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마 교회 과도 시대 (590-800
2006-09-02 12:43:24
로마 교회 과도 시대 (590-800)
1. 서 론
중세사는 그레고리우스 1세 즉위시부터 마르틴 루터의 종교 개혁(590-1517)까 지 920년간을 말함.
1) 역사의 중심의 이동 (동방에서 서방으로)
(1) 원인 a. 희랍 교회 (동방)의 내적 생명 고갈. b. 마호메트교의 발흥 c. 로마교회의 세력 확장 뱌. 라틴 민족의 정치적 자질로 로마 교회 건설. 뱏. 영웅이 교황이 되어 교권과 정치권을 장악. 뱒. 교회법을 제정하여 교황권을 강화 뱔. 샤를마뉴,옷토 등의 영웅이 왕이 되어 교회와 제휴함. (2) 결과 a. 권세가 있는 곳에 부패가 따름. b. 민중의 무지와 미신. c. 사상도 정치적 통일 체제 속에 있게 됨.
2) 종교 생활
(1) 게르만 민족의 아름다운 국민성이 교회 안에서도 발휘되고, 로마인의 정치적 자질의 공헌이 컸다. (2) 신비, 청렴한 생활 기풍이 실시 (3) 성자와 위인이 속출. (4) 건축,조각,회화 등의 번영.
3) 종교적 부흥.
(1) 수도원을 중심으로 여러 차례 종교적 부흥이 있음. (2) 오늘의 가톨릭을 지배하는 신학과 제도는 거의 중세기의 것이다.
4) 시대 구분
과도시대(590-800) 샤를마뉴 대제의 즉위. 생장시대(800-1073) 그레고리우스 7세 즉위. 전성시대(1073-1303) 보니파키우스 즉위. 쇠퇴시대(1303-1517) 종교 개혁.
2. 그레고리우스 1세
1) 생애
(1) 540년 로마 부호의 집에서 출생. (2) 어머니와 고모 2명이<성자> 칭호를 받은 가정에서 성장. (3) 부친 사망후 재산을 수도원에 기증하고 수도사가 됨. (4) 교황의 특사로 콘스탄티노폴리스에 파견되기도 하고, 교황 비서가 됨. (5) 교회와 원로원이 모두 그가 교화 되기를 갈망했으나 거절하고 변복하여 도망하다가 잡혀서 590년 9월에 교황이 됨.
2) 업적
(1) 교회의 중요 직위에 수도사 채용 (2) 교직 매매를 금함. (3) 교직자가 된 후 결혼을 금함. (4) 교황권 강화. (5) 영국 전도 위해 아우구스티누스 파송. (6) 연옥설,성모,성자 예배 주장.
3) 실패
(1) 포카스 (Phocas) 에 대한 태도...포카스는 자신이 동로마 제국 황제로 지칭한 자로 여기에 반대하는 6명의 아들들을 부모가 보는 앞에서 학살 하였다. 그레고리우스 1세는 이 사람에게 축사함.
4) 저서와 학설
(1) 성경 주해와 설교집이 많음. (2) 연옥설 주장. (3) 성자 예배, 성모 예배가 시작됨.
3. 모하메드교(Mohamed)의 발흥.
1) 아라비아
(1) 사막이 많음. (2) 소부족간의 투쟁이 계속됨. (3) 인종은 크게 두 종류 a. 베즈인인..용맹하고 사막에 거주,유목민. b. 하데시인..도시 외래 문화를 받음. 상업에 종사,온화한 성품. (4) 종교..<알라> 최고신 믿으나 다신 숭배가 많음. (5) 메카(Mecca)..모하메드교의 중심지,각종 우상이 360개나 안치되어 있음.
2) 모하메드 (Mohamed)
(1) 570년 아라비아 멕카에서 출생. (2) 고아로 가난하게 자람. (3) 25세 때 부자 과부와 결혼. (4) 사업차 외국에 가서 유대교, 기독교 세계와 접촉. (5) 40세에 신의 계시를 받았다고 일신교를 창도함으로 멕카에서 추방되어 메디나(Medina)로 도망 (6) 근방의 부족들을 규합하여 630년 멕카를 점령하고 우상을 제거,신흥 종교 의 중심지로 삼음. (7) 632년 63세로 사망.
