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회원가입

  홈     교회안내     예배안내     담임목사목회     신구약66권장절전체설교(가입후열람)     교회학교     전도부     교육부     남전도회     여전도회     청년부     봉사부     선교부     예배자료     신앙자료     생활정보     시,수필,컬럼     기도실     이단자료     운영자자료실     가  

  일반교회시사
  이쁜글.좋은글
  각 기관 부서
  교육자료실
  성경공부 방
  오늘의 Q.T
  은혜의 간증
  절기(추수.맥추)
  여름성경학교
  주일학교설교
  고난(사순절)부활절
  5월가정의 달
  성령 강림절자료
  찬송 및 복음송
  기독교영상플레시
  기독교자료
  기독교동영상
  덕천교회 약도
  시사 예화
  유머 예화
  상식건강자료
  고려수지침강의
  가정상담
  한자 사전
  아름다운이야기
  다양한 이미지
  성경말씀 듣기
  기도는어떻게하나?
  선 교 학
  신간도서기독교
  자주묻는질문 답변
  예화자료
  목회설교돕는 정보
  기도원 소식
  북한 탈북자 등
  명언 격언실
  역사신학실
  실천신학실
  현대신학실
  철학이야기
  히브리 헬라어사전
  비교이단자료
  창조와진화론
  1907년 대부흥사
  강해설교
  컴퓨터 배우기
  평신도신학
  유익한 정보
  특선.다큐멘타리
 



성경공부

생활정보

사전사이트



주기도문 서론
2007-04-24 07:53:34   read : 3587

주기도문 서론

[신성종 목사의 평신도신학 ⑵] 주기도문 서론


“하늘에 계신 우리 아버지여”(마 6:9).루터는 주기도문을 최대의 순교자라고 했다.그것은 많은 사람들이 의미없이 주기도문을 그냥 외우기 때문이다.재미있는 것은 주기도를 예배 끝날 때 축도 대신 하는 나라는 한국밖에 없다는 점이다.아마도 목회자들이 적었던 시절에 생겨난 편법이었다고 생각된다.미국에서는 설교자가 신학생이라도 축도 형태의 기도를 한다.즉 내용은 거의 같은데 끝날 때 “너희에게”란 말 대신에 “우리들에게”란 말로 하는 것이 다르다.

(1) 어떤 이유로 하나님을 아버지라고 하는가?

마태복음에는 “하늘에 계신 우리 아버지여”라고 했고,누가복음에는 더 간단히 “아버지여”라고 시작한다.이 고백은 창 1장 1절에 “하나님이 세상을 창조하시니라”는 말씀에 근거한다.창 1장 28절과 2장 7절에는 좀더 구체적으로 인간을 하나님의 형상대로 창조하셨다고 기록하고 있다.하나님을 아버지라고 부르는 것은 창조의 원리와 구원의 원리에서 비롯됐다.

(2) 어떻게 하나님의 자녀가 될 수 있는가?

갈 3장 26절에 보면 “너희가 다 믿음으로 말미암아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하나님의 아들이 되었으니”라고 했다.즉 믿음으로 하나님의 자녀가 되었다는 것이다.따라서 우리는 하나님을 향해 “아바 아버지”라고 부르는 것이다.중요한 것은 여기서 ‘아바’(Abba)란 말이 우리말이 아니라 아람어란 말이다.자녀가 사랑하는 아버지를 부를 때 아바라고 부른다.

(3) 하나님을 아버지로 모신 자의 축복은?

성경에 보면 하나님을 아버지로 모신 자의 축복을 여러가지로 말씀하고 있다.첫째로 자녀에게 하듯이 우리를 교훈해 주신다.둘째는 하나님께서 우리들을 존귀하게 여기며 사랑해 주신다.셋째는 사탄을 우리의 발 아래서 상하게 하신다.우리를 승리케 하신다는 뜻이다.넷째는 모든 좋은 것에 부족함이 없게 하신다.다섯째로 풍성한 삶을 살게 하신다.

그리고 마지막 여섯째로 부활에 참여케 하신다.여기서 부활에 대해서는 크게 두 가지 견해가 있는데 영적 부활과 육적 부활이다.이것은 천년왕국의 견해에 따라 다른 것이다.천년왕국을 문자적으로 보면 육적 부활로,상징적으로 보면 영적 부활로 해석된다.

아무튼 주기도문에서 ‘아버지’라고 시작하는 것은 기도의 대상이 누구인가를 가르쳐줄 뿐만 아니라 반드시 응답된다는 확신을 준다.



독자 한마디

의견쓰기
이 름 E-mail
제 목



프린트하기 기사메일보내기 독자한마디


이전으로
평신도신학
왜 평신도 신학인가?
주기도문 서론
첫번째 간구(마 6·9)-
첫 번째 간구(마 6·9)-
두번째 간구 (마 6·10)
세 번째 간구(마 6·10)
네 번째 간구(마 6:11)
다섯번째 간구(마 6·12)
여섯번째 간구(마 6·13)
주기도문의 송영(마 6·13)
사도신경 서론
제1장 신론(1)
신론―(2)
제2장 기독론―⑴
기독론―⑵
 | Home | 사이트구조 | 내용검색 | 전체내용보기 | 내용올리기 |
경남 하동군 금남면 덕천리 1431-5 (전화055-883-4843)   Contact Webmas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