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따라잡기 공포소구 등
2007-03-10 07:30:09

공포소구



공포소구(Fear appeal)는 소비자가 광고에서 권장하는 제안을 따르지 않았을 때 겪을 수 있는 부정적 결과에 대한 두려움이나 공포를 이용하는 광고를 말하는데, 음주운전 예방운동, 금연운동, 안전벨트의 착용 등의 공익광고와 제약광고에서 자주 활용된다. 공포나 두려움은 소비자의 감정적 반응의 하나이므로, 공포소구는 전술 한 바 있는 감정적 소구의 특수한 형대로 구분할 수도 잇다. 그러나 감성적인 소구가 주로 소비자의 긍정적인 감정을 유도하는데 비하여 공포고수는 두려움이나 공포와 같은 부정적인 감정에 소구한다는 점에 차이가 있다. 공포소구 효과에 대한 이론인 병행적 반응모델(parallel Response model)에 따르면, 공포소구는 광고를 통하여 소비자에게 공포나 두려움을 야기 시키는 것은 물론 나쁜 결과가 나에게도 닥칠 수 있다는 인지적 반응을 유발해야 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빨대효과(Straw effect)



컵에 담긴 음료수를 빨대로 빨아먹는다. 즉, 도시기능이 주변 대도시로 흡수되는 이른바 Straw effect(빨대효과)라 한다. 요즘 초고속의 문명 발전으로 인한 교통, 통신 등이 예전에는 할 수 없었던 일들을 좀더 빠르고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게 되었다는 것이다. 단, 최근 고속철도와 수도권 전철 개통이 서울과 수도권에 집중된 인구와 경제 분산효과의 기대와 달리 오히려 수도권의 비대 현상을 초래하며 이 같은 ‘빨대효과’를 내고 있다


 


칭글리쉬(Chingish)



영어가 세계공용어로서의 자리를 잡아나가고 있는 가운데, 영어를 배우려는 중국인들이 늘어나면서 이른바 ‘칭글리쉬(Chingish)’로 불리는 ‘중국식 영어’가 새롭게 태어나고 있다.

이는 싸움 또는 전투를 뜻하는 ‘fighting’이라는 단어를 한국인들이 사기를 진작하는 ‘힘내자’는 뜻으로 오용하다가 차츰 외국인들까지 동화(?)되어가는 것과 비슷한 현상.

예컨대 ‘오랫동안 만나지 못했다’는 영어 표현을 중국인들은 ‘헌 쥬부젠'을 직역하여 ‘Long time no see’라고 말해왔으며 이제는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영어 표현이 되었다. 유러피안은 이와 함께 중국의 육체노동자를 뜻하는 ‘쿠리(苦力)’가 영어 발음 그대로 ‘coolie’가 되어 사용되고 있는 것, 태풍의 중국식 발음인 ‘타이펑’이 ‘typhoon’으로 정착된 것 등을 꼽았다.


 


안면인식장애(Face-blindness·prosopagnosia)



안면인식장애란 상모실인증으로 불리기도 하는데, 시각적으로는 정상이지만 지인 들의 얼굴을 몰라보거나 심지어는 거울울 보고도 낯설어 하는 증상이다. 상모실인증을 겪고 있는 이들도 눈, 코, 입, 점 등 얼굴의 주요한 윤곽은 기억한다. 그러나 얼굴에 있는 미세한 주름과 근육을 인식하지 못해 비슷한 얼굴 윤곽을 가진 다른 사람과 혼돈하게 되는 것이다. 이런 증상은 뇌 하측 두피질 손상 때문에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기도 하지만 정확한 원인이 밝혀지진 않았다.


 


군판사



군법무관으로 군사법원에 소속되어 민간의 판사와 같은 역할을 하는 군인을 군판사라고 한다.


 


지오이넷 (ZOInet)



저장 및 백업을 위해 개인용 컴퓨터(PC) 폴더나 파일을 지정해 주면 인터넷이 연결된 상태에서 대상 파일을 자동으로 압축, 원격지 서버에 백업하는 인터넷 서비스. 이 서비스는 이동이 잦은 노트북 또는 PC 사용자가 회사와 가정, 해외 출장지 등 어느 곳이나 인터넷이 연결되면 저장 및 백업을 자유롭게 할 수 있고, 백업된 데이터는 인터넷을 통해 사용할 수 있다. 전용 서비스 프로그램을 활용하며, 데이터의 보안상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128비트 대칭 키 암호 알고리듬인 SEED를 채택, 사용자가 임의로 지정하는 개인 키를 이용해 암호화하도록 하여 중요한 데이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지포스 (GeForce)



엔비디아(nVIDIA)사의 비디오 그래픽 카드 칩 시리즈의 명칭. 소프트웨어에서 하던 기존의 그래픽 관련 명령 중 좌표 변화와 광원 처리와 관련된 명령을 하드웨어에서 실행하는 형태의 칩으로 처음 등장하였다. 이후 개인용 컴퓨터(PC)를 위한 전용 비디오 칩으로 정착하여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TX 계열의 고급형 시리즈와 MX 계열의 저가형 시리즈로 나누어 지는데, 새로운 비디오 칩을 우선 고급형으로 판매하다가 몇몇 기능을 뺀 저가형 제품으로 다시 판매하는 것이 지포스의 판매 정책이다. 경쟁 제품으로는 ATI사의 라데온(RADEON) 시리즈가 있다.


 


지역 버스 (local bus)



중앙 처리 장치(CPU)와 주변 장치를 직접 연결하여 고속으로 데이터를 전달하는 데이터 통로를 제공하는 버스. CPU의 동작 주파수가 i836에서 시작하여 25MHz, 33MHz, 40MHz 등으로 가속화되면서 CPU의 속도로 동작하는 고속 버스가 필요하게 되었다. 그래서 개인용 컴퓨터(PC)에 8MHz로 동작하는 ISA 버스와 EISA 버스, 고속의 CPU 속도로 동작하는 지역 버스의 2가지 버스를 채용하게 되었다. CPU로서 i486을 탑재한 PC/AT 호환기에는 주로 VL 버스라는 지역 버스를 채용한 기종이 많았으나, 펜티엄을 탑재한 대부분의 PC에는 일반적으로 PCI라는 지역 버스가 채용되고 있다.




admin

이전으로