3) 모하메드교
(1) 기원 a. 모하메드가 개교한 종교, 처음에는 아라비아인의 종교 혁신에 있었으나 나중에는 세계 정복에 목적을 둠. b. 전도 위해 칼을 사용. c. 다른 일신교와 제휴하려 했으나 기독교에서 박해하므로 그도 배타적 태도 를 취함. (2) 교리 a. 일신교로 일체의 우상을 배척. b. 참신의 이름은 <알라> <Allah>,인류 구원을 위해 천사.모세,예수를 보냈 다. 모하메드는 천사 (예언자,인간)로 모세와 예수보다 우월함. c. 신앙을 위해 노력하는 자 천국에 감. d. 절대 복종(이스람(Islam.복종)이라는 모하메드교의 딴 이름을 보아도 안 다) e. 신에게 받는 보상. (3) 도덕 a. 근행 기도,구제, 메카 순례. b. 음주, 돼지 고기 금함. c. 일부다처제 d. 노예를 허락. (4) 경전 - <코란> a. 모하메드의 언행론 (114장으로 됨) b. 모하메드를 최상의 예언자로 종교, 정치, 모든 사물을 정하는 무상의 권위자임. c. 모하메드 사후 20년 후 그의 제자 아부베커(Abubeker)와 서기 지이드 (Zaid)가 편집함. (5) 포교 a. 후계자(칼라파.Khalif.Khalifa)가 군대를 조직하고 무기를 들고 영토를 확장함. b. 피정복자들을 설득하여 선봉이 되게 함. c. 동편은 인도에, 서 아시아, 중앙 아시아, 북아프리카 연안,스페인 반도, 콘스탄티노폴리스, 로마까지 위협.
4) 모하메드교의 분열
(1) 원인 a. 교리 투쟁 b. 세력 다툼. (2) 후계자의 세력 다툼. 1대 장인 아부 베커(Abu-Beker,632-644) 2대 오마르 (Omar,634-644) 3대 오트만 (Othman,644-655)...북아프리카 점령. 5대 조카 알리... 6년후 살해됨. 6대 므아위아 1세 (Moiawiya I)...알리(Ali)를 죽이고 옴마야 (Ommaiya) 家를 개설하여 100년간 유지. (3) 분파 a. 순니파 (Sunnites)... 3대 치하에서 코란 이외의 전설 ( 이것을 순나 ( Sunna)라 부름)을 인정함, 정통파로 자처 b. 쉬데파 (Shiites)... 순나 (Sunna)를 반대 (알리) c. 수피파 (Sufism)... 신비적 종파 (성자가 많이 남).
4. 서 유럽 전도
1) 프랑스 전도
(1) 전도자들 a. 이레네우스가 처음으로 전도. b. 마르틴 (Martin, Bishop of Tours, 361-400) ①. 군인이므로 군대식으로 강제 입교 ②. 전국 각지의 우상 전당을 헐고 우상을 제거하며 전도함. (2) 공헌한 왕들 a. 클로레스 (Clores,496)... 예수 믿고 기독교를 장려함. b. 샤를마르텔 (Charles Martel, 715-740)....독일과 화란에 선교사 파송. c. 마르텔 왕자는 수도사가 됨. d. 국왕은 보니파키우스 주선으로 대회를 소집. ①. 742년 프랑크 교회 대회의 (1) 규칙과 계율 엄수. (2) 교직자 부도덕 엄금. (3) 신부의 결훈 금지. (4) 금욕 생활 장려. ②. 감독 회의(747)...교화의 사법권을 인정.
2) 독일 전도
(1) 윌리브로오드(Willibroad,657-739) a. 영국인으로 아일랜드 교회의 감화와 교육을 받음. b. 화란과 덴마아크에 선교하고 황무지에 선교 활동 전개. (2) 보니파키우스 (Bonifacius) a. 영국의 귀족 출신으로 고등 교육을 받음. b. 윌리브로오드의 제자로 그를 도와 선교 활동을 함. c. 교황 명령으로 프로이센(716) 선교를 거쳐 독일 전도의 사명을 받음. d. 입신했던 사람들이 우뢰신에게 되돌아감을 보고 수천 군중 앞에서 우뢰 신이 있다는 상수리 나무를 도끼로 찍어 무사하자 많은 사람이 신앙을 갖게 됨. e. 20년간 10만명에게 세례를 베품. f. 744년 풀다 (Fulda)에 베네딕투스계 수도원을 건설. g. 75세에 순교.
3) 영국 저도
(1) 선교사들 a. 50 년경 로마 군인 중 신자가 있어 교회가 건설됨. b. 400년경 펠라기우스가 전도. c. 파트리키우스 (Patrick,또는 Patricius 396-493)...첫 선교사. ①. 스코틀랜드 신자 가정에서 출생. ②. 어릴 때 북 아일랜드에 포로가 되어 추장집에서 6년간 목동 생활. ③. 피신하여 수도원에 들어가 수도 후 귀가함. ④. 431년 환상을 봄 (아일랜드인이 우리를 도와 달라고 간청) ⑤. 안수 받고 아일랜드로 가서 30년간 전도함. ⑥. 일반 시민과 귀족들의 신망이 두터웠고 각처에 수도원을 세움. d. 아우구스티누스와 수행원 40명 ①. 596년 아우구스티누스를 영국에 선교사로 파송 (교황 그레고리우스1세) ②. 켄트왕 에텔버트(Ethelbert)는 아우구스티누스를 영접 하고 캔터베리에 저택을 지어주고 자기도 입신, 1만명이 세례를 받음. ③. 601년 아우구스티누스가 영국 대감독이 되어 계속 선교 활동을 하였다. (2) 선교에 공헌한 자들 a. Finan of Conlard (470-548)..수도원 제도를 크게 발전시킴. b. 컬럼버 (Columba,521-597)..왕족 출신. ①.아일랜드 여러 교회와 두 수도원을 세움. ②. 563년 동지 12명과 스코틀랜드 아이오우너(Iona)섬에 수도원을 세움. c. 아인단 (Aidan)... 아이오우너 수도사로 신 아이오우너에 수도원을 세움. ①. Bangar 수도원장. ②. 595년에 12명의 동지와 독일에서 선교. ③. 브루군대 (Brugundy)에 수도원 (Luxeuil)을 세움. ④. 610년 스위스 북방 여러 곳에 수도원을 세움. ⑤. 614년 이탈리아 봅비오 (Bobbio)에 수도원 세움. e. 켄트공주...노오덤브리아(Northumbria) 왕 에드원 (Edwin)에게 출가할 때 방문한 아우구스티누스와 수행원 40명중 파울리누스(Paulinus)의 전 도, 에드윈 왕은 국내의 유력자를 모아 기독교 채택 여부를 의논하여 받 기로 가결. f. 비이더 (Beada, 673-735)...수도원 출신,법학자,<영국 교회사> 저술 g. 캐드먼 (Caedmon)...시인.
