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회원가입

  홈     교회안내     예배안내     담임목사목회     신구약66권장절전체설교(가입후열람)     교회학교     전도부     교육부     남전도회     여전도회     청년부     봉사부     선교부     예배자료     신앙자료     생활정보     시,수필,컬럼     기도실     이단자료     운영자자료실     가  

  일반교회시사
  이쁜글.좋은글
  각 기관 부서
  교육자료실
  성경공부 방
  오늘의 Q.T
  은혜의 간증
  절기(추수.맥추)
  여름성경학교
  주일학교설교
  고난(사순절)부활절
  5월가정의 달
  성령 강림절자료
  찬송 및 복음송
  기독교영상플레시
  기독교자료
  기독교동영상
  덕천교회 약도
  시사 예화
  유머 예화
  상식건강자료
  고려수지침강의
  가정상담
  한자 사전
  아름다운이야기
  다양한 이미지
  성경말씀 듣기
  기도는어떻게하나?
  선 교 학
  신간도서기독교
  자주묻는질문 답변
  예화자료
  목회설교돕는 정보
  기도원 소식
  북한 탈북자 등
  명언 격언실
  역사신학실
  실천신학실
  현대신학실
  철학이야기
  히브리 헬라어사전
  비교이단자료
  창조와진화론
  1907년 대부흥사
  강해설교
  컴퓨터 배우기
  평신도신학
  유익한 정보
  특선.다큐멘타리
 



성경공부

생활정보

사전사이트



성령의 인격성
2007-04-18 13:40:30   read : 2458

구약에서의 성령론

[신성종 목사의 평신도신학 (86)] 구약에서의 성령론


구약성경에는 성령께서 하시는 일을 크게 다섯 가지로 말씀하고 있다. 무엇보다도 성령께서는 성부,성자와 함께 천지를 창조하셨다. 이에 관한 성경 구절은 일곱 곳에 나온다. 창세기 1장 2절,욥기 26장 13절,27장 3절,33장 4절,시편 33편 6절,104편 30절,사도행전 4장 12∼14절이다. 이것들은 증거가 좀 덜 분명하지만 전체적인 면에서 볼 때 성령에 관한 구절임을 알 수 있다.


둘째로 구약시대에 성령께서 개인들을 봉사할 수 있도록 준비케 하고 필요한 것을 갖춰준 것을 볼 수 있다. 사사기 14장 6절을 보면 “삼손이 여호와의 신(성령)에게 크게 감동되어 손에 아무것도 없어도 그 사자를 염소새끼를 찢음같이 찢었다”고 하였다. 사사기 3장 10절에서는 “여호와의 신이 그(옷니엘)에게 임하였으므로 그가 이스라엘 사사가 되어 나가서 싸울 때에” 승리를 거두었다. 출애굽기 31장 2∼5절에 보면 “브살렐을 지명하여 부르고 하나님의 신(성령)을 그에게 충만하게 하여 지혜와 총명과 지식과 여러 가지 재주로 공교한 일을 연구하여 금과 은과 놋으로 만들게 하였다”고 했다.

셋째로 성령께서는 선지자들을 감동하여 예언케 하였다. 구약의 선지서를 보면 “이것이 주께서 말씀하신 것이라”는 말로 시작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사야 6장 8절에는 “내가 또 주의 목소리를 들은 즉”이라고 표현했다.

넷째로 성령께서는 구약의 백성들로 하여금 도덕적 삶을 살게 해주셨다. 그래서 다윗은 “주의 성신을 내게서 거두지 마소서”(시 51:11) “나를 가르쳐 주의 뜻을 행케 하소서 주의 신이 선하시니 나를 공평한 땅에 인도하소서”라고 기도했던 것이다.

다섯째로 성령께서는 메시아의 오심을 예언케 하였다. 그리스도의 오심을 두 가지로 예언하고 있다. 이사야 9장 6절에 보면 “한 아기가 우리에게 났고 한 아들을 우리에게 주신 바 되었는데 그 어깨에는 정사를 메었고 그 이름은 기묘자라 모사라 전능하신 하나님이시라 영존하시는 아버지라 평강의 왕이라 할 것임이라”고 메시아에 대해 직접적으로 예언하였다.

다른 하나는 이사야 41장 2절에 나오는 간접적인 예언이다. “누가 동방에서 사람(고레스)을 일으키며 의로 불러서 자기 발 앞에 이르게 하였느뇨 열국으로 그 앞에 굴복케 하며 그로 왕들을 치리하게 하되 그들로 그의 칼에 티끌 같게 그의 활에 불리는 초개같게 하매”라고 했는데 이 구절은 직접적으로는 고레스에 관한 것이지만 메시아에 대한 모형론적인 표현으로 볼 때 메시아에 관한 간접적인 예언이기도 하다.




독자 한마디

의견쓰기
이 름 E-mail
제 목



프린트하기 기사메일보내기 독자한마디


이전으로
평신도신학
왜 평신도 신학인가?
주기도문 서론
첫번째 간구(마 6·9)-
첫 번째 간구(마 6·9)-
두번째 간구 (마 6·10)
세 번째 간구(마 6·10)
네 번째 간구(마 6:11)
다섯번째 간구(마 6·12)
여섯번째 간구(마 6·13)
주기도문의 송영(마 6·13)
사도신경 서론
제1장 신론(1)
신론―(2)
제2장 기독론―⑴
기독론―⑵
 | Home | 사이트구조 | 내용검색 | 전체내용보기 | 내용올리기 |
경남 하동군 금남면 덕천리 1431-5 (전화055-883-4843)   Contact Webmas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