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회원가입

  홈     교회안내     예배안내     담임목사목회     신구약66권장절전체설교(가입후열람)     교회학교     전도부     교육부     남전도회     여전도회     청년부     봉사부     선교부     예배자료     신앙자료     생활정보     시,수필,컬럼     기도실     이단자료     운영자자료실     가  

  일반교회시사
  이쁜글.좋은글
  각 기관 부서
  교육자료실
  성경공부 방
  오늘의 Q.T
  은혜의 간증
  절기(추수.맥추)
  여름성경학교
  주일학교설교
  고난(사순절)부활절
  5월가정의 달
  성령 강림절자료
  찬송 및 복음송
  기독교영상플레시
  기독교자료
  기독교동영상
  덕천교회 약도
  시사 예화
  유머 예화
  상식건강자료
  고려수지침강의
  가정상담
  한자 사전
  아름다운이야기
  다양한 이미지
  성경말씀 듣기
  기도는어떻게하나?
  선 교 학
  신간도서기독교
  자주묻는질문 답변
  예화자료
  목회설교돕는 정보
  기도원 소식
  북한 탈북자 등
  명언 격언실
  역사신학실
  실천신학실
  현대신학실
  철학이야기
  히브리 헬라어사전
  비교이단자료
  창조와진화론
  1907년 대부흥사
  강해설교
  컴퓨터 배우기
  평신도신학
  유익한 정보
  특선.다큐멘타리
 



성경공부

생활정보

사전사이트



동방 정교회 개론
2007-03-29 04:17:13   read : 4178

동방 정교회 개론

 

Daniel B. Clendenin

 

 

 정교회에 어느 정도 친숙한 사람들조차 정교 회는 낯설고 서방 기독교의 종교적 표현과는 너 무나 동떨어진 미지의 세계처럼 보인다. 대부분 정교회는 단지 교황만 없을 뿐 로마 카톨릭 교회 와 다를 바 없는 것으로 생각하는데 이는 큰 오 류이다. 정교회는 서방의 어느 정교 제도와도 뚜 렷하게 구별된다.

오늘 날 정교회는 미국의 4대 정교 가운데 하 나로 취급되는 데 그 교인수는 600만 명을 웃돈 다. 전세계적으로 정교회 신자들의 수는 약 1억 8천 5백만 명에 달한다. 그 중 러시아는 7천만 정 교회 신자들의 고향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사실 을 근거해 볼 때 동방의 기독교인들(정교회인들) 을 무시하거나 거부하려는 자세를 중지해야 한 다.

기독교인들 중 정교회로 개종한 사례를 살펴 보면 교회들이 자유주의 신학에 너무나 깊이 감 염되었다는 이유이거나 유행에 따라서 너무나 변화무쌍하다는 인식에서 나오는 좌절감 때문이 기도 했다. 사실 정교회는 현대 사회의 흐름에 동 떨어진 체, 과거에만 매여 있다는 비판을 종종 받 아왔다. 그러나 시도적, 교부적 전통과의 직접적 연결을 유지하려는 것은 정교회의 자랑의 표식 이 되어야 할 것이다.

복음주의자들은 정교회의 성만찬주의, 마리아 숭배 등에서 일치를 보지 못하지만 엄밀히 검토 해 보면 기독교의 거의 모든 주요 교리들에 대해 서 정교회는 "어디에서나, 언제나, 그리고 모든 사람들에 의해서" 신봉되는 전통의 범주안에 정 확히 위치하고 있다. 대학생 선교회 출신으로 정 교회로 개종한 피터 길키스트(Peter Gillquist)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정교회는 순수하고 견고한 교리와 전형적인 헌신적 복음주의자들의 고리 사이에는 중복되는 점이 많이 있다. 삼위일체, 그 리스도의 부활, 재림 등은 그 예이다."

복음주의자들은 기독교의 기본적인 진리들을 변화할 뿐만 아니라 자신들이 가장 취약한 분야 에서 정교회가 종종 가장 강력하다는 것을 발견 해야 한다. 예배의 장엄성과 신비성에 대한 강력 한 인식, 기쁨과 확신에 찬 복음적 예전의 경축, 성서에 대한 보완으로써 전통의 역할에 대한 헌 신, 교부들의 역사적 의식에 뿌리를 둔 잘 규정된 기독교적 정체감, 극심한 박해의 화염 속에서 검 증 받은 기독교인의 견인의 전통, 그리고 몇몇 간 과된 성서적 진리에 대한 강조(벧후 1:4의 신화 (化)의 주제와 같은)등은 복음주의적 전통속에 있는 기독교인의 영적인 삶을 위해 봉사할 수 있 는 정교회의 교유자산이다.