3) 반동과 싸움.
(1) 노오덤브리아 남북간의 내란으로 에드윈은 전사, 파울리누스는 귀향. (2) 노오덤브리아 왕가는 남.북계로 마찰이 심함, (3) 644년 휘트비(Whitby)에서 영국 대표와 로마교 대표가 모여 협의함. a. 앵글로 색슨 왕은 로마 교회에 속하기로 b. 제도와 예배 의식은 로마 교회의 법대로 하기로. c. 부활절도 주일에 지키로.
5. 교리와 신학.
1) 화상 예배
(1) 동 제국 황제 레오(Leo)가 2개의 칙령을 발표. a. 726년에 회당 안에 화상을 거는 것은 허락하나 입맞추지 못하도록 높은 곳에 걸라고 발표. <반대> - 시민,수도자,다메섹,요한, 서부 그리이스의 주민들은 해군으로 유박 b. 회당에서 화상을 일체 제거하라. <반대> - 그레고리우스 2,3세는 화상 반대자 추방을 선언 (731년) (2) 콘스탄티누스 5세 (741-775)가 대회 소집. <결정> - 화상,십자가, 휘장을 교회당,개인집,수도원 등에 계시하는 것을 금 함 (서방 교회는 반대) (3) 제 7차 내케아 회의(787년.동서 회의라 불리움) a. 콘스탄티누스 6세의 어머니가 화상 예배를 좋아하고 아들의 섭정이 되어 교황 하드리아누스와 협의하여 회의를 소집하였다. b. <결정> ①. 예수,천사,성모,성자 화상을 시인. ②. 예배는 화상에게가 아니라 신에게 드린다. ③. 등을 화상에 드리고 분향도 가하다. ④. 화상 예배는 그 근원을 숭배하기 때문이다.
2) 니케아 신조의 문구
(1) 성령은 <성부에게서 유출한다>를 <성부 및 자신에게서 유출한다>고 주장 하는 학자 아리우스 (Arius)파 때문에. (2) 군중이 이를 채용하고 교황이 승인. (3) 동방 교회는 승인하지 않았고, 이것이 후일 로마 교회와 희랍 교회 분리 의 원인이 되었다.
3) 이단 바울파 (Paulicians)
(1) 개조 콘스탄티누스 실바누스 (Constantin Silveranus, 650-660) a. 마니교 가정에서 출생했으나 마니교를 배척하였다. b. 바울 서신에 감동되어 영과 유신,율법과 은혜를 대조하여 열심히 그 주의 를 설명함, c. 바울을 존경하는 의미에서 자신을 실루아노,제자들을 디모데, 디도 등으로 불렀다. (2) 주장 1891년 아르메니아남방 에드미아찐 (Edmiatzin)도서관에서 발견된 <진리의 검 > 이라는 책에 의함. a. 이원론 (二元論) 주장 (세상은 악의 세력이 조장했으나 영은 신에게서 왔다. b. 예수는 하나님의 양자이다. c. 신약은 베드로 서신을 제외하고는 모두 선한 신의 말씀이다. d. 로마 교회 제도를 혹평 (화상 예배,수도원,성례 등에 대하여) e. 생활은 순결,개혁 정신이 강함. (3) 전파 a. 콘슨탄티누스가 27년간 키봇사에서 전도. b. 콘스탄티누스 황제가 포고나투스 세메온 (Pogonatus Simeon)을 사자로 보 내어 (685년)정통 교회를 따를 것을 권면하였으나 도리어 시메온이 감동 되어 그 무리에 가담하고 지도자가 되었다. 시메온은 699년에 화형을 당 하였다. c. 박해와 수령의 도덕적 타락 행위로 말미암아 분열되었다.(여황제 테오도라 의 박해로 10만명이 죽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