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마의 경제제도
2007-10-25 10:04:43

로마의 경제제도

 

그리스와 유사한 노예제를 기반.  대토지소유제가 확대(공화정이후)노예의 인신매매가 성행,   정복사업이 둔화되면서 노예의 감소현상.  대토지경영의 어려움, 생산력저하: 토지제도의 붕괴위기-로마의 경제가 노예제에 의한 생산방식에 의존, 기술개선에 소홀한 면-기술개량에 등한시: 고용창출, 대중의 구매력 자극에 실패

 

 

 

*정복전쟁의 종식-값싼 대량의 노예공급원의 소멸을 의미-대토지소유제(라티푼디움)-콜로누스(소작제)로 변질-콜로누스: 소작제의 도입(대토지분할): 노예제도는 로마경제의 한계. 화폐경제가 흔들리면서 급여가 현물화(자연경제)-제정말기: 제국의 분할에 따른 경제적 상황의 악화: 도시의 역할이 감소(대토지소유제는  유지하는 모순)재정의 어려움은 지방화,자급자족화, 현물화의 결과를 초래-166년 이후 페스트의 창궐과 질병, 기아로 인한 소작인인 점차 부자유적인 농노화-지배계층의 면세특권이 강화: 제정말기에는 자유민이 소작인으로 전락-유산자와 무산자 계층의 대립이 뚜렷해짐

 

 

 

경제, 사회적 동요-속주의 로마시장경제로의 편입문제의 어려움. 도로(군사적 목적): 수송과 통신의 어려움: 자본의 재투자가 비효율적(비생산적),   기술투자의 어려움-과대한 군사비지출: 재정악화, 만성인플레, 화폐경제의 쇠퇴(중국, 동방으로부터 곡물, 향료, 보석수입: 막대한 금, 은을 지출

 

정신문화적원인

기독교의 성장

현실적이 아닌 내세의 신비사상에 사로잡힘-로마말기의 기독교수용: 로마정신과는 배치(원래정신의 토대를 상실)-헬레니즘-로마적 전통문화에 동화된 게르만 야만문화를 배경-로마적 게르만적 요인을 기독교정신으로 계승해나감-이는 중세유럽의 정신적 기반

 

기독교박해

로마황제의 상징적 신성성에 대한 공식적 참배요구  -속주의 군대조직은 대부분 기독교신자가 확산  -이교도적 제의를 거부, 황제의 신성성 요구에 불응이 원인-네로황제 54-68이후 9차례 그리스도교 박해  -4세기 초:  디오클레티아누스의 박해: 제국 최대 최후의 박해*콘스탄틴 대제: 313 기독교 공인, 관용과 호의 정책적 전환  -기독교는 사적 신조 공동체(sect)가 아니라, 사회적 종교(cicil Religion)-기독교도들도 황제를 정치적 수장으로 인정-기독교는 로마황제 중심적 제국통치에 필요하고 유용한 집단

 

 

-392년 기독교의 국교화를 통한 제국의 통합(로마적인 것과 기독교적인 것의 일치)-395년 테오도시우스 379-395: 마지막 황제의 타계이후 동-서로마의 분열. 독자적인 역사와  문화로 대립-서유럽은 다수의 다양한 후계자 역할: 5세기 말 정치조직으로서의 로마제국은 붕괴.-동부는 새로운 로마: 비잔티움의 강력한 제국이 유지-서로마제국의 해체과정(서유럽 지역)이 진행될수록, 로마교회는 모든 로마적인 것, 즉 그리스-라틴문명의 유일한 통로의 역할 -서로마제국의 몰락이후 서유럽은 제국통합을 위한 이민족과의 전쟁에서 더욱더 새로운 민족이동 양상으로 변화되고, 이는 서유럽의 분열을 가속화 함.

 

기독교의 성장과정

사도 바울의 등장

A.D. 1-64-기독교를 세계종교로 발전시킨 율법학자이며 전도사:  -전도여행: 소아시아, 그리스, 마케도니아-로마에서 순교-바울의 기독교 세계주의: “각 교회에 보낸 서한”에 명시됨-“기독교는 율법의 마지막이라고 선언: 기독교를 유태교에서 해방시킴-기독교와 유태교의 통합을 역설하면서 기독교를 헬레니즘-로마문화 세계에 전파시켜 기독교신학의 터전을 마련

 

유태교의 쇠퇴

-로마에 대한 독립반란 66년: 1차 유대전쟁 때 기독교도는 불참)-70년 예루살렘이 함락  -제2차 유태전쟁(132-135): 유태교의 철저한 파괴*기독교의 로마전파: 로마교회의 기원은 불투명:  -58년 바울의 로마인에 보낸 서한에 근거이방인을 주체로 한 기독교는 세계종교로 발전: 수도 로마에 신자수 증가-주로 공인종교였던 유태교와 다른 면을 강조하고 로마사회의 관심사가 됨-네로의 박해(64년): 로마 시장거리의 화재사건에 소문으로 연루된 네로는 기독교인의 소행으로 협의를 덮고 박해하기 시작함-도미티아누스의 박해; 81-96년 기독교인을 공적으로 규정하고 박해. 요한묵시록에 순교한 신자들의 이야기가 나타남

 

 

교부시대

사도시대 1세기 말 -2세기 시대)이후  -교부란 신틀라톤학파나 스토아학파에 비해 지식과 학문수준이 덜함-기독교 교회의 건설과 교의의 발전에 큰 공헌을 한 자

-대체로 6세기까지 교회의 조직화에 노력:  -사도, 예언자라기보다 주교, 사제 등 교회를 대표-2세기 말부터 교회조직은 정비되고 독립적인 주교제가 확립*신약성서가 탄생: 2세기 말-3세기:  -현재의 성서 27서는 4세기에 공적인 인정

 

이슬람제국과 비잔티움의 발전

모하메드Mohammed 570-632이후  -지중해세계는 특히 동로마제국의 영향권(아랍지역 및 동지중해지역)은  이슬람의 권력팽창과정에 흡수됨.-8세기: 이집트, 북아프리카, 에스파냐, 서고트왕국을 정복:  이후: 남프랑스 지중해연안에서 인도에 이르는 대제국을 형성.-바그다드: 비잔틴제국과 힘을 겨루고 있었지만 8세기는 지중해세계의 실질적인 지배자   -이슬람제국은 중세 내내 독자적인 종교로 통합된 세력이며,  -그리스-라틴문명을 보존, 성장시킨 강력한 지중해의 세력으로 유지됨-비잔티움과 더불어 서유럽보다는 높은 수준의 문명을 보존, 성장시키며, 보다 통합된 사회이다.

 

 

-양대세력(비잔틴과 이슬람): 로마제국의 직접적 후예들: 세계문명사적 의의와 중요성에 대한 재인식이 필요-유럽서구문명에 대한 특징과 구조에 대한 분석은 고전문명만으로 해명이 불가능:-로마제국은 3등분의 유산: 비잔티움, 이슬람제국, 분열된 서유럽의 형태  -기독교는 서유럽에 로마 구제국의 전통과 문명을 전달하는 유일한 통로의 역할.

 


admin

이전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