지난 십 년동안 러시아와 동유럽에서 일어난 역사적 변화의 결과로 서방 기독교인들이 이들 지역으로 대거 유인되었는 데 거의 700개에 이르 는 서방의 기독교 단체들이 현재 이들 지역에서 활동하고 있다는 보고가 있다. 만일 서방 기독교 인들이 어느 정도의 문화적 예민함과 존경심을 가지고 사역하기 원한다면 정교회의 삶, 역사 그 리고 기본적인 사상을 반드시 소화해야 한다. 정 교회는 서구 특히 서방 기독교인들에 대해 신학 적, 문화적 외국인 혐오증을 갖고 있다. 7,000만 명의 신봉자를 가지고 있어서 현재 세계에서 가 장 큰 정교회인 러시아 정교회는 자기네 집의 잔 디밭, 곧 정교회의 관점에서 볼 때에는 1,000년 이상 동안 기독교의 본 고장이 되어 온 땅에서 그들을 복음화하고 개종시키려는 카톨릭과 기독 교의 노력에 대해서 유쾌하지 않은 감정을 말과 행동으로 표현해 왔다. 어느 정교회 사제가 인터 뷰에서 지적한 것처럼, 서방이 기독교를 가르치 기 위해서 러시아에 선교사를 파송하는 것은 마 치 러시아가 자본주의를 가르치기 위해 서구에 경제학사를 보내는 것과 다를 바 없다. 서방의 선 교사들에 대한 적개심은 구소련 의회에 의해서 통과된 외국 종교 단체들의 활동을 제약하는 법 (93년 7월 14일)으로 잘 표현된다. 러시아에 살면 서 사역하기를 원하는 서구인들은 정교회의 풍 부한 유산에 대한 양심적인 연구와 인식을 통해 서 이 불행한 간극을 메워야만 한다.

정교회는 러시아 문화를 형성하는 데 있어서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심지어 75년간의 무신론 조차도 1,000년의 유구한 역사속에서 행사해 온 정교회의 깊은 영향을 지울 수 없었다. 러시아의 황제 블라지미르가 주후 988년에 서방 기독교 대 신에 비잔틴 기독교를 선택했을 때 러시아의 운 명이 결정된 것이었고 모든 러시아의 정신과 마 음은 동방의 틀에 의해 주조하게 되었다. 블라지 미르의 신앙은 단순히 사람들의 개인적인 신앙 만을 낳은 것이 아니라 전체적인 기독교 문화와 문명을 형성한 것이다. 모스크바는 로마 및 콘스 탄티노플과 함께 "제 3의 로마"로 찬양 받았다. 16세기 까지 러시아는 세속 문화를 제거해 버린 "사회의 급진적인 수도원화"를 경험했다. 러시아 인들에게 있어 정교회는 단순한 교회 이상의 것 이다. 그것은 전체적인 삶과 문화의 길이다. 러시 아의 격언중에 "러시아인이 되려거든 정교회 교 인이 되라."는 말이 있다.

서방의 기독교인들이 정교회를 연구해야 하는 이유는 예수님께서 지상 사역이 끝나갈 무렵 제 자들에게 남긴 유언 때문이다. 예수님께서는 요 한복음 17장의 기도에서 세 번이나 제자들이 하 나가 되기를 기도하셨다. 사도 바울도 그리스도 를 따르는 모든 사람들에게 다음과 같이 명했다. "평안의 매는 줄로 성령의 하나되게 하신 것을 힘써 지키라. 몸이 하나이요 성령이 하나이니 이 와 같이 너희가 부르심의 한 소망 안에서 부르심 을 입었느니라."(엡 4:3,4) 나아가서 사도 바울은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됨을 위협하는 분파주의에 대해서 날카롭게 경고했다(고전 1:10-31). 그리스 도의 몸의 일치는 선택이 아니라 필연적인 의무 이다. 우리들 대부분은 마치 동방 정교회가 밉살 스런 의붓자식이나 되는 것처럼, 이 교회에 대해 서 무지한 상태에 있다. 만일 우리가 주님의 위대 한 명령을 순종하고자 한다면, 우리는 그러한 상 황이 결코 지속되어서는 안된다는 바울의 경고 를 마음에 새겨야 한다.

정교회가 교황제 및 성령은 아버지, "그리고 이들로 부터"(filiogue) 반출된다는 교리를 거부 함으로써 하나님을 향한 어떤 진정한 전진을 이 룰 수 없게 되었다. 그리고 정교회의 성만찬적, 예언적 비전, 곧 동방의 신자들이 너무나 소중하 게 여기는 향기와 종소리는 개신 교인들로 하여 금 정교회 신자들과 공동의 토대를 이룰 수 없다 고 생각하게 했다. 정교회는 1992년 카톨릭의 대 화 제의를 일축했고 자신이 개최하는 성회에 대 해서 개신교 복음 전도자 빌리 그래함은 러시아 정교회 총주교 알렉세이 2세에게 초교파적인 지 원을 요청했지만 반응은 미온적이었다. 각 교회 론적 전통이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에 대한 "고 유의"해석을 기록했고 또한 그 해석을 따라왔다. 따라서 정교회의 복음, 로마 카톨릭 교회의 복음, 그리고 개신의 복음이 있는 것이다. 그러나 예수 그리스도의 인격속에서 구현된 전통은 우리의 각 전통에서 그 분을 이해하는 것 보다 더 위대 하다.(피츠버그 신학교 총장 캘파이언) 기독교 신 앙은 우리 스스로를 다른 사람들로부터 소외시 키는 대신, "사랑의 동역"에 힘 쓸 것을 촉구한 다. 최소한의 수준에서, 서방의 기독교인들은 동 방 정교회의 역사를 배우는 것에서부터 시작해 야 한다.

II. 잊혀진 기록 (약사)

정교회는 주장하기를 자신만이 신약성서와 사 도적 신앙과 중단없는 연속성을 유지해 왔고, 자 신만이 진정한 가시적 교회이며 그리고 정교회 밖에서의 구원의 가능성은 의문스러운 것이라고 한다. 그들은 20세기 안에서 1세기의 교회를 추 구한다.

정교회란 사실상 하나의 교회가 아니다. 13개 에 이르는 자주 독립적, 혹은 독립적인 자치 교회 들을 의미한다. 성찬, 규율, 교리, 신앙, 정치, 그 리고 예배 등에 대한 이해에 있어 연합되어 있지 만, 이 13개의 교회들은 각기 독립적으로 자신의 내적인 문제를 처리한다. 로마 카톨릭도들이 교 황에 대해서 충성을 바치는 것처럼 특정한 한 사 람에게 충성을 바치지 않고, 오히려 각 정교회에 는 각각 수장이 있는 데 총주교, 대주교 혹은 사 도 대주교라고 불린다. 다음 표는 자주 독립적인 정교회들의 명단과 각 교회의 규모를 제시해 준 다.

독립 자치 정교회 (1994년 현재)

콘스탄티노플-6,000,000/ 알렉산드리아-350,000/ 안디 옥-750,000/ 예루살렘-60,000/ 러시아-50-75,000,000/ 루마니아-17,000,000/ 그리스-9,000,000/ 세르비아 -8,000,000/ 불가리아-8,000,000/ 그루지야-5,000,000/ 키프로스-450,000/ 폴란드-750,000/ 알바니아-210,000

동방 교회들은 몇몇 일반적인 수준에서 서방 교회와 뚜렷한 차이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정 통"이라고 주장한다. 정교회(Orthodox Church, 정통: Orthodoxy)라는 명칭은 '바른 신앙'과 '바 른 예배'라는 이중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다. 정교 회 신자들은 '자신들의 교회를 하나님에 관한 진 정한 믿음을 보호하고 가르치며, 또한 바른 예배 를 통해서 그 분을 영화롭게 하는 그 교회"라고 간주한다. 정교회에 따르면 로마 카톨릭은 교황 제 및 필리오케 교리가 도입되면서 진정한 사도 적 신앙으로부터 이탈되었다. 그리고 개신교는 본질적으로 로마 카톨릭주의와 동일한 서방적 범주안에 들어있다. 둘째 지리, 정치학적 특징이 있다. 서방의 기독교인들은 다양하게 로마(카톨 릭), 비텐베르그 및 제네바(개신교)에 의존하는 반면 동방의 기독교인들은 콘스탄티노플(이스탄 블)의 지도에 따른다. 셋째 언어적 차이가 존재한 다. 고대, 교회는 알렉산드라에 중심지를 두고서 헬라어를 말하는 동방과 카르타고에 중심지를 두고서 라틴어를 말하는 서방으로 나누어졌다. 콘스탄틴 대제는 313년에 회심한 후에 로마 제국 의 정치적 수도를 로마에서부터 동방의 콘스탄 티노플로 옮겼는 데(330), 이는 두 도시의 교회 정치적 지위에 변화를 초래하는 계기가 되었고 그 두 지역의 기독교인들 간의 긴장 관계를 심화 시키는 결과를 초래했다. 정교회는 헬라어를 말 하는 전통을 따르게 되었고 서방의 로마적 전통 은 언제나 라틴어를 사용했다. 16세기 종교개혁 과 함께 교회들은 예배와 신학적 성찰을 위해서 모국어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동방 기독교와 서 방 기독교 사이에 존재하는 차이점들은 수세기 에 걸쳐 역사적, 정치적, 사회적, 그리고 신학적 요소들이 결합되어 일어난 결과이다.

정교회 역사

(1) 고전적 정교회: 787년까지

(2) 새로운 기회와 새로운 도전: 1453년까지

(3) 현대기: 1453년 이후

비잔틴 기독교(정교회)의 구체적 연대는 칼게 론 공의회(451)부터 투르크측에 의해 콘스탄티노 플이 향략된 시점까지(1453) 잡을 수 있다.

(1) 고전적 정교회: 787년까지

a. 325년 니케아(현대 터키의 이시니크) 공의회- 아타나시우스는 '그리스도는 아버지와 단순히 "유사 본질(homoiousios)이 아니라, 동일 본질 (homoousios)'이라는 중요한 교리를 지킴, 변호.

니케아 신경: 예수 그리스도는 "진정한 하나님 중의 하나님이시며, 피조된 것이 아니라 출생되 었고, 아버지와 동일 본질"이라는 결론에 도달.

b. 칼케톤 공의회(451)- 그리스도는 하나의 위력 이시고 두 개의 본성(신성과 인성)을 가지시며, 또한 각 본성은 완전하고 그 완전성을 유지하시 고 나아가서 그 두 본성은 그와 같은 방식으로 연합되었기 때문에 제 3의 본성이 형성될 수 없 다.

c. 칼케톤 공의회 시기까지는 로마, 콘스탄티노 플, 알렉산드리아, 안디옥, 예루살렘의 주교들은 대주교로 인정되었고 특별한 존경을 받았다. 그 러나 그들의 권위 자체는 전 세계의 모든 다른 주교들과 동등된 것에 불과했다. 정교회는 카톨 릭주의와 달리 로마에 수장적 권위를 부여하기 를 거부했다.

d. 핵심적 신학자들

? 존 크리소스룸(345-407)- 황금의 입이라 불림. 성서석의 학자

? 고백자 막시무스(580-662)-비잔틴 신학의 아 버지

? 존 클리마루스(579-649)-신께 이르는 다리

? 다마스커의 존(675-754)-정통 신앙- 정교회의 조직신학서

e. 제 7차 에큐메니칼 공의회(787)- 성상상용의 합법화, 통일

(2) 새로운 기회와 새로운 도전: 1453년까지

중요 연대

-슬라브 민족의 개종(988)

-서방 기독교와의 최종적 분열(1054)

-콘스탄티노플의 함락(1453)

키예프 족의와 블라지미르는 유일한 참된 종 교를 찾고자 사절단을 파견한다. 사절단은 처음 에 회교도들을 만났는 데 "그들 가운데는 기쁨이 없고 슬픔과 심한 냄새만 있을 뿐이다. 그들의 제 도에는 좋은 것이라고는 없다."고 결론을 내렸다. 서방의 기독교에 대해서는 "아무런 아름다움을 보지 못했다."고 기록했다. 사절단은 콘스탄티노 플에서 성 존 크리노스룸이 주재하는 예배에 참 석했는 데 자신들이 하늘에 있는지, 땅에 있는지 분간할 수 없었고 너무나 압도되어서 그 경험을 제대로 묘사할 수가 없었다."고 기록했다. 988년 에 세례 받은 블라지미르 왕은 열정적인 개혁을 추진했다. 대중 세례가 이루어졌고 성당이 건축 되었으며 사제와 성물, 거룩한 기물, 그리고 예전 이 수입되었다. 수도원이 성행했고 이방의 우상 들은 철폐되었으며 교회 법정이 개설되었다.

동방 기독교의 중심지였던 콘스탄티노플이 1100년간 새 로마로서 역할한 끝에 1453년에 투 르크족에 함락되었을 때 모스크바는 기독교의 수호자라는 직책을 상속받아 1510년 러시아 황 제 바실 3세에게 보내는 편지에는 다음과 같이 기록되었다.

"고대 로마의 교회가 무너진 것은 아볼리나니 우스주의 이단 때문입니다. 제 2의 로마- 콘스탄 틴노플의 교회-는 하가린의 도끼에 의해 찍혀 버 렸습니다. 그러나 이 세 번째 새 로마, 곧 당신의 강력한 통치하에 있는 우주적, 사도적 교회는 지 구 끝까지 정통 기독교 신앙을 태양보다 더 밝게 비춰줍니다. 두 개의 로마는 무너졌습니다. 제 3 의 로마가 지금 서있고, 제 4의 로마는 존재하지 않을 것입니다." 1472년 대 이반이 비잔틴 최후 의 황제의 조카인 소피아와 결혼함으로 인해 콘 스탄틴노플의 합법적인 계승자로서의 모스크바 의 지위는 견고한 기초를 놓게 되었다.

동과 서의 분열의 가장 중요한 요인은 두 가지 논쟁이었다. 바로 교황의 수위권과 필리오케 논 쟁이다. 동방의 기독교인들은 교황청의 권력의 남용과 이를 정당화하기 위해 고안된 신학적 체 계에 분개하며 저항했다. 그들은 교황이 최고의 영예를 누리기 합당하지만 그는 단지 동등한 자 들 중에 첫째에 불과하다고 주장했다. 또 콘스탄 틴노플 총주교인 포티누스는 니케아 신경에서 "필리오케"라는 용어를 삽입했다는 이유로 모든 라틴 교회를 이단이라고 선언했다. 니케아 신경 에는 성령은 '성부로부터' 발출한다고 기록되어 있다. 후일 지방 교회는 '필리오케'라는 어구를 삽입하여 성령이 성부로부터 발출할 뿐만 아니 라, '또한 성자'로부터 발출된다고 주장하게 되었 다.

정교회 기독교인들은 '필리오케' 삽입이 신경 을 수정하지 말라는 과거의 에큐메니칼 공의회 의 명백한 지침에 반하는 것이라고 생각했다. 1009년에 정교회 총주교는 정총적이라고 인정되 는 주교들의 공식 명단에 카톨릭의 교황 이중을 포함시키기를 거부했다. 또한 1054년 교황 레오 9세의 추기경 홍베르트를 교황 특사로 콘스탄틴 노플의 교회로 파견하여 정교회의 총주교와 동 방 기독교인들을 저주하는 교황의 칙서를 낭독 하게 했다.

1204년 제 4차 십자군 전쟁중 서방의 군대는 콘스탄틴노플에 와서 거룩한 지혜의 교호를 약 탈하는 등 신성모독 행위를 하였다.

  1453년 투르크족에 의해 콘스탄틴노플은 함락되는데 이슬람교도들은 상당히 정교회를 관대
하게 대했다. 이슬람교는 예수 그리스도를 선지자로 존경했고, 또한 성경을 거룩한 책으로 존중
했다. 기독교인들이 그들 나름의 예배를 드릴 수 있도록 허용하였다. 그러나 이슬람 치하의 기독
교는 이류 종교였고 그 신자는 이류 시민이었고 과중한 세금을 바쳤고 구별되는 옷을 입었다. 이
슬람교도를 기독교로 개종시키는 것은 범죄 행위였다. 물질적 동기로 인하여, 기독교인이 배교
하여 이슬람교도가 되는 유혹이 언제나 존재했다. 더 나아가 교회의 전체적 위계 조직은 정부의 
직접적 지배하에 들어갔다. 

(3) 현대기: 1453년 이후

1237년에 몽고 군대가 키예프를 약탈했고 1480 년까지 러시아의 일부 지역을 통치했다. 피터대 제(1689-1725)는 정교회의 총주교자를 폐지하고 거룩한 공호로 대체하였다. 1917년까지 교회를 지배했던 이 공회는 사실상 국가의 일부로서 그 위원들은 황제에 의해서 임명되었다. 피터대제는 러시아 교회를 친서방적 세속화와 개혁에 방해 가 되는 짐스러은 존재로 여기며 종교적 규제를 가했던 것이다.

여황제들의 치하(엘리자베스 대 캐더린)에서 절반 이상의 수도원이 폐쇄되었다. 이 어두운 시 기에 정교회에는 그리스 아도나스의 성 니고데 모(1748-1809)와 러시아 사로프의 성 세라핌 (1759-1833)등과 같은 영적 거장들이 존재했음에 도 불구하고 일반적으로 신앙의 타협과 세속화 그리고 국가에 대한 아첨으로 특징 지워진다. 1917년 정교회는 급진적 마르스크주의자라는 서 구적 이단과 마주치게 된다. 한때 제 3의 로마였 던 모스크바는 이제 새로운 종교-과학적 무신론- 를 수출하는 가장 강력한 원천이 되었다. 5,000만 명의 사람들이 소비에트 시대에 살해당했다. 1917년의 혁명 이전에 약 5만개의 정교회가 존재 했었는 데 1985년까지 그 수는 7,000개로 감소했 다.

1993년 초 총주교 알렉세이 2세는 러시아 대통 령 보리스 옐친과 만나 크레물린의 교회들을 정 교회의 품으로 되돌아오게 하는 문제를 논의했 다. 일 천년의 역사와 70년의 무신론 지배기를 거 쳐 개신교와 카톨릭의 러시아 침략에 대해 적대 감을 표출하는 민족주의의 발호와 함께 정교회 인들 가운데 종교 부흥이 현재 일어나고 있다. 현 대의 러시아 정교회는 하나님의 왕국내에서 문 제와 잠재력이 묘하게 결합되어 있는 특이한 경 우이다.

III. 하나님의 신비성 (아포파딕 비전)

C.S. 루이스의 '순전한 기독교'는 서구에서 많 은 사람들에게 강력한 영향을 끼쳤던 책이다. 그 러나 러시아 정교회 신자들에게는 루이스가 너 무나 논리적이고 합리적으로 여겨진다. 루이스의 '고통의 문제'라는 책에 대해 모스크바 국립 대학 교에서 공부하는 신자인 막심이라는 학생은 다 음과 같이 분노를 터뜨렸다.

"나는 우리가 악의 문제를 토론하기 위해서 논리 학을 사용해야 한다는 루이스의 입장을 좋아하 지 않습니다. 사물의 본질에 관한 문제를 토론하 는 데 있어 논리학을 사용하는 것은 옳지 않습니 다. 현상학적 영역, 곧 피조세계와 자연 세계를 토론하는 데 있어서는 논리학은 좋은 도구이며 적절한 것입니다. 그러나 형이상학적인 문제를 토론하는 데에는 적절하지 않습니다. 하나님에 관련된 문제는 인간의 논리를 초월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서방에서 모든 진리의 주장은 이성의 잣대에 의해서 검증되어야 할 합리적 지성의 시험을 통 과해야 한다. 데카르트는 방법론적 회의라는 기 준을 제시하면서 자신이 매우 명확하고 뚜렷하 며, 의심할 여지가 없거나 매우 확실하다는 것을 인식하지 않으면 아무것도 진리라고 받아들일 수 없다고 주장했다. 방법론적 회의는 이성의 승 인과 인정을 획득하기전 까지는 모든 신념을 보 류한다. 합리주의는 "credo quia intelligo" (나는 믿는다. 왜냐하면 나는 이해하기 때문이다)의 모 토에 의해 살아가며, "절대적인 정확성이 희미의 충족을 위해 필요하다."고 간주한다. 합리주의적 지향성은 신화나 신비와 같은 개념을 적극적으 로 불신하거나 경멸한다. 서방의 신학도 이러한 인식론적 지향성으로부터 면제되지 못한다. 신학 에 있어서의 뚜렷한 전통은 인간의 합리성을 신 학적 진리의 결정적인 기준이라고 높이 존중한 다. '기독교의 합리성'이라는 책에서 존 로크 (1623-1704)는 모든 성경적 계시의 진리를 신앙에 의해서 수납되기 이전에 궁극적 기준인 이성에 의해서 검증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조셉 바울 러 주교(1695-1752)는 영향력 있는 그의 책 '종교 의 유비'에서 이성을 철저히 추구한다고 한다.

그와 반대로 동방의 사상가들은 매우 판이한 사고 방식으로 하나님에 관한 사고를 시작한다. 동방의 사상가들은 이성을 거부하지는 않는다 할지라도, 그들이 이해하건대 현재 서방 문화의 뼈대를 이룬 이성의 교만을 부인한다. 그들은 이 성으로 하여금 신학적 신비를 해명하고, 또한 이 성 자신을 진리의 유일한 척도로 자처하도록 허 용하거나 격려하는 경향에 저항한다. 우리는 동 방의 신학에서 아퀴나스의 '신학 대전'이나 칼빈 의 '기독교 강요' 칼 바르트의 '교회 교의학' 등에 견줄만한 것을 전혀 발견하지 못한다.

동방의 기독교인들에게 있어 너무나 중요한 많은 공의회의 선언문들과 에큐메니칼 신도들은 부정의 언어로 구성되어 있어서 하나님의 본성 의 깊이를 지적하려고 시도하기보다는 하나님은 어떤 분이 아니신가를 말해주고 있다. 동방인들 에게 있어서 위대한 신앙의 신비들은 분석의 대 상이라기 보다는 경배의 대상이다. 그리고 세밀 히 분석하기보다는 오히려 묘사한다. 철학적 해 결보다는 단순한 교리적 묘사에 치중한다. 경배, 명상, 그리고 합리적 지성 대신에 환상(vision)이 동방 전통의 특징을 이룬다.

콘스탄인들에 따르면 진리는 언어로 적절히 표현되거나 혹은 합리적으로 개발될 수 있는 개 념으로 이해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 자신―인 격적으로 존재하시고, 교회 속에서 인격적으로 만나지는―으로서 이해된다. 성경이나, 공의회의 정의나, 신학 조차도 그 분을 충분히 표현할 수 없다. 각 방법론은 그 분의 존재의 일부 양상을 지적하거나, 그 분의 존재와 행위에 대한 그릇된 해석을 배제할 수 없을 뿐이다. 그러나 어떤 인간 의 언어도 진리 자체를 충분히 설명하기에는 부 적합하며, 진리를 완전히 붙잡지 못한다. 이것이 비잔틴 "신비적" 전통의 진정한 메시지이다.

클리마쿠스(579-649)는 하나님의 계시에 대한 경험을 강조함으로써 단지 개념적 혹은 언어적 계시를 강조하는 입장과 대조시킨다. "당신은 명 시한 말로써 주님의 사랑을 정확하게, 진정으로, 적절하게 묘사할 수 있다고 상상하는가...' 당신 은 그같은 문제들에 대해 말하는 것으로써 그것 들을 전혀 경험해 보지 못한 사람에게 그 의미를 전달해 줄 수 있다고 상상하는가?" 정교회 신학 의 가장 특징적 요소는 부정적(apophatic 지향성 이라고 할 수 있다. 그들은 "신적인 문제에 관한 부정적 진술만이 유일하게 진실한 진술이다."라 고 본다. 그들은 하나님을 긍정적으로 묘사하기 시작할 때 (그 분은 전능하시고, 의로우시며, 사 랑이시다 등) 인간의 언어는 그 과제를 이루기에 는 너무나 부적합하며 부족하다고 본다. 동방의 신학자들에게 있어 하나님은 시간과 공간, 그리 고 인간의 문제를 초월해 계신 분이시다. 인간의 죄, 언어적 제한성, 하나님 자신의 본성 그 자체- 이 모든 것들이 우리로 하여금 부정적 언어를 사 용하지 않을 수 없도록 강요하는 데, 이 언어는 우리에게 단지 하나님이 어떤 분이 아니라는 것 만을 말해 줄 수 있다. 그렇다면 하나님을 아는 것, 그분을 경험하는 것이 가능한가?

하나님을 아는 부정적 방식은 정신이 획득하 기를 갈망하는 사물의 모든 긍정적 속성들을 점 차적으로 제거하는 상승적 과정이며, 최종적으로 지식의 대상이 될 수 없는 그 분에 대한 지고의 무지에 대한 인식에서 그 과정은 절정에 이른다. 우리는 그것을 정신이 초월적 존재를 직면할 때 경험하는 지적 파산이라고 말할 수 있다. 동방의 신학자들은 이러한 지적 정조와 혹은 카타르시 를 회개로 보는 데 하나님에 대한 우리의 자연적 관념으로부터 의식적으로 돌아서는 것을 의미한 다.

부정 신학은 단순히 무미경의 신학이 아니다. 그것은 신학 전체를 변형시켜서 계시의 신비를 명상하도록 이끄는 근본적인 태도의 표현이다. 그것은 우리로 하여금 사고의 자연적인 길을 따 라서, 영적 실재의 자리를 강탈하는 개념을 형성 하는 것을 금한다.

왜냐하면 기독교는 추상적 개념에 대해 사별 하는 방법을 가르치는 철학의 학파가 아니라 본 질적으로 살아계신 하나님과의 사귐이기 때문이 다. 모세는 동방 교부들이 부정 신학의 모분으로 써 애호하는 사람이다. 왜냐하면 그는 떨기나무 불꽃 아래서, 시내산의 짙은 암흑 중에 우레와 번 개와 나팔 소리와 구름과 지진과 불 가운데서 강 림하셔서 "그 백성들을 죽일까." 위협하시던 거 룩하신 하나님을 만난 사람이기 때문이다.

우리가 하나님을 안다고 말할 수 있는 것을 그 분의 에너지에 의해서이다. 우리는 그 분의 본질 자체에 가까이 갈 수 있다고 감히 주장할 수 없 다. 왜냐하면 그 분의 에너지는 우리에게 내려오 지만 그 분의 본질 자체는 여전히 우리가 접근할 수 없는 영역에 머물러 있기 때문이다. ?

 


 

SUGGESTIONS FOR A CONTEXTUALIZED WORSHIP SERVICE FOR RUSSIANS

 

 

I. INTRODUCTION1) 

In Russia 50-75 million people believe in the Russian Orthodox Christianity.2) Russian people were ruled by communism about 70 years which systematically preached the atheism against Christianity and persecuted them. But now the Orthodox Christianity is recovering rapidly its members of church. The Orthodox Church have ruled Russian people much more than 1,000 years, and influenced almost every sphere of their life. Russian people have been under the culture of Orthodox Church whether they belong to members of the Orthodox church or not.

The Orthodox faith is similar to that of Protestant. For instances, the doctrine of trinity, resurrection, and the second coming of Christ in common. In general people think the Russian Orthodox Christianity is almost same to the Catholic faith. But actually Orthodox Christianity is quite different from the Protestant and the Catholic.3) Many Korean missionaries do not take seriously these differences. That's why their preaching and worship service are unfamiliar to the eyes of Russian audience. This is resulted from the ignorance about the culture of their own, and that of native people. Besides, they lacked of contextualized mind4) demanded for cross-cultural mission.

II. THREE PRINCIPLES FOR RUSSIAN MISSION

I want to suggest three principles for Russian mission. First, through self-eval!uating process, missionaries should find themselves, how foreign their own culture is to the eyes of native people.5) Most of missionaries may think that they have true faith and preach "the Gospel itself." But they are greatly influenced by their own culture of mother land and their own style of denomination. Native people reject missionaries' preaching not because of its teaching but because of its foreign elements. In order to overcome this problem we must find ourselves on the reflection of the native culture. Of course this process requires prior knowledge in detail about the native culture.

Second, missionaries should discern whether native's culture is acceptable or not in the Biblical point of view. This work is necessary for contextualizing our preaching or worship service. In this work we have to remember that the standard must be always the Bible. The theology and the practice of Protestant is not the "only truth" or the "every truth." It is one of many theologies under historical context. We need very humble attitude when we minister in the cross cultural world, especially in the category of Russian Orthodox Christianity, which has same origin to our faith.

Third, we should put clothes of culture on our Biblical message, and theology. This is the "contextualized" message or contextualized worship service. When the Protestant missionary has worship service in Russia where dominates the Orthodox style of worship service, we should make new missionary style, namely, "the Orthodoxical Protestant worship service." This is quite different from the syncretism. This is a missionary approach to become friendly and communicate their meta cultural message. Paul said his principle for cross cultural mission: To the Jews I became like a Jew, to win the Jews... I have become all things to all men so that by all possible means I might save some."(1Cor. 9:20,22) Like Paul, we should deny our ideas and accept the something that seems unnecessary. But that unnecessary thing is meaningful way of communication and familiar life style to make it more acceptable.

III. SUGGESTIONS FOR CONTEXTUALIZED WORSHIP SERVICE

Now, I want to say some suggestions for contextualized worship service in Russian mission. The reason why I focus on the worship service is that it is very influential to preach the gospel and leading the religious life in mission field. Before I offer some suggestion first, let us examine what kind of worship is foreign to Russian people according to the principle. The Russian priest wear the gorgious holy clothes, and caps comparing with our missionary's simple business suit. The Protestant missionaries seem to be businessmen to the eyes of Russian people. When you enter the worship place in Moscow, you can find the windows

 and the ceiling 

and the 4 walls are filled with very artistic mosaics and frescos. But when you attend the missionary church, you have nothing to 

see except for the wooden cross. This is such an unusual way that our church does not look like church to the eyes of Russian 

people. The most essential element in the Russian Orthodox worship service is the kissing the icon. Icon is one of the cores of their 

life of faith. In the wedding ceremony the fathers of the bride and the bridegroom bless their son and daughter with the icon.6) 

In the funeral service the icon lays in front of the procession. In the baptizing ceremony the baptized man receives his name after 

the name of the saint whose icon is given to the baptized. For the Russian people it is inconceivable to live a life without the icon. 

