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회원가입

  홈     교회안내     예배안내     담임목사목회     신구약66권장절전체설교(가입후열람)     교회학교     전도부     교육부     남전도회     여전도회     청년부     봉사부     선교부     예배자료     신앙자료     생활정보     시,수필,컬럼     기도실     이단자료     운영자자료실     가  

  일반교회시사
  이쁜글.좋은글
  각 기관 부서
  교육자료실
  성경공부 방
  오늘의 Q.T
  은혜의 간증
  절기(추수.맥추)
  여름성경학교
  주일학교설교
  고난(사순절)부활절
  5월가정의 달
  성령 강림절자료
  찬송 및 복음송
  기독교영상플레시
  기독교자료
  기독교동영상
  덕천교회 약도
  시사 예화
  유머 예화
  상식건강자료
  고려수지침강의
  가정상담
  한자 사전
  아름다운이야기
  다양한 이미지
  성경말씀 듣기
  기도는어떻게하나?
  선 교 학
  신간도서기독교
  자주묻는질문 답변
  예화자료
  목회설교돕는 정보
  기도원 소식
  북한 탈북자 등
  명언 격언실
  역사신학실
  실천신학실
  현대신학실
  철학이야기
  히브리 헬라어사전
  비교이단자료
  창조와진화론
  1907년 대부흥사
  강해설교
  컴퓨터 배우기
  평신도신학
  유익한 정보
  특선.다큐멘타리
 



성경공부

생활정보

사전사이트



구원과 영화
2007-04-18 06:18:35   read : 2211

구원과 영화

[신성종 목사의 평신도신학(101)] 구원과 영화



하나님의 사랑의 표현은 우리의 구원 사역에서 가장 잘 나타난다. 이 구원은 하나님의 은혜로 주어지지만 영적인 손인 믿음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구원이란 말은 좁게는 죄의 용서이지만 성경에서 말하는 구원의 개념은 아주 폭넓다. 로마서를 보면 구원의 개념을 율법과 죄와 죽음으로부터의 해방으로 언급하고 있다. 마태복음에는 천국에 들어가는 것이고,마가복음과 누가복음에서는 하나님의 나라에 들어가는 것이고,요한복음에서는 영생이란 말로 표현하고 있고,바울서신에서는 구원이란 말로 표현하고 있다.

여기서는 구원을 세 가지의 과정만을 살펴보려고 한다. 첫째로 구원이란 믿음으로 의롭다함을 받는 것이고 둘째는 세상의 것과 구별되는 것이다. 그러나 구원의 완성은 우리의 영화에 있다. 따라서 구원의 마지막 과정은 영화이다. 미래 천국에서 죄 없는 주님의 모습으로 변하는 것을 말한다. 그러므로 구원은 과거(칭의)와 현재(성화)와 미래(영화)의 긴 과정이다.


그래서 우리는 이렇게 말할 수 있다. 우리는 이미 구원을 받았고(칭의) 지금도 구원받고 있으며(성화) 또 장차 구원을 받을 것이다(영화)라고. 과거에 받은 구원의 내용은 법적으로 이루어진 것이며 죄의 능력으로부터 벗어난 것을 말한다. 요한복음 5장 24절에서 “내 말을 듣고 또 나 보내신 이를 믿는 자는 영생을 얻었고”라고 했을 때의 칭의를 의미하는 것이다.

그러나 구원은 칭의에서 성화로 이어진다. 데살로니가 전서 5장 9절에 보면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구원을 얻게 하신 것이라”고 한 것은 구원의 계속성을 언급한 것이다. 그러나 우리의 구원은 더 넓고도 영광스러운 것이다. 로마서 13장 11절에서 “이제 우리의 구원이 처음 믿을 때보다 가까웠음이니라”고 한 것은 구원의 마지막 과정인 영화를 언급한 것이기 때문이다.

요한일서 3장 2절에 보면 장차 우리에게 나타날 영화를 말하고 있다. “사랑하는 자들아 우리가 지금은 하나님의 자녀라 장래에 어떻게 될 것은 아직 나타나지 아니하였으나 그가 나타내심이 되면 우리가 그와 같을 줄을 아는 것은 그의 계신 그대로 볼 것을 인함이니”

그러면 칭의와 성화와 영광의 세 과정의 관계는 무엇인가? 먼저 칭의란 하나님께서 우리를 의롭다고 선포하는 것이고 성화란 칭의의 역사와 함께 시작되어 이 세상에서 계속되다가 죽을 때 완성되는 것이다. 끝으로 영화란 하나님께서 하늘에서 모든 죄로부터 우리들을 온전히 건져주셔서 그리스도의 모습으로 변화시켜 주시는 것을 말한다.



독자 한마디

의견쓰기
이 름 E-mail
제 목



프린트하기 기사메일보내기 독자한마디


이전으로
평신도신학
왜 평신도 신학인가?
주기도문 서론
첫번째 간구(마 6·9)-
첫 번째 간구(마 6·9)-
두번째 간구 (마 6·10)
세 번째 간구(마 6·10)
네 번째 간구(마 6:11)
다섯번째 간구(마 6·12)
여섯번째 간구(마 6·13)
주기도문의 송영(마 6·13)
사도신경 서론
제1장 신론(1)
신론―(2)
제2장 기독론―⑴
기독론―⑵
 | Home | 사이트구조 | 내용검색 | 전체내용보기 | 내용올리기 |
경남 하동군 금남면 덕천리 1431-5 (전화055-883-4843)   Contact Webmas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