 하는 시대의 청소년에 대한 인성교육의 한 방안으로써 유용한 가치가 있는 것이다.


참고문헌

{논어』.『중용』.『대학』.『주역』.『원불교전서』.
권혁환,『초등도덕교육의 인격교육 접근법 연구』,서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6.
김태길,『윤리학』, 박영사, 1981.
김태훈,『도덕판단의 정당화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3.
김충열, 『유가윤리강의』,문예서원, 1994.
김하태,『종교와 기독교』, 연세대학교 출판부, 1959.
김해성,『시민 사회도덕원칙으로서 합리적 이기주의와 그 가치』, 서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4.
김형석,『윤리학』, 철학과 현실사, 1992.
남궁달화,『도덕교육론』, 철학과 현실사, 1998.
대산종사,『정전대의』, 원불교 출판사, 1986.
류성태,『동양의 수양론』, 서울학고방, 1996.
미우라 도우사꾸(저)·박재주외(공저),『중국 윤리 사상사』, 원미사, 1997.
배종호, 『한국유학사』연세대학교 출판부, 1986.
서경전,『교전개론』, 원광대학교 출판국, 1991.
신도형,『교전공부』, 원불교출판사, 1994.
송천은,『열린시대의종교사상』, 원광대학교출판국, 1992.
유명종,『중국사상사』,이문출판사, 1989.
유병덕,『원불교와 한국사회』, 시인사, 1971.
이돈희,『도덕교육』, 교육과학사, 1986.
이도욱,『논어에 나타난 공자의 인성교육』,한국 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6,
이영문,『도덕과 교육』, 형설출판사, 1999.
장하열,『청소년교화의 이론과 실제』, 원불교출판사, 1990.
정홍기,『공자의 도덕교육논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1997.
차우규, '초,중학교학생들의 도덕의식 및 도덕성문제에 관한 조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8.
최극호,『동양윤리학사』, 새문사, 1989.
최근덕, 『한국유학사상연구』,철학과현실사, 1992.
최무석,『동학의 도덕교육사상에 관한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88.
하르트만(저)·전원배(역),『윤리학』, 원광대학교 출판국, 1979.
『한국종교 교육학회지 5권』, 한국종교교육학회(편), 1998.
한국종교교육학회(편),『한국의 종교와 인격교육』, 도서출판 아름다운세상, 1998.
한기두,『원불교정전연구』, 원광대학교출판국, 1985.
한종만, 『유교와 불교의 현실관』, 원광대학교 출판국, 1981.
{한한대자전』, 민중서관, 1987.




독자 한마디

의견쓰기
이 름 E-mail
제 목



프린트하기 기사메일보내기 독자한마디


이전으로
인도교(Hinduism) 개관
힌두교 - 그것은 무엇인가?
주요 힌두교 종족
초기 힌두교 : 다양한 종교의 합일
힌두교와 인도
러시아 종교 교파별 통계(1996년 1월 현재)
동방 정교회 개론
러시아 동방정교회의 역사적 기원과 발전
러시아 정교회
이슬람에서의 하나님의 개념
마호메트 (Mahomet ; 570?~632.6.8)
수니파(Sunni)
시아파
모스크 (mosque)
이슬람교/알리 (600 ?~661.1)
 | Home | 사이트구조 | 내용검색 | 전체내용보기 | 내용올리기 |
경남 하동군 금남면 덕천리 1431-5 (전화055-883-4843)   Contact Webmas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