But it is worthless thing even to consider for the Protestant missionary. Moreover you can hear the sound of bell, see hundreds 

of candles, and even smell the incense. Orthodox Church members take the Eucharist every Sunday, while missionary church take 

it only one or two in a year. They feel strange if we have worship service without the Eucharist. These foreign elements of missionary 

church altogether make our worship service unfamiliar and unacceptable for Russian people. Even if we have very excellent message 

and method to teach the Bible, it will not appeal to them. In order to win their soul to God, we'd better  make our worship service 

more acceptable, and friendly to Russian people.  



So according to principle second, we are going to discuss about the contextualization and the theology of mission. The Russian aesthetic Orthodox worship service is theologically intended to come down the heaven on this earth. In other words their worship service is aesthetic efforts to incarnate future kingdom of God in present reality. The Orthodox Church testify the gospel through the aesthetic majesty, while the Protestant Church focus on the proclamation of the words of God. Icon stands for the drawn gospel through which believers get more love and holy desire for our Lord. For the Orthodox doctrine the icon has same worth as the written gospel.7) Mosaics and frescos have the same purpose like icon. The smell of incense stands for the prayer of the Christians, the candles for the light of the world, Christ. But as a matter of fact, in Protestant theology of worship service, the value of icon has been strongly denied. John Calvin said, "The icon can not take the place of the Bible." For him the admiration of the icon produce the idolatry, violating the second commandmant. That's why the sermon that appeals to the intellect of the audience became the most import!ant place in the worship service instead of the Eucahrist in Protestant tradition.

IX. CONCLUSION

Until now, we have shown how different theology the Protestant Church has from the Orthodoxical perspective. However, if we see them in the Biblical point of view, the Orthodox doctrine is not wrong completely, and that of the Protestant is also not right completely. Namely, each doctrine has different point of stress. As Protestant missionaries we should proclaim the words of God as our core ministry, but at the same time, we can use the artistic part of the Russian Orthodox Church. It is surely very helpful to decorate the walls and the windows with Mosaics and the pictures which arise the God-fearing mind for the native attendants who are accustomed with icon culture. If our missionaries deliver the touching message in the artistic and majestic church, native Russians may easily accept the message without any revolt. Moreover I offer for missionaries to try to light up the candles. If possible, it will be better to have Eucharist more often, for instance, once in a month wear the beautiful holy clothes. No doubt our missionaries will respect the majestic God-fearing atmosphere of Russian style worship service, but we should teach them joy and thankfulnes of hearing the message and meeting with God during the worship service. This suggest is for the "Russian style Protestant worship service for missionary church." In some points my suggestion may look ideal, but I think we need, at least, some contextualized mind for the development of our mission strategy whether we apply or not in our mission field at present.

? Notes

1) Some one may raise a question that it is possible for those who does not live in the context to do the theology of contextualization. But I agree with Chung Hung Ho who said, "Anyone who has deep concern for the context is able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theology of contextualization." Quoted by Chung Hung Ho, Contextual Theology: An Evangelical Perspective, (Seoul: Logos, 1996), 30.

2) The definition of Contextualization: "The attempt to communicate the message of the Bible in a way that is faithful to God's revelation, and that is meaningful to respondents in their respective cultural and existential contexts." Quoted by David J. Hesselgrave and Edward Rommen, Contextualization:meanings, Methods, and Models, (Grand Rapids: Baker, 1989), 200.

3) Paul G. Hiebert, Anthropological Insights for Missionaries, Translated by Eunsoo Chae. (Seoul: The Presbyterian General Assembly Theological Seminary Press, 1993): 65.

4) Daniel B. Clendenin, Eastern Orthodox Chistian, (Grand Rapids: Baker Book House, 1994), 132.

5) Ibd.., 133.

 



독자 한마디

의견쓰기
이 름 E-mail
제 목



프린트하기 기사메일보내기 독자한마디


이전으로
인도교(Hinduism) 개관
힌두교 - 그것은 무엇인가?
주요 힌두교 종족
초기 힌두교 : 다양한 종교의 합일
힌두교와 인도
러시아 종교 교파별 통계(1996년 1월 현재)
동방 정교회 개론
러시아 동방정교회의 역사적 기원과 발전
러시아 정교회
이슬람에서의 하나님의 개념
마호메트 (Mahomet ; 570?~632.6.8)
수니파(Sunni)
시아파
모스크 (mosque)
이슬람교/알리 (600 ?~661.1)
 | Home | 사이트구조 | 내용검색 | 전체내용보기 | 내용올리기 |
경남 하동군 금남면 덕천리 1431-5 (전화055-883-4843)   Contact Webmas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