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아파
2007-03-29 04:09:00

시아파

 

 

 

 

 시아란 분파라는 뜻으로 수니파(派)(정통파) 이외의 분파를 총칭한다. 교조 마호메트에게는 아들이 없었기 때문에 그가 죽은 후 후계를 둘러싸고 대립이 시작되면서 시아파가 생겨났다. 즉, 모하메드가 죽자 마자, 메디나에서는 모하메드의 사촌이자 사위(모하메드의 딸 파티마와 결혼)인 알리 브 아비 탈리브('Ali b Abi Talib)가 아부 바크르나 다른 어떤 후보자보다도 예언자의 뒤를 잇기 위해 가장 자질이 있다고 믿는 소수 집단이 나타났다.이 소수집단은 "시아트 알리"(Shi'at 'Ali)로 알려졌고 "시아"(Shi'a)로 다시 단순화되었다. 알리의 후계자 승계는 메디나에 있던 그의 일당의 지지를 받게 되었고, 곧 시아파는 교리를 만들었으며 그들의 교리는 보다 폭넓은 인식을 받아들였다.

  시아파는 모하메드가 사실은 후계자를 지명했으며 그 사람은 바로 알리라고 믿었다. (그들은 후계자를 영적인 지도자로 부르기를 좋아하여 "이맘"(imam)이라고 하였다.) 알리와 그의 동료들은 선거제를 통하여 예언자의 후계자를 선출하는 행위에 대해 반기를 들었다. 이것이 무슬림 다수파로부터 시아파를 분리시키게 된 바로 그러한 반란이었다.

  정당한 질서에 대한 투쟁에도 불구하고, 최초의 4명의 칼리프들 (알 쿨라파 알 라시둔(al-khulafa' al-rashidun) 또는 "정통 칼리프"로 알려짐) 은 코란에 담긴 계시의 내용대로 이슬람의 메시지가 담고 있는 모든 포괄적인 규율의 정통 보존자로 여겨졌다. (수니파 이슬람으로 알려진 것은 이러한 정통파였다.)

  시아파의 교리에 따르면 이맘들(알리와 그의 직계 후손들)은 종교적인 지시를 내릴 수 있는 유일한 근거였으며, 가장 중요한 논점은 이슬람의 교리와 종교적 주장의 해석에 관계된 것이었다. 이것은 그들이 코란의 가르침과 이슬람의 성스러운 율법 ("샤리아", Shari'a)이 인간을 뛰어넘는 곳에서 나온 것이며 따라서 인간 이성으로는 파악될 수 없는 진리를 담고 있는 것이라는 것을 알기 때문이었다. 따라서 이슬람 계시의 참된 의미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맘이라고 하는 종교적인 권위자가 필요하다고 시아파들은 인식했다.

  알리는 마침내 4대 칼리프로 계승했지만, 시아파는 그가 첫번째 진짜 칼리프라고 믿고 있으며 11명의 다른 칼리프들이 뒤를 이었다. 시아파의 눈에, 알리의 후계자로서의 독특한 자질은, 모하메드의 유언을 통해 표현된 대로 신의 명령에 의해 임명되었다고 하는 또 다른 중요한 차원을 갖는 것이었다. 이것이 의미하는 바는, 알리는 또한 신적인 영감을 갖고 있으며 오류와 죄가 무결하고, 따라서 그의 지식에서나 예언자의 뒤를 이은 가르치는 권위자로서나 그는 완전하다고 하는 것이다.

  그들의 믿음 때문에, 시아파는 ""12인""(twelvers, 이맘의 수에 근거하고 있다)이라고 알려졌다. 12번째 이맘이 878년에 신비하게 사라지자, 이맘직은 끝이 나고 "울레마"(ulema)라고 하는 시아파 종교학자들의 집단조직이 그의 직위를 대신했고 그가 다시 '정당하게 지명된 자(rightly guided one)'로서 돌아오기를 기다리고 있다. 현재의 "아야톨라"(Ayatollahs, 신의 표적)는 자신들을 역사 끝에 오게 될 이맘의 지위를 공동 관리하는 자로서 인식한다.

  하지만, 후계자 계승이 모든 시아파의 동의를 받은 것은 아니었고 또 다른 집단이 떨어져 나와 ""7인"(seveners)"이라고도 하는 "이스마엘파"(Ismaelis)가 되었다. 이유는 정당한 7대 이맘 (그래서 마지막 이맘)은 무사 알 카짐(Musa al Kazim)이 아니라 어릴 때 죽은 그의 형 이스마일이라는 분쟁이 있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분열"의 결과로 대체로 다음과 같이 결론지을 수 있겠다. 정통 수니파 이슬람은 기본적으로 코란이 최종적인 권위를 가지며 더이상의 계시는 없다고 믿는다. 시아파 이슬람은 정당한 이맘은 코란의 메시지를 추가할 수 있는 신적인 영감과 알라의 권위를 함께 갖는다고 믿는다. 이처럼 시아파 이슬람은 2개의 주요 분파 중 보다 급진적이고, 여러 세기 동안 많은 사람들이 차기 "이맘"이라고 주장하면서 자신들의 특별한 주의로 무슬림들을 재통합하려고 시도하였는데, 불행히도 이것은 "지하드"(Jihad, 이교도에 대한 성전)로 자주 표출되었다.

  <두산대백과사전>참고



admin

